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전부터 한국어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할 수 있다고 했고,

한국어는 상고음 시대의 중국어가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언어라고 했지만

과연 정말 한국어에 있는 일본어하고 비슷한 어휘가 일본어에서 온 외래어인가?

그러면 이제 한번 이것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자.

 

사실 한국어에 있는 일본어하고 비슷한 어휘를 보고

반대로 한국어는 원래 일본어하고 비슷한 언어였는데,

상고음 시대의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서 이렇게 변했다고 보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비록 거리에 비해서는 한국어하고 일본어는 서로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그래도 한국어하고 일본어는 어느 정도 서로 영향을 받은 것이 확실하고,

일본어가 한국어에 영향을 끼친 것이 한국어가 일본어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러면 한번 알아 보도록 하자.

 

아무튼 대부분 아는 사실일 수 있지만 모음은 자음에 비해 빨리 변한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같은 계통에 속하는 언어라고 해도 모음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가까운 언어라고 해도 그런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오래 전부터 모음까지 포함해서 기록이 많이 남아

모음에 대해서 그나마 어느정도 알 수 있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도

알기 힘든 경우가 많다.[1]

그러면 한번 오래 전부터 기록이 남은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을 보자.

 

english - german - danish - swedish

 

hand [ˈhænd], [ˈhænd/ˈhæn̥] - hand - hånd[ˈhɐnˀ] - hand

to give[təˈgɪv] - geben - give[ˈgɪvə/ˈgɪwə] - giva

to go[təˈgɜʊ], [təˈgɔʊ] - gehen - gå[ˈgɐ] - gå

stone[ˈstɜʊn], [ˈstɔʊn] - stein - sten[ˈsdɛn] - sten

far[ˈfɑ:], [ˈfɑ˞] - fern - fjern[ˈfjɛɐn] - fjärran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의 기초 어휘가 모음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자음은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계통이 갈다고 해도 모음이 일치하는 경우가 적다는 것이다.

여기서 아이슬란드어까지 포함시키면 더 복잡해 지지만

아이슬란드어는 라틴어에서 온 외래어가 거의 없기 때문에

나중에 라틴어에서 온 외래어까지 비교하자면 부적합해서 뺐다.

아무튼 그러면 한번 라틴어에서 온 외래어를 보자.

 

english - german - danish - swedish

 

discuss[dɪsˈkɐs] - diskutieren - diskutere[ˌdɪsgəˈtɐ] - diskutere

legal[ˈli:gəl], [ˈligəl] - legal - legal[lɪˈgæl/lɪˈgæʊ] - legal

separation[ˌsɛpəˈɹeiʃən], [ˌsɛpə˞ˈɹeiʃən] - separation - separation[sɪˌpɑrəˈɕɔn] - separation

 

참고로 영어는 영국식하고 미국식을 둘다 썼는데,

첫번째가 영국식이고 두번째가 영국식이다.

 

보면 알겠지만 라틴어에서 온 외래어는 모음이 비교적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일단 발음이 많이 변해서

철자가 불규칙적인 영어하고 덴마크어는 발음 기호까지 표시했으나

고유어에 비하면 모음이 상당히 규칙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시 말하자면 한국어와 일본어 사이에 나타나는 비슷한 어휘들은

특정 시기에 어느 한쪽에서 들어온 외래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면 이 단어들이 한국어에서 일본어로 들어온 외래어일까

사실 이것에 대해서는 간단하다. 일본어가 계통도 중국티베트어족 한국어파에 속하는 언어인지

아니면 고립된 언어인지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은 것과 달리

적어도 일본어는 일본어족에 속하는 언어들끼리와의 관계는 어느 정도 알려졌기 때문이다.

물론 일본어족이 정말 일본어족인지 아니면 다른 대형 어족에 속하는 어파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것에서는 딱히 중요한 것은 아니다.

 

아무튼 한국어와 일본어의 비슷한 단어를 보자.

