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여기서 일본과 조선의 자연환경 차이 언급하는데..조선도 일제시대 되면 물레 방아 잘만 써먹고..

 

 

또한 조선에 물살 센 지역이 적어서 설치를 못했다고 하는데..오히려 조선이 물살 센 지역은 일본보다 많음. 강이 아니라 바다 이야기지만 울돌목이나 강화도 입구 부분은 물살이 엄청 세기로 유명하고..

 

 

 

 

일본인들이 조선에 오면 놀라는 것 중의 하나가 조선의 큰 강인데..오히려 내륙에서도 물살이 센 지역이 많은 쪽은 조선이라고 볼 수 있음.

 

 

 

일본이나 조선이나 산지 비율이 대다수인, 농업하기에는 엄청 엿같은 국가라서...물살의 세기에는 별 차이가 없음.

 

 

일본이나 조선이나 장마철에나 물이 많고 나머지는 물 부족에 시달려야 하는 것도 똑같고..

 

 

 

참고로 진짜 물이 부족한 지역은 중국 내륙이지 조선이 결코 아님.(괜히 중국에서 기름 쓰는 요리가 발달한 게 아닌데...)

 

 

http://cafe.naver.com/booheong/134338

 

요새 이런 글이 돌아다니는 모양입니다. 대충 중요한 부분만 인용하면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인은, 500년의 세월동안,
일본이나 중국에 있던 물방아를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자력으로 물레방아(수차)조차 양산할 수 없었다.

 

이하는 한국에 있고, 물레방아 도입을 목표로 한 고생의 기록이다. 눈물없이는 읽을 수가 없다.

 

1429 세종 11년 12월 3일 일본의 물레방아가 굉장하다고 보고함.
1430 세종 12년 9월 27일 물레방아를 만들려고 한다
1431 세종 13년 5월 17일 '중국이나 일본도 물레방아의 이익을 얻고 있지만 우리 조선에는 그것이 없다'라고 기술.
1431 세종 13년 11월 18일 일본과 중국의 물레방아 연구의 기술을 봄.
1431 세종 13년 12월 25일 물레방아 도입을 시도한다.
1451 문종 원년 11월 18일 20년에 걸친 물레방아의 도입 실패.
1488성종 19년 6월 24일 물레방아 도입 시도(성공 여부 불명)
1502연산군8년 3월 4일 물레방아 도입 시도(성공 여부 불명)
1546 명종 원년 2월 1일 물레방아 도입의 시도. 류큐(오키나와)와 중국으로부터 복건식 물레방아 수입.


이후 백년간 물레방아의 기술이 없음. 반면, 이웃한 일본에서는, 포르투갈로부터 총포 전래 후 3년째에는 벌써 양산 체제.

 

1650 효종 원년 5월 15일 물레방아 도입의 시도 30년 기술 없음 한편 이웃의 일본에서는, 총양산 10만정

1679 숙종 5년 3월 3일 물레방아를 만들게 했다고 기록함. 그리고 70년 기술 없음.
1740 영조 16년 4월 5일 물레방아등이 없어졌다. '효종대왕상반료심수차지제어외방, 금무견존자(孝宗大王嘗頒遼瀋水車之制於外方, 今無見存者)'

1740 영조 16년 11월 20일 물레방아를 만들게 했다고 기술함.(18세기 시점에서 일부러 기록에 남겼다)
1764 1763-64년의 조센 통신사「일동장유가」(정성(淀城)의 물깃기를 통해 물방아의 감상)

'그 구조의 교묘함은 본받아 만들고 싶을 정도다.'라고 기술함.

1795 정조 19년 2월 18일 물레방아지제에 대해 활발히 나온다. 즉 시작중.
1811 순조 11년 3월 30일 이때 기술로 "물레방아는 필요한가?」";;;
라고 쓰여져 있어 전혀 보급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읽어낼 수 있다.;;;

 

한국인이 물레방아의 기술을 도입하려고 고심하고 있었던 것에 관계해서는,
1880년대가 되어도 김홍집(金弘集)이,

'조선에는 관개 설비가 없다.물레방아도 없다'

라고 미개성을 한탄하고 있다.

 

즉, 박단생(朴端生)이 1429년에 일본에 오고 물방아를 보고 나서

500년 가깝운 시간동안에, 물방아를 자력으로 만들어, 실용화할 수가 없었다고 하는 것···.

 
과연 그럴까요? 물시계를 만들던 나라가 물레방아를 만들지 못했다?
 
일단 물레방아란 것은 개념 자체는 중국 삼국시대에 이미 개발된 것입니다. 그 자체를 못만들리는 없지요. 국사 편찬 [신편] 한국사를 인용합니다.
 
