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 것이나 상관 없지만 물어보고 싶은 것이 있으면 물어보길 바라지만
그러니까 물어볼 것 있는지
아무 것이나 상관 없지만 물어보고 싶은 것이 있으면 물어보길 바라지만
그러니까 물어볼 것 있는지
삼국시대 이후로 보고 있습니다만 다만 자료가 부족해서 확실하게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고구려에서 쳐 들어온 침략자들 때문에 도래인들이 일본으로 갔을 것이라는 정황은 있습니다.
일단 전에도 말했지만 한국어는 일본어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지만
일본어는 한국어의 영향을 거의 안 받았습니다.
사실 한국어가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다고 했을 때 일본어의 영향은 절대적인데,
한국어는 문법이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상당히 많이 바뀐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교착어가 많이 있기는 한데, 일본어나 한국어처럼 교착어적인 특징이 강한 언어는 얼마 안되며
만주어나 터키어 같은 경우에도 nominative suffix는 없는 수준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문법적인 특성을 봐도 한국어는 일본어의 영향이 매우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튼 이는 어느 시기에 한국인들의 조상이 일본인들하고 같이 살았다는 증거로 보입니다.
다만 일본어는 한국어의 영향을 거의 안 받았는데,
이는 가야의 철기 생산 수준을 보면
일본인들의 조상이 한국인들의 조상한테 문화를 가르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존은 삼국사기를 인정하지 않지만 삼국사기를 보면
경기도나 강원도의 지명은 한국어로 해석되는 것이 많고, 규칙적인 패턴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전라도나 경상도의 지명은 한국어로 해석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불규칙한 패턴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경상북도도 그런데, 이런 것을 보면
신라의 지배층은 오히려 고구려의 언어를 더 잘 알아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경상남도에 子他라는 지명이 있는데, 나중에 居陀로 바뀌었습니다.
또한 일본서기에는 kɔta라고 써 놨는데, 이는 子를 kɔ로 읽었다는 것이며 이는 일본어 훈독입니다.
여기서 상대특수가나사용법(上代特殊仮名使い)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고대 일본어에서는 지금보다 모음이 더 많았고, 모음조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나중에 더 알아볼 것입니다.
아무튼 子는 こ㆙인데 居는 こ㆚입니다. 물론 삼한시대에는 상대특수가나사용법(上代特殊仮名使い)이
제대로 성립되기 이전이라 지켜졌는지 모르겠지만 나중에 바꿨다는 것을 보면
한국인들의 조상하고 일본인들의 조상은 말이 안 통했던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한국인들의 조상하고 일본인들의 조상이 다른 집단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백제하고 신라가 세워지고 나서 좀 지난 4세기 쯤에야 이동을 시작하는 것은
가야하고 관계가 있는 것 같은데, 가야가 여러 일본 계통의 부족이 세운 연맹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가야가 있을 때는 아직 백제하고 신라도 국가 체계를 정비하고 있는 등
일본인들한테 제대로 차별 정책을 펴기 힘들었고, 그래도 정 안되면 가야로 갈 수 있었는데,
가야가 망하고 나서는 가야 귀족층들이 죄다 일본으로 도망가고,
일부 일본인들도 일본으로 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일본이 백제하고 사이좋게 지낸 것은 그나마 백제는 일본인들한테 차별 정책을 펼친 것 같지 않은데,
신라같은 경우에는 원래 골품제가 원래 살고 있던 일본인들을 차별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하며
일본인들한테 차별적인 정책을 펴지 않았나 하고,
그래서 일본하고 신라가 사이가 안 좋았던 것이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당시 기술이 없었어도 한국에서 일본은 어떻게든 갈 수 있습니다만
일본이 섬이라고 해도 그렇게 먼 곳도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