헬조선


fck123
16.07.13
조회 수 344
추천 수 4
댓글 3








 

   예전에 미국에는 특이한 얼굴 표정으로 유명한 대통령이 있었습니다. 그는 감정을 통제하려고 할 때 아랫입술을 깨물면서 청중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는 여러분의 고통을 느낍니다”. 그 표정의 진실함 여부는 여기서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의 고통에 영향을 받는 지가 포인트입니다. 공감은 우리의 두 번째 천성입니다. 그것이 없는 사람은 우리에게 위험하거나 정신적으로 아프다는 인상을 줄 정도입니다.영화를 볼 때 우리는 스크린 속 인물의 피부 속으로 들어가지 않을 수 없습니다. 거대한 배가 가라앉으면서 영화 속 인물이 물에 빠져 죽는 걸 보면 우리는 절망감을 느낍니다. 그들이 오랫동안 헤어졌던 연인의 눈동자를 마침내 바라볼 때 우리는 기쁨을 느낍니다.

 

   우리는 공감에 너무도 익숙해서 그것을 당연하다고 여깁니다. 하지만 알다시피 공감은 인간 사회에 필수적입니다. 우리 도덕성은 공감 능력에 의존합니다. 동료 인간과 정신적으로 입장을 바꾸어 볼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그 누가 대접받고 싶은대로 남을 대하라는 황금율을 따를 수 있을까요? 이 황금율이 발달되기 훨씬 이전에 입장을 바꾸어 볼 수 있는 능력이 먼저 생겼다고 가정하는 것이 논리적입니다. 이러한 공감 능력이 우리 종보다 먼저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저는 유인원이나 돌고래 같은 큰 두뇌를 가진 다른 포유류가 공감 능력을 우리와 얼마나 공유하는지 항상 궁금했습니다. 다른 이를 돕는 동물들, 심지어 자신을 희생하는 동물의 이야기는 아주 많습니다. 이런 동물이 단연코 가장 인상적인 예이기는 하지만 그들뿐만이 아닙니다. 찰스 다윈은 저서 ‘인간의 유래’에서 심지어 작은 두뇌를 가진 많은 동물이 서로의 고통과 위험에 동정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 중 하나는 인간 발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중에 우연히 나왔습니다. 국립정신건강연구소의 웩슬러는 어린 아이들이 가족 구성원의 감정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조사하기 아이들의 가정을 방문했습니다. 그녀는 사람들이 흐느끼고 울거나 질식당하는 것처럼 연기하도록 지시했습니다. 그녀는 집에 있는 애완동물들이 아이들 만큼이나 가족의 거짓 고통에 걱정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애완동물은 주인 주위를 맴돌거나 그 무릎에 머리를 파묻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 능력을 개의 본성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개를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로 생각합니다. 맞든 틀리든 우리는 개에게 인간의 많은 감정이 있다고 간주합니다. 래시 같은 텔레비전 시리즈 뿐만 아니라 많은 책들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냉철한 과학자들이 예를 들어 쥐에 관해서도 유사한 주장을 할 것이라고 혹시 기대하시나요? 우리는 이 동물이 세심하고 배려심이 있을 것으로 좀처럼 생각치 않습니다. 우리는 좋아하지 않는 사람을 부를 때 쥐라는 단어를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1959년 브라운 대학 처치 박사의 논문이 비교 생리심리학 학회지에 게재되었습니다. “다른 쥐의 고통에 대한 쥐의 감정적 반응”이라는 도발적 제목의 논문이었습니다.

 

   처치의 작업은 1960년대 동물의 “공감”, “동정”, “이타주의” 같은 개념을 조사했던 실험들이 잠시 크게 늘어나는데 일조했습니다. 문제를 피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그들 연구 주제에 따옴표를 반드시 붙였습니다. 동물의 감정에 대한 단순한 언급조차 꺼리는 분위기와 자연의 이기적이고 추잡한 속성에 대한 고정관념으로 인해 다음 세대 학생들은 그 연구들을 무시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윤리적 이유로 그러한 실험을 반복하지는 않지만 그 실험들은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처치는 레버를 누르면 음식을 얻을 수 있도록 쥐를 훈련시켰습니다. 그리고 어떤 쥐가 레버를 누를 때 옆 우리에 있는 다른 쥐가 고통을 받게 되는 걸 보면 그 행동을 멈추려 한다는걸 발견했습니다. 이것은 주목할만한 결과였습니다. 왜 쥐는 전기판 위에서 고통을 받으며 몸부림치는 다른 동물을 무시하고 그냥 음식을 계속 받으려고 하지 않을까? 레버 누르는 것을 멈춘 쥐가 그 동료를 걱정한 것인지 아니면 스스로 두려움을 느낀 것인지가 문제였습니다.

