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카드지불문화가 정체되어있는 현금고집만 고수하는 미개하고 후진적인 일본과는 수준이 다른
선진국가 영국의 보편적 카드 지불문화
영국 런던에서 생활하는데는 많은 비용이 들어갑니다. 세계에서 가장 물가 비싼 곳이니 당연합니다. 집값, 교통비, 사먹는 음식 값은 정말 혀를 내둘를 정도입니다. 햄버거 세트 하나 시키려면 만원가깝고, 그리 좋아보이지 않은 식당에 들어가서 먹더라도 이만원은 우습습니다. 물도 공짜로 주는 법이 없고, 콜라 한잔 330ml 시키면 보통은 4~5000천원입니다. 집값과 교통비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인건비가 워낙에 비싼 나라이기 때문에 사람 손을 거치는 서비스나 제품들을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영국의 산업들이 죽은 것도 워낙에 인건비가 비싸 다른 나라로 산업들, 즉 공장들이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산업혁명을 일으킨 나라답지 않습니다. 대신에 재무와 금융, 디자인과 같은 지식산업이 발달했긴 합니다만, 유학생인 제 입장에서는 그들과 관계할 일 보다는 일차적인 의식주와 관련된 비용 소모가 많기 때문에 여간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모든 서비스와 재화들을 구입하려면 거래 과정을 거칩니다. 제공자는 서비스나 재화를 소비자에게 주고, 소비자는 그에 대한 가치를 제공자에게 지불합니다. 이런 가치 교환의 거래행위를 '돈' 이라는 매개체가 해결해줍니다. 고대 거래에서는 직접 가내수공업한 물품은 필요한 사람과 교환으로 시작을 했던 것이 '돈' 이라는 실제로 그 자체는 아무 쓸모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가치를 추상적으로 부여해 거래행위를 돕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돈인 화폐만큼, 아니 더 많이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영국에 오기 전 한국에서도 현금 가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적어졌다는 생각을 했는데, 영국에 와서는 영국 사람들 정말 현금 안가지고 다닌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작은 단위의 결제까지도 카드로 대부분을 하고 있습니다. 현금으로 결제하는 사람을 여태까지 그렇게 많이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영국의 지불문화인 카드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선불카드
영국에서 놀랍고 새롭다고 느꼈던 것은 정말로 다양한 선불카드가 있다는 것입니다. 왠만한 브랜드들은 선불카드가 있고,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특히 마트와 같은 곳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너무나 개별적으로 브랜드들이 각자 선불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가 이런 것들을 사나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사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다양한 선불카드들이 나오는 것일 겁니다. 그리고 이런 선불카드들은 사용했을 경우에 다양한 혜택들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브랜드거나 계획하에 있다면 구매했을 때 이득을 얻을 수 있으니 구매하는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카드 일 수 있습니다. 판매자인 브랜드 입장에서는 카드를 통해 미리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카드를 구매하고 사용하는 사람이 브랜드에 더욱 각인되고, 사용하는 순간에 다른 이에게 노출이 되면서 간접적 브랜드 전도사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으니 여러모로 매력적입니다.
단, 이렇게 판매되는 선불카드들은 개인정보를 담지 않고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걱정을 덜고 부담이 없는 반면에 기업에서는 어떤 사람들이 어떻게 소비하는지 패턴이나 고객 정보에 대해 데이타베이화 하기 어렵다는 점이 있습니다. 어떤 선불카드, 예로 스타벅스 카드는 카드 사용시 몇가지 추가 혜택을 주는데 대표적인 것이 하루 2-3시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용을 하려면 스타벅스 카드에 있는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해야지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고객들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지불카드(신용카드, 데빗카드)
또 다른 카드의 지불 형태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이용하는 신용카드와 데빗카드입니다. 데빗카드는 우리나라의 체크카드와 똑같다고 보면 됩니다. 가장 많이 결제에 쓰는 방법이 이 신용카드와 데빗카드를 이용하는 겁니다. 아주 작은것을 구입하는 데도 카드를 사용하는게 보통입니다. 영구에서 동전의 가치는 꽤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1파운드, 2파운드짜리 동전 하나는 1800원, 3600원 정도의 가치를 가지니, 몇개만 가지고 있어도 만원이 쉽게 됩니다. 지폐도 마찬가지입니다. 5파운드, 10파운드, 20파운드, 50파운드의 지폐가 있는데, 50파운드는 우리나라로 치면 십만원에 가까운 금액입니다. 우리나라보다는 훨씬 현금 쓰기가 수월하다고 봅니다. 그럼에도 카드 사용이 우리나라보다 더 보편적입니다. 나이 드신 어른들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 많은 분들이 지적해주신대로 일반화로 말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영세한 숍들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적은 금액으로 카드 결제시 거부나 수수료를 추가로 요구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때문에 카드 사용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그렇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 영국은 서비스에 대한 팁 문화가 발달해 있기 때문에도 레스토랑과 같은 경우는 현금으로 계산하고 팁을 남겨 놓는 부분도 있고 말입니다.
