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음 재구는 일본어 오음(변형 이전)을 따름
1. 只馬馬知 - shimamachi(島町)
2. 發羅 - para(原:현대어 hara) - '펼쳐진 벌'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경덕왕이 못 알아듣고?錦山郡으로 바꾼 것을 보면 일본어가 맞는 듯
3. 召羅 - sera(瀨) - 召의 원래 吳音은 seu임. 나중에 shou로 바뀐 것.
4. 古麻只 - kumata(阿田) -?古麻-kuma(음차) 只-ta(훈음차:훈의 소리를 빌림 只의 훈독은 tada)
5.?古馬彌知 - kumamichi(阿路)
6.?只伐只 - tabata(田畑) - 위 4.와 마찬가지로 只는 훈음차하고, 伐은 음차함.?
의심가는 지명들은?더 있지만 확실한 것은 일단 이것들 같다.?
한반도 남부가 통째로 일본인들 땅이었는지는 아직 모르겠다. 다만 몇몇 마을에 일본인들이 거주했던 것은 확실해 보인다.
1000년전이 뭐가 중요한지 ㅉㅉㅉ
현실지옥인데 그땐 더 지옥이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