 

middle korean - middle japanese

 

wih - upe, woriru

ɑtsɑm - asa

mɨr < *mis - midzu

 

보면 알겠지만 모음까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말고도 한국어와 일본어의 기초 어휘에서 비슷한 단어는 적지만

모음이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2]

 

그러면 한국어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고 할 경우

한국어 기초 어휘는 과연 중국어하고 모음까지 일치할까?

사실 이것에 대해 알 수는 없다.

어째서냐면 상고음은 중고음하고도 모음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보는 학자들이 많고,[3]

심지어 중고음에 대해서도 모음에 대해 확실하지 알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현재 인정되고 있는 정장샹팡(鄭慞尙芳)의 발음을 보도록 하겠다.[4]

 

old korean - old chinese

 

*park-ta < prak-ta - *mraŋ明

*kak - *khen犬

*lip - *labs葉

 

보면 알겠지만 그다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고음의 모음은 중고음의 모음도 정확하게 밝혀내지 못한 상태라 알 수 없다고 봐야 한다.

아무튼 이런 것을 보면 한국어에 있는 일본어하고 비슷한 단어가 일본어에서 온 외래어일 확률이 높다.

 

 

 

[1] The Status and Prevalence of Proto-Indo-European *ɑ, Adam Hyllested

 

[2] The Japanese-Korean Vowel Correspondences, John Whitman et al

 

[3] The *-i-/*-ji- Distinction in The Old Chinese Reconstruction System of Li Fang-Kuei, Zev Handel et al

 

[4] Zhengzhang et al






  • 미친거같아Best
    17.07.05

    잘 모르겠지만, 그냥 혼자만의 생각으론..

    원래 두 언어가 같은 언어군에 속하지 않았을까요?


    한국어는, 일본어와 비슷했다가 아니라. 원래 일본어가

    한국어랑 같은 군에 속했는데 한국어가 변했다가 맞을 거 같아요.


    즉 고대에, 한반도에서 사람들이 일본으로 넘어가기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두 언어는 거의 같은 언어였고 그 뒤로도 꽤 오래 비슷했지만


    대륙과 붙어 있는 한국어가 조금씩 변화했다고 생각해요.

  • 그렇군요.

     

    일단 고대와 중세의 영향보다는, 일제 36년간의 통치기에 훨씬 영향이 많았을 것 같은데 이쪽에 대해서는 안 다루시나요?

  • 글쎄요 일단 고대에 영향을 받은 것이 문법까지 바뀌었을 정도니 더 큰 것 같고 일제시대는 한국인들의 민족주의를 깨는 데 딱히 중요하지도 않아서
  • 잘 모르겠지만, 그냥 혼자만의 생각으론..

    원래 두 언어가 같은 언어군에 속하지 않았을까요?


    한국어는, 일본어와 비슷했다가 아니라. 원래 일본어가

    한국어랑 같은 군에 속했는데 한국어가 변했다가 맞을 거 같아요.


    즉 고대에, 한반도에서 사람들이 일본으로 넘어가기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두 언어는 거의 같은 언어였고 그 뒤로도 꽤 오래 비슷했지만


    대륙과 붙어 있는 한국어가 조금씩 변화했다고 생각해요.

  • 그것은 별로 가능성이 거의 없다. 일단 한국어하고 일본어는 대명사 체계부터 다른데 한국어는 대명사 체계가 극단적으로 폐쇄적이지만 일본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대명사의 자유로운 교체를 특징으로 한다.

  • 게다가 한국어는 일본어하고 달리 해산물에 대한 어휘가 발달해 있지 않고 대부분 특징- -치나 -어 형식이고 심지어 물고기를 나타내는 말도 육지 생물을 우선시하는 물고기 즉 물- -고기 인데, 이는 한국어가 원래부터 한반도에서 쓰였던 언어라고 한다면 이상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어는 대부분의 물고기에 따로 이름이 붙어 있다. 게다가 -어 같은 경우 원래 한국어에서도 魚를 ŋə이라고 하지 않았나 한다. 이는 중고음 ŋa하고 비슷하다. 게다가 이것은 고유어하고 이상할 정도로 잘 붙는데 원래 한국어에도 ŋə라는 고유어가 있었는데 한자가 들어오면서 발음이 비슷한 魚 그러니까 ŋa하고 합쳐진 것 같다.