(2) 물레바퀴

 물레바퀴(水車)는 증기기관이 발명되기 이전의 가장 중요한 동력장치였다. 물레바퀴는 정곡·제분용 물레방아의 동력으로써, 그리고 관개·수리용 양수기로써 우리 나라에서도 고대로부터 널리 쓰였다. 그러나 그에 관한 기록은 많지 않다. 그래서 고려시대의 물레바퀴 사용에 대해서도 우리가 알고 있는 자료는 거의 없다.

 다만 한 가지,≪고려사≫에 기록된 물레바퀴 이용에 대한 기사가 있을 뿐이다. 공민왕 11년(1362)의 기사에 의하면, 중국농민들은 수차를 이용하여 한발을 이겨내는데, 우리 나라 사람들은 저수지와 제방을 쌓아 물을 끌어대는 것에 의존할 뿐 수차를 써서 물을 쉽게 댈 수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니, 관에서 수차를 만들어 농민들에게 장려하도록 해야 하겠다고 했다. 그러니까 이 기사에 의하면, 고려에서는 물레바퀴가 관개용 양수기로서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었던 것 같다.0428)

 바꿔 말하면, 고려에서는 관개수리사업으로 저수지와 보를 이용하는 삼국시대 이래의 전통적 방법을 쓰고 있었고, 물레바퀴는 주로 탈곡·제분용 물레방아에서 이용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려에서도 물레바퀴를 양수기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노력하려고 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노력은 성공한 것 같지 않다. 똑같은 제안과 노력이 조선시대 세종 때에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물레방아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 것은 별로 이상할 것이 없다. 특별히 기록할 만한 기술적 개혁이 없었다는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물레방아를 못만든게 아니라 양수기로서의 물레방아, 유식하게 말해서 스스로 도는 자전 물레방아를 못만든 것입니다. 중국에서도 못만든거구요. 그럼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세종실록 46권, 세종 11년 12월 3일 을해 5번째기사 1429년 명 선덕(宣德) 4년

박서생이 시행할 만할 일들을 갖추어 아뢰다

 
 
 
1. 일본 농민에게 수차(水車)를 설비하여 물을 퍼 돌려 전답에 대는 자가 있기에, 학생(學生) 김신(金愼)으로 하여금 그 수차를 만든 법을 살펴보게 하였더니, 그 수차가 물을 타고 저절로 회전하면서 물을 퍼 올려 대고 있어, 우리 나라에서 전년에 만들었던 수차인 인력(人力)으로 물을 대는 것과는 다른데, 다만 물살이 센 곳에는 설치할 만하오나, 물살이 느린 곳에는 설치할 수가 없습니다수침(水砧)129) 도 또한 그러하였으니, 신이 가만히 생각해 보니, 비록 물살이 느리더라도 사람이 발로 밟아서 물을 올린다면 또한 물을 댈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이제 간략하게 그 모형을 만들어 바치오니, 청컨대 각 고을에 설치할 만한 곳에 이 모형에 따라 제작하여 관개(灌漑)의 편리에 돕도록 하소서.
[註 129]
수침(水砧) : 물방아.
 
 
이 대목에 주목해주십쇼. 물살이 세다면 설치할만하나, 느린 곳에는 설치할 수 없다는 겁니다. 
 
 '중국이나 일본도 물레방아의 이익을 얻고 있지만 우리 조선에는 그것이 없다'는 대목을 찾아봤습니다.
세종실록 52권, 세종 13년 5월 17일 경진 6번째기사 1431년 명 선덕(宣德) 6년

 

 
 
수차의 설치를 위하여 이온·오치선·박결·조곤 등을 각도에 나누어 보내다
"수차 감조관(水車監造官)의 수본(手本) 가운데에, ‘만약 전답(田畓)이 다 마르지 않은 때에 왜수차(倭水車)를 쓴다면, 2인이 하루 동안의 역사(役事)로서 여러 무(畝)의 전답을 관개(灌漑)할 수가 있다. ’고 하였으니, 마땅히 각도에 공문을 보내어 미리 수차(水車) 만들 재목을 준비하게 하여 장인(匠人)들에게 만들도록하고, 아울러 둑[陂澤]에 나아가서 세찬 수세(水勢)를 익히게 하여 농민으로 하여금 즐겨 쓰도록 하고, 당수차(唐水車)163) 도 아울러 만들도록 하고, 외방의 장인들이 능히 전해 익혀서 관개하는 데 이롭게 하는 사람이 있으면, 감사에게 그 실제의 효과를 상고하여 계문해서 그 공을 상주게 하소서."
세종실록 52권, 세종 13년 5월 17일 경진 6번째기사 1431년 명 선덕(宣德) 6년

 

 
 
 