 

   처치가 처음 제시한 설명은 조건이 모든 행위를 결정한다는 당시 시대의 대표적 설명이었습니다. 지난 연상작용을 통해 동료의 고통 때문에 쥐가 스스로의 복지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된다. 후속 실험에서 처치는 쥐 한 마리가 레버를 누를 경우 자신과 이웃 쥐가 함께 전기 고통을 받도록 했습니다. 이런 실험 이후에 그 쥐를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테스트했습니다. 레버를 누를 때마다 자신은 음식을 받고 이웃 쥐는 전기 충격을 받는 식으로 말입니다. 이웃 쥐의 고통스러운 반응을 보는 첫번째 쥐가 이번에는 더 오랫동안 레버 누르기를 멈추었습니다. 연구자는 동료의 고통이 부정적 연상을 상기시킨다고 결론 내렸습니다.저는 쥐를 훈련시킨 이후 일어난 일에 대한 설명이 그럴듯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실험이 처치가 최초에 실험했던 쥐가 보인 즉흥적 반응에 대해서도 어떤 합당한 설명을 하고 있는걸까요? 훈련받지 않은 쥐가 다른 쥐의 괴성을 스스로에 대한 고통과 연결시킬 어떤 이유가 있을까요? 실험 동물들은 적절한 온도와 빛, 풍부한 음식 그리고 포식자가 없는 실험실에서 자랐습니다. 다른 쥐의 고통을 보고 타고난 감정적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하나의 종으로서 쥐는 아마도 동료들의 감정에 마음을 쓰도록, 그리고 부정적 감정에는 불안감을 느끼도록 진화했을 겁니다.

 

   1962년 아그네스 스코트 대학의 라이스와 가이너는 역시 비교 생리심리학 학회지에 쥐가 실제로 서로 돕는다는 사실을 보고했습니다. 연구자들은 쥐들을 극도로 불편한 상황에 있는 동료 쥐와 대면시켰습니다. 동료 쥐는 덫에 묶인 채 바닥에서 들어올려져 경련을 일으키면서 고통스러운 신음을 내고 있었습니다. 어떤 특별한 훈련도 받지 않은 쥐들이 동료 쥐를 바닥으로 끌어내리기 위해 레버를 누르려고 했습니다. 이 이타적 반응은 물체를 위 아래로 움직이는 즐거움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단순한 스티로폼 블록을 내리는 실험에서는 쥐들이 레버를 누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연구자들은 쥐들의 도움을 주는 반응에 대해서 그럴듯한 설명을 내놓았습니다. 다른 동물의 고통스러운 신호는 보고 듣기에 불편하다. 그래서 쥐들은 그 신호를 멈추기 위해 묶인 동료 쥐를 바닥으로 내려놓는다. 실제로 과학자들은 덫에 묶여 있는 쥐가 조용했다가 찍하는 소리를 내는 경우 다른 쥐들이 종종 레버를 즉시 누른다는 사실을 보고하기도 했습니다.

 

   이 실험들은 쥐가 다른 동물의 고통을 알아챌 경우 비록 일시적이더라도 자신의 음식을 포기한다는 걸 보여주며 다른 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동물은 그들의 종이 발산하는 감정적 신호들에 저절로 반응합니다. 물론 이것이 쥐가 다른 동물에게 일어나는 일을 어떤 식으로든 이해한다거나 그들이 의도적으로 돕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단순히 타인의 고통스러운 신호가 그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감정적 전염으로 알려진 공감의 한 형태일 것입니다. 어떤 쥐의 고통이 다른 쥐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것이죠.