영국의 카드 결제와 한국의 카드 결제
카드 사용이 일반적이다보니 보안 부분에 있어서도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민감하고 잘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개인 비밀번호를 물어보는 것이 드믑니다. 카드를 가맹주에게 맞기면 알아서 결제해주고 영수증과 함께 되돌려 줍니다. 정말 보안 문제가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카드 결제를 절대 가맹주나 판매자가 하지 않습니다. 카드를 기계예 넣거나 긁어서 하는 결제 행위는 전적으로 소비자의 몫입니다.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라고 하는 4자리 수 비밀번호도 절대로 물어보는 법이 없습니다. 우리나라처럼 비밀번호를 카드 소유주에게 물어봐 직접 눌러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기계에 직접 누르게 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대부분 카드 결제 기계들은 고객 쪽으로 나와 있고, 레스토랑과 같은 곳에서는 테이블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휴대용 머신을 직원이 가져와 고객 쪽으로 해서 결제를 하게 합니다.
한국에 해서 카드를 사용할 때는 느끼지 못했던 것들이 영국에서 카드로 처음 결제를 하고 나서는 불편하다고 느꼈지만 일상이 되다보니 한국의 결제방식이 참 잘못 됐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밀번호 도난의 위험과 분실시에 도난 사용에 대해 오픈되어 있는 것입니다. 온라인 사용시에는 비밀번호와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등 많은 절차가 있지만, 그에 비해 오프라인에서 카드 사용은 보안에 대한 문제점이 많습니다. 심지어 왜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지가 의심스럽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오프라인에서 카드 결재시에는 비밀번호를 묻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부분에서 보면 우리나라가 보안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당히 낮다고 보여집니다. 어떤 시스템에 변화는 인식에서부터 높은 인식과 의식에서부터 시작하는 법인데 관련 기술을 높지만 인식은 그에 반해서 너무나 뒤떨어져있습니다. 올바른 카드 사용과 범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데빗카드의 지불대금과 패널티
데빗카드는 우리나라의 체크카드와 거의 똑같다고 보면 됩니다. 한가지 다른 점은 우리나라처럼 결제하는 당시 거래 계좌에서 금액이 바로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며칠의 기간뒤에 금액이 빠져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계좌에 돈이 들어있지 않아도 어느정도는 결제가 됩니다. 그래서 돈이 빠져나가는 기간안에만 금액을 채워놓기만 하면 됩니다. 어떻게 보면 좋은 시스템인것 같기도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결제되는 날 충분한 금액이 계좌에 들어있지 않아 대금지불이 되지 않으면 비싼 패널티를 물어야 합니다. 그 것도 그 이후 추가 결제당 물기도 하므로 정말 조심해야 합니다. 때문에 계획없고 불별없이 데빗카드를 쓰게되면 나중에 큰 코 다치는 경우를 맞닥드리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영국의 카드를 사용한 지불 시스템과 문화는 한국에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특히 보안 부분에 관해서는 우리나라가 얼마나 보안에 대한 인식이 취약한지 적나라해서 비춰주듯이 대비됩니다. 많은 부분들에서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갈수록 우리나라도 현금보다는 카드 사용으로 선호하고(영세상인들은 반대하겠지만) 소액결제애서까지도 카드사용을 장려하고 있듯이 갈수록 카드사용률은 높아져만 갈 것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많은 부분들이 변할거 같습니다. 높은 수준의 인식과 영국처럼 카드 소유자를 배려하는 시스템과 기계 설치가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영국에서는 아주 작은 상점에서도 카드 사용이 아무렇지 않습니다.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판매자 입장에서도 적은 금액을 카드로 결제한다고 해서 눈치를 주지도 않습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손님은 왕이다" 라는 말도 무색해 지는데, 수익이 줄어든다 하여 시대적인 흐름에 엇갈려 고객들을 불편하게 하고 배려하지 않는다면 이는 결국 안좋은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입니다. 반면에 작은 부분에서 아직은 우리나라에서 어색한 카드 사용문화라 할지라도 판매자 입장에서 영국의 문화를 본 받아 고객을 배려해준다면 이는 작은 것이지만 큰 것도 기대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