  • 아 띠발 헬선에 옛날 언어 연구할 자료가 거의 없고 헬선 놈들이야 자기나라 순수한 말로 동서남북도 모르는 놈들인데 옛날 삼국시대 말이 남아 있겠냐. 헬선말 단어 중국어에서 온 한자말하고 요즘 만든 말 그리고 영어 등 외래어에서 온말이 대부분인데 뭔 연구를 해. 헬선은 그냥 헬선이야.
  • 그것하고는 상관 없지만 요새는 기록이 별로 없는 언어들을 연구할때 주변에 있는 관련이 있을 것 같은 언어들을 비교한 다음에 고대부터 표음문자로 된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 인도유럽어족이나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발달 과정에 맞춰 계통을 정한다
  • 헬조선 노예
    17.07.12
    Delingsvald님 헬포인트 5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 地狱
    17.07.26
    구조가 이상한게
    인구어족군에서는 모음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하지만
    거의 가까운 발음간의 변화이고

    한일 차이에서는 모음이 일치한다고 하지만
    최소 ㅡ와 ㅣ간의 차이이고 최대로은 위와 워리루(?) 가 그리 가깝게 들리진 않네요. 
  • 비교적 그렇다는 것이지만 다만 언어학쪽에서는 저 정도도 크게 치지만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6 언어 옥스포드 범어사전 보는 방법(퍼옴) 노인 2018.06.11 206
795 IT/컴퓨터 오픈소스 기반 오피스프로그램 "오픈오피스" file 노예1 2015.09.30 267
794 게임 오타쿠 협회장 출마하는 울프, 그의 자신감? Hatfelt 2018.04.14 55
793 게임 오버워치 프로게이머가 알려주는 메르시 잘하는법 Hatfelt 2018.04.16 90
792 게임 오버워치 선수들이 특이한 취향? 서로의 몸을 비비게 된 이유는? Hatfelt 2018.05.14 5
791 게임 오리아나와 연계하여 이니시 거는 에포트 라칸 하이라이트 file Hatfelt 2018.11.13 31
790 게임 오랫만에 솔랭에서 정글간 페이커 녹턴 플레이 하이라이트 Hatfelt 2018.06.04 6
789 애니메이션 오... 한국 최초 소설(라이트노벨)원작 애니메이션 진행중! 2 노예1 2015.10.03 411
788 게임 예측그랩! SKT 에포트의 블츠 솔로랭크 하이라이트 file Hatfelt 2018.07.17 13
787 게임 예기치 못한 스맵의 부상, 실감나는 당시 설명 Hatfelt 2018.01.22 5
786 언어 영작놀이(게시판 생긴거 축하염ㅋㅋ) 18 Healer.lee 2015.09.21 591
785 역사 영웅삼국지라는 TV 프로그램에 항의하러 안 가냐. Uriginal 2017.08.12 92
784 언어 영어에 대한 얘기.. 3 도시락 2015.09.19 312
783 언어 영어를 한국어 번역을 부득히 하게 요청을 합니다. 5 welcometoliberland 2015.09.27 492
782 언어 영어를 어느 정도 읽을 줄 아는 사람을 위한 꿀팁하나 떨구고 갑니다. 4 박군 2017.01.29 1363
781 언어 영어를 습득하는 방법: 1만 문장모음+Anki+다독+Youtube+메시지의 의미를 이해하기. 박군 2018.10.26 223
780 언어 영어권 국가가서 그렇게 잘난 문법, 단어, 숙어 써먹을래? 5 AndyDufresne 2015.09.19 343
779 언어 영어 배우는 법 4 거짓된환상의나라 2016.01.01 938
778 언어 영어 발음에 대해 3 7 Delingsvald 2015.12.20 390
777 언어 영어 발음에 대해 2 12 Delingsvald 2015.09.21 354
1 - 28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