 

   감정적 전염은 모든 감정이입 반응의 핵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자들은 오직 우리 인간만이 공감이라는 수준 높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에게도 시작은 단순합니다. 예를 들어 다른 아이들이 우는 것을 들으면 갓 태어난 아이도 따라서 웁니다. 저는 매우 어린 붉은털원숭이의 유사한 고통 전파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한번은 아기 원숭이가 암컷 우두머리 원숭이에 잘못 떨어졌고 이 우두머리는 아기 원숭이를 이빨로 물었습니다. 아기원숭이가 계속 비명을 질러대자 다른 아기 원숭이들이 재빨리 그 원숭이를 에워쌌습니다. 저는 8마리의 아기 원숭이들이 그 불쌍한 피해자 아기 원숭이 위에 올라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들은 피해자 원숭이와 마찬가지로 서로를 밀치고 당겼습니다. 그것은 분명히 두려움을 줄이는데는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그 반응은 자동적인 것처럼 보였으며 마치 다른 아기 원숭이들도 피해자 만큼이나 마음이 심란하고 그 친구 원숭이 못지않게 스스로를 위안하는 것 같았습니다.

 

   점점 더 많은 과학자들이 원숭이가 다른 이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없다는 점에서 유인원이나 인간과는 다르다고 가정합니다. 하지만 공감이라는 것이 다른 이의 감정이 대신 일어난다는 걸 의미한다면 과학자의 시각이 원숭이의 공감 능력을 막지는 못합니다. 피츠버그 대학의 로버트 밀러와 동료들은 비슷한 상황에서 원숭이들을 실험했으며 훨씬 더 강한 효과를 인지했습니다. 1963년 한 학회지에 실린 연구에서 한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의 얼굴을 보여주는 비디오 스크린을 보면서 자신과 동료에 대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 원숭이는 충격이 오는 걸 알리는 찰칵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찰칵 소리를 들을 수 없었던 첫번째 원숭이는 두번째 원숭이의 얼굴 표정을 해석해야만 했고 충격이 임박했다는 표정을 감지했을 때 레버를 눌러야만 했습니다.원숭이들은 얼굴 표정 읽기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면서 충격을 예방하는 일에 성공했습니다.

 

   아마도 원숭이의 공감능력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는 노스웨스턴 대학의 줄레스 박사가 이끈 정신분석학팀에서 나온 것일 겁니다. 1964년 미국 학회지에서 이 연구팀은 붉은털원숭이들이 음식을 얻기 위해 체인을 끄는 일이 동료에게 충격을 줄 때 그런 행동을 거부한다고 보고했습니다. 한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가 충격을 받는 걸 목격한 후 12일 동안이나 체인을 끄는 행동을 멈추었습니다. 이 원숭이들은 다른 이에게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말그대로 스스로 굶은 것입니다. 앞선 처치 박사팀의 쥐 사례보다도 더 강력한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쥐와 원숭이에 대한 모든 연구에서 가장 그럴듯한 설명은 우리가 흔히 개인적 고통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말은 외관상 친절한 행동이 다른 개체의 복지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기보다는 다른 개체의 고통을 보는 자신의 고통을 다루는 방식이라는 얘기입니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은 다른 아이가 넘어져서 우는 걸 보면 종종 눈가에 눈물이 맺히고 화가 나면서 심리적 안정을 위해 엄마에게 달려갑니다. 아이들은 다른 아이를 걱정하기 때문에 우는 게 아닙니다. 다른 아이를 대신해서 느끼는 감정이 자기를 압도하기 때문이지요. 아이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구별감을 발전시킨 이후에야 자신과 다른 이의 감정을 완전히 구분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 정도가 원숭이의 수준일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원숭이가 어느 정도로 자신이 아닌 다른 원숭이에게 일어나는 일에 반응하는 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위스콘신 유인원 센터에서 제가 여러 번 목격했던 붉은털원숭이와 관련된 장면을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붉은털원숭이에게는 특정한 스타카토식의 킁킁대는 소리가 있습니다. 이 소리는 보통 암컷 원숭이가 갓난 원숭이을 안고 있는 어미 원숭이에게 냅니다. 이 암컷 원숭이는 갓난이에게 빠져듭니다. 갓난이의 얼굴을 자세히 보면서 만지고 생식기를 살펴보기도 합니다. 이들은 또한 혼자 걷고 있는 갓난이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소리를 내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그 갓난이의 엄마를 돌아보기도 합니다. 그들이 두 동물을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행동이지요.

 

   제가 기억하는 장면은 갓난이가 고통스러워할 때였습니다. 예를 들어 어미가 젖을 뗀다거나 조금 큰 원숭이가 갓난이를 집어들어 오도가도 못하게 되어 가족에게 못 돌아가는 경우 말입니다. 소리를 내는 갓난이는 전 그룹의 주목을 받습니다. 모든 원숭이가 그 방향을 쳐다보며 갓난이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다른 원숭이들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원숭이들은 어떻게든 해결되어야만 하는 작은 위기 상황을 보는 겁니다.어미가 갓난이를 되찾거나 갓난이가 스스로 어미에게 돌아가면 지켜보던 암컷 원숭이들은 마치 드라마가 해피앤드로 끝난 것에 안도하는 것처럼 이구동성으로 킁킁 소리를 냅니다.저는 그 킁킁 소리를 원숭이들이 마음 속에 어미와 갓난이에 대한 목표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신호로 봅니다. 그들은 함께 속해 있는 것입니다.

 

   영장류 연구자 로버트 사폴스키에 따르면 개코원숭이도 안도감을 표현하는 유사한 음성 신호가 있습니다. 그의 책 ‘어느 한 영장류의 회고록’에는 특별히 서투른 어미에게 태어난 갓난이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어미는 새끼를 안는데 너무 서툴러서 새끼들이 어미의 꼬리에 매달려야 했습니다.

 

  “하루는 어미가 새끼와 함께 위험한 자세로 나뭇가지 사이를 건너다가 새끼가 어미를 놓치면서 10피트 아래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를 지켜보던 우리 다양한 유인원들은 우리의 깊은 연대감을 입증했습니다. 우리는 일제히 똑같은 일을 함으로써 이런 사건을 관찰하고 대응하는데 우리 뇌에서 정확히 똑같은 숫자의 시냅스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마도 입증했습니다. 나무에 있던 다섯 마리의 암컷 개코원숭이와 인간 한 명이 모두 일순 숨을 죽였습니다. 침묵이 흘렀고 눈은 모두 새끼를 향했습니다. 잠시 후 새끼가 일어나서 나무에 있는 어미를 올려다 봤습니다. 그리고 가까이에 있는 친구들을 잽싸게 따라갔습니다. 우리 모두는 안도하여 서로에게 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관찰은 원숭이들이 소리나 얼굴 표정 같은 고통의 외부적 신호에 반응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떨어진 갓난이가 다시 움직이거나 어미와 새끼가 다시 만나는 일은 그들에게 중요한 것처럼 보입니다. 나머지 그룹에 그들의 반응을 소리내어 전파할 정도로 말입니다. 물론 과잉해석을 해서는 안됩니다.원숭이가 다른 이의 필요와 욕구를 정확히 이해한다는 의미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인간이 타인과 영화 속 캐릭터에 빠져드는 것처럼 원숭이가 다른 이의 입장에 서 볼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우리는 그러한 과정의 시작을 볼 수도 있습니다.

 

   공감 능력이 너무도 오랫동안 뇌에 존재했기 때문에 우리가 이 능력을 쥐와도 공유하고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은 이 가난하고 과소평가되어 있는 생물을 정치인과 비교하는 사람에게 잠깐이나마 망설임을 주게 됩니다.

 

[ 원문 ]

 

Do Humans Alone 'Feel Your Pain'?  /  FRANS B.M. de WAAL

 

Once upon a time, the United States had a president known for a peculiar facial display. In an act of controlled emotion, he would bite his lower lip and tell his audience: "I feel your pain." Whether the display was sincere is not the issue here; being affected by another's predicament is. Empathy is second nature to us, so much so that anyone devoid of it strikes us as dangerous or mentally ill.

 

At the movies, we can't help but get inside the skin of the characters on the screen. We despair when we see them drown as their gigantic ship sinks; we exult when they finally stare into the eyes of a long-lost lover.

 

We are so used to empathy that we take it for granted, yet it is essential to human society as we know it. Our morality depends on it: How could anyone be expected to follow the golden rule without being able to mentally trade places with a fellow human being? It is logical to assume that the capacity to trade places came first, well before the rule was developed.

 

It is even likely that the capacity predates our species. I have always been intrigued by the degree to which other large-brained mammals, like great apes and dolphins, share our empathic abilities. Stories of those animals' aiding others -- even sacrificing themselves for others -- abound, yet even if they provide the most striking examples by far, they are by no means alone. Charles Darwin noted in The Descent of Man that many animals, even those with smaller brains, sympathize with each other's distress or danger.

 

One piece of evidence in support of that claim came unintentionally out of a study on human development. Carolyn Zahn-Waxler, a research psychologist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visited people's home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 respond to family members' emotions -- she instructed people to pretend to sob, cry, or choke. She found that some household pets seemed as worried as the children by the feigned distress of the family members. The pets hovered nearby and put their heads in their owners' laps.

 

Many people have no trouble ascribing empathy to dogs, but then we think of the dog as man's best friend. Rightly or wrongly, we give dogs credit for lots of human sentiments. In addition to television series like Lassie, we see a stream of books with titles like Our Best Friends: Wagging Tales to Warm the Heart.

 

But you wouldn't expect hard-nosed scientists to make similar claims about, say, rats, would you? We hardly think of those animals as sensitive and caring, and we use "rat" as a term for people we don't like. In 1959, however, a paper by Russell Church of Brown University appeared in the respectable J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under the provocative title "Emotional Reactions of Rats to the Pain of Others."

 

Church's work inspired a brief flurry in the 1960s of experimental studies that investigated concepts like "empathy," "sympathy," and "altruism" in animals. To stay out of trouble, the investigators never forgot to place the topics of their research in quotation marks. Thanks in part to a taboo on the mere mention of animals' emotions, and in part to the traditional emphasis on the selfish, nasty side of nature, those studies have been ignored by subsequent generations of students. We would not repeat some of the experiments today for ethical reasons, but they demonstrated some astonishing effects.

 

Church trained rats to obtain food by pressing a lever. He found that if, while pressing the lever, a rat saw a rat in a neighboring cage being shocked, the first animal would interrupt its activity for a while. That result is remarkable. Why should the rat not simply continue to get food and ignore the other animal dancing in pain on an electric grid? The question is whether the rats that stopped pressing the lever were worried about their companions or fearful for themselves.

 

The explanation that Church proposed was typical of a time when conditioning was thought to underlie all behavior: Through past associations, a companion's distress makes a rat fear for its own well-being. Thus, in a later series of tests, Church first gave each rat and its neighbor shocks when the animal pressed the lever. After that experience, the rat was tested the same way as before, with each press of the lever dispensing food to the first rat while the second received shocks. Seeing the second animal's painful reaction to the shock now caused the first animal to stop pressing the lever for a much longer time. The investigator concluded that the distress of a companion calls up negative associations.

 

Now, that seems to me a fine explanation for what happened after the training, but does it tell us anything about the spontaneous reactions that Church documented in the beginning? Do untrained rats have any reason to associate the squeals of another with pain to themselves? The animals in the experiment had grown up in laboratories with controlled temperature and light, ample food, and no predators. It seems more likely that the sight of pain in another rat arouses an innate emotional response. As a species, rats probably evolved to pay attention to the emotions of their fellows, and to be disturbed by negative ones.

 

In 1962, also in the Journal of Comparative and Physiological Psychology, George Rice and Priscilla Gainer of Agnes Scott College reported that rats actually help each other. The researchers confronted rats with a companion in a highly uncomfortable situation: Strapped in a harness, hoisted off the floor, the companion wriggled convulsively and squealed. Without any special training, the rats were prepared to press a lever that lowered the companion to the floor. That "altruistic" response was not due to the animals' enjoyment of being able to move an object up and down; they did not press the lever if doing so merely lowered a Styrofoam block.

 

The researchers proposed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e rats' helpful reaction: that the other animals' distress signals were unpleasant to watch and listen to, and that the rats lowered their bound companion to stop the signals. Indeed, the scientists reported that if the rat in the harness had been quiet and then squeaked, the other rat often pressed the lever immediately.

 

Those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rats will deprive themselves of food, however temporarily, when they notice the suffering of another animal, and will work to reduce the other's distress. The animals are reacting spontaneously to emotional signals that are typical of their species. Of course, that doesn't mean that rats understand in any way what happens to the other animal, or that they help intentionally. It may just be that signs of pain in others disturb them. That would be a form of empathy known as emotional contagion: One rat's distress distresses another.

 

Emotional contagion may well be at the heart of all empathic responses. Scholars have argued that it is the cause of the fancy kinds of empathy that only we humans show. In our development, too, things start simple -- for example, with the cry of a newborn when it hears others cry. I am familiar with a similar spreading of distress in very young rhesus monkeys. Once, when an infant had been bitten because it had accidentally landed on a dominant female, it screamed so incessantly that it was soon surrounded by other infants. I counted eight of them climbing on top of the poor victim, pushing, pulling, and shoving each other as well as the first infant. That obviously did little to alleviate its fright. The response seemed automatic, as if the other infants were as distraught as the victim and sought to comfort themselves as much as their companion.

 

Increasingly, scientists assume that monkeys differ from apes and humans in that they are unable to look at the world from another's perspective. But that doesn't prevent them from being empathic, if empathy means being vicariously aroused by another's emotions. In the same period as the rat studies mentioned above, Robert Miller and his co-workers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tested monkeys in similar situations and noticed even stronger effects. In one study, reported in a 1963 article i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a monkey could prevent shocks to itself and its companion by watching a video screen showing the other's face. The second animal could hear a click that announced the coming shocks. The first monkey, which could not hear the click, needed to interpret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second and to press a

 lever when the expression warned of an impending shock. The monkeys were successful, showing excellent skills at face reading.

 

Perhaps the most compelling evidence for the strength of empathy in monkeys came from a group of psychiatrists led by Jules Masserman at Northwestern University. The researchers reported in 1964 i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that rhesus monkeys refuse to pull a chain that delivers food to themselves if doing so gives a shock to a companion. One monkey stopped pulling the chain for 12 days after witnessing another monkey receive a shock. Those primates were literally starving themselves to avoid shocking another animal, clearly a stronger reaction than that of the rats in Church's experiments.

 

In all of those studies, the most likely explanation of the rats' and monkeys' behavior seems to be what, in humans, is called personal distress. That means that the acts of apparent kindness are not based on a concern about the other's welfare but rather are a way of dealing with the distress of seeing the distress of another individual. For example, young children often get teary-eyed and upset -- and run back to their mothers for reassurance -- when they see another child fall and cry. They cry not because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other child, but because that child's emotions vicariously overwhelm them. It is only later, when children develop a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 that they learn to fully separate another's emotions from their own.

 

Is that perhaps the level at which monkeys operate? To answer that question, we need to know to what degree monkeys react to a situation in ways that are relevant to what is happening to another animal rather than to them. Let me describe a scene involving infant rhesus monkeys that I have witnessed many times at the Wisconsin Primate Center, in Madison. Rhesus monkeys have a particular staccato grunt called the baby grunt, which is usually given by females to a mother with a newborn. The grunting females are fascinated by the infant, trying to look closely at its face, touch it, or inspect its genitals. They also grunt in the same way to an infant that is walking around on its own, but then they often turn to look at its mother as well, thus indicating that they connect the two animals.

 

The scene I have in mind begins when an infant is distressed -- for example, because its mother is starting the weaning process, or because it has been picked up by a juvenile who left it stranded somewhere, so that it is having trouble rejoining its family. A calling infant gets the attention of the entire group: Everyone stares in its direction and carefully watches any other monkeys that come close to it. The monkeys see a small crisis that needs to be resolved one way or another. If the mother goes to retrieve the infant, or if the infant gets back to its mother on its own, the watching females utter a chorus of baby grunts, as if everyone is relieved that the drama has come to such a good end. I take the grunts as an indication that monkeys have a goal in mind for the mother and infant: They belong together.

 

A similar vocal indication of relief occurs in wild baboons, according to Robert M. Sapolsky. In A Primate's Memoir: A Neuroscientist's Unconventional Life Among the Baboons (Scribner, 2001), he tells the story of an infant born to a particularly clumsy mother, who was so bad at carrying her infants that they had to hold onto her tail:

 

"One day, as she leapt from one branch to another in a tree with the kid in that precarious position, he lost his grip and dropped ten feet to the ground. We various primates observing proved our close kinship, proved how we probably utilized the exact same number of synapses in our brains in watching and responding to this event, by doing exactly the same thing in unison. Five female baboons in the tree and this one human all gasped as one. And then fell silent, eyes trained on the kid. A moment passed, he righted himself, looked up in the tree at his mother, and then scampered off after some nearby friends. And as a chorus, we all started clucking to each other in relief."

 

Such observations indicate that monkeys are not just reacting to external signs of distress, like high-pitched calls and facial expressions, but rather take the entire situation into account. It seems to matter to them that a fallen infant scrambles up again or that a mother and infant are reunited, so much so that they vocally broadcast their reaction to the rest of the group. We should be careful not to overinterpret, of course. It may not mean that monkeys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of the needs and wants of others, nor that they are capable of figuratively standing in the other's shoes as we do with fellow human beings and movie characters. Nevertheless, we may see here the beginning of those processes.

 

The possibility that empathy resides in parts of the brain so ancient that we share them with rats should give pause to anyone comparing politicians with those poor, underestimated creatures.






  • 이런 건 항상 영어 원문을 보아야 왜곡이 없습니다.

    쥐를 정치인과 비교해서는 안 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글의 전반적인 내용은 쥐 또한 사람과 비슷한 공감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요지로서, 쥐가 이러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안다면 정치인과 쥐의 차이점을 구태여 찾아내려는 사람들이 조금이나마 주저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 쥐와 인간 정치인은 공감하는 능력 면에서 차이가 의외로 적을수도 있다.

  • 우린 영장류보다도 몬한것인가? 유사인류가 아닌것인가? 정말 인두껍을 쓴 다른 종인가?
  • 다프
    16.07.13
    악어같은 파충류랑 비슷하지 않나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97 0 2015.09.21
7343 취업난의 가장 큰 이유요? 5 new 루디스 273 6 2016.07.13
7342 취업난의 가장 큰 이유 5 new oldberry1800 202 4 2016.07.13
7341 속초경제를 살린 정부가아닌 포켓몬 4 newfile 헬조선이낳은괴물 225 7 2016.07.13
7340 민노충분쇄기경호원님하고 저하고 하고있는게 1 new outshine 74 1 2016.07.13
7339 (넌센스?퀴즈) 조상님께 제사를 올려야 하는 이유는? new outshine 133 0 2016.07.13
7338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생각하는 실패한 인생 3 newfile 탈아입구 287 9 2016.07.13
7337 한국의 제사문화를 보면 죽은사람에 지나치게 집착하는거 아닌가 6 new 살려주세요 240 7 2016.07.13
쥐를 정치인과 비교해서는 안되는 이유 3 new fck123 344 4 2016.07.13
7335 조선사이비의학의 대가 허현회 사망 5 new 헬조선탈조선 754 7 2016.07.13
7334 제가 올렸던 게시물에 대한 논란에 대해 풀어보겠습니다 14 newfile 평등 240 9 2016.07.13
7333 아는분이 해외여행 한번 보내준다는데 어디로 가야 좋을까요. 6 new 루디스 164 1 2016.07.13
7332 민중은 개 돼지?? 1 new SenBonSaKura 261 6 2016.07.12
7331 아니 온갖사이트에 방송통신위원회가 처 걸어놓은거 진짜 좋갓네. 6 new 루디스 183 3 2016.07.12
7330 중국은 상식이라는게 없군요. 3 new 이거레알 269 6 2016.07.12
7329 요즘 취업이 어려운 이유 5 newfile 거짓된환상의나라 466 7 2016.07.12
7328 자위대 파티한다고 지랄지랄 하는데. 1 new 루디스 257 8 2016.07.12
7327 헬조센 주특기인 언론 물타기가 또 한번 시전되는 것 같네요. 1 new 몸도마음도환자 158 4 2016.07.12
7326 사회지도층 새끼들도 우울하니까 분배가 안된다 2 new 살려주세요 194 5 2016.07.12
7325 시민들은 한번 거짓말을하면 믿지않는다 하지만 계속 거짓말을하면 믿는다. -요제프 괴벨스- 1 new 대책없는희망무책임한위로 247 1 2016.07.12
7324 헬조선을 외치기 위해 우리가 갖춰야 할 것들..<삼가 제언을 드립니다..> 2 new 진정한애국이란 126 3 2016.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