수차의 설치를 위하여 이온·오치선·박결·조곤 등을 각도에 나누어 보내다

"신이 철원 수원에 가서 수차(水車)를 설치(設置)한 상황을 살펴보니, 기계는 모두 갖추어졌으나, 사람을 시켜서 물을 올리게 하니, 즉시 새어 버려 관개(灌漑)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였다. 임금이 사정전에 나아가 지신사 안숭선을 인견하고 이르기를,

"태종 때에 우희열(禹希烈)이 제방(堤防)을 감독해 쌓는 일을 자기의 임무로 삼고, 여러 사람의 질책을 무릅쓰고 하므로 태종께서 칭찬하셨는데, 그 뒤에 쌓은 제방이 완실하지 못한 것이 퍽 많았으나, 관개에 이용할 만한 곳도 많아서 백성들이 많은 이익을 받았다. 지금 국가의 일에 밤낮으로 마음을 다하는 자가 적으니 진실로 탄식할 일이로다. 수차의 설치는 원래 한재를 대비하기 위한 것인데, 받들어 행하는 관리가 모두 마음을 쓰지 아니하고 자갈땅에 설치하여 쓰지 못하게 되니 심히 부당하다. 위로는 중국으로부터 아래로는 왜국(倭國)에까지 모두 수차의 이익을 받는데, 어찌 우리 나라에서만 행하지 못한단 말인가. 내가 여기에 마음을 두고 잊지 못하는 것은 급하게 백성들에게 이익을 보게 하려고 함이 아니다. 나는 반드시 성공시키고야 말 것이니 꼭 이일을 맡을 만한 사람을 골라서 각도에 나누어 보내도록 하라."

 

공조에서 아뢰기를,

"왜수차와 당수차(唐水車)177) 를 만드는 장인을 경기도 충청도에 모두 1명을, 전라도 경상도에 모두 1명을 뽑아 보내게 하소서."

하니, 그대로 따랐다.

 
만든 게 문제가 아니라, 설치가 물이 없는 곳에서 이뤄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럼 이번엔 '1451 문종 원년 11월 18일 20년에 걸친 물레방아의 도입 실패.'라는 대목을 직접봅시다. 글쓴이의 취사 선택이 여지없이 드러나는 부분입니다.
 
선왕(先王)께서 이를 염려하여 수차(水車)1568) 의 법(法)을 세웠다. 그러나 본국(本國)은 토양(土壤)의 성분이 푸석하여 물을 받을 수 없는 까닭에 수차의 법은 마침내 이익을 보지 못하였다. 내가 일찍이 이를 생각하여 보니, 천지(天地) 사이에는 생의(生意)가 널리 행(行)하여, 비는 적시어 주고 해는 말리어 주는 것이 자상(仔詳)하고 은근하다. 그러나, 하늘과 땅이 크지만 반드시 유감이 있어서 혹은 큰 물을 내기도하고 혹은 가뭄을 일으키기도 하여 인위(人爲)와 같지 못하다. 그러므로, 하늘은 반드시 사람에게 손을 벌리어서 사람이 능히 재량하여 만들고 도와준 뒤에야 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극진히 하고서 하늘에 기대하면 천은(天恩)을 바랄 수 있다. 그러므로, 나는 선왕(先王)이 수차(水車)에 유의(留意)하시던 뜻을 생각하고 또 금년에는 북도(北道)의 백성들이 어려움을 당하므로, 밤낮으로 뜻을 계승하여 백성을 구제하는 방법이 되는 소이를 생각하니, 일로서는 하천의 제방과 관개와 같이 급한 것이 없다. 어떤 사람은 생각하기를, ‘우리 나라는 개벽(開闢)한 이래 나라를 세운 지가 이미 오래 되었으니, 만약 관개할 만한 곳이 있었으면 옛날 사람들이 이미 다하여 지금은 반드시 새로 이용할 곳이 없을 것이다.
 
 
이후로도 조선은 계속 전국에 물레방아를 보급하려고 합니다. 잠곡 김육이나 연암 박지원도 중국에서 들여온 수차를 보급했다는 것이 버젓히 업적으로 나와있고, 특히 김육은 충청도 관찰사 때 수차의 보급에 적극 나섰습니다. 물론 이런 수차들이 다 같은 수차일 수는 없겠죠. 개량형 수차라는 이야기입니다.
 
인용한 글의 후반부 내용은 그냥 '수차를 만들게 했다'는 구절을 악의적으로 해석한 취사선택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수차가 검색되지 않으면 '성공여부 불명', '그리고 70년간 기술 없음' 등으로 코멘트 하는 것은 구차하고 찌질하기 까지합니다.) 
 
끝으로 순조시대 '수차가 필요한가?'라는 날짜의 기사(1811 순조 11년 3월 30일)를 봤습니다. 그런 인용은 없었습니다.  
 
"경상도의 진폐 책자에 대한 판부(判付) 내에, 안동(安東)의 세은(稅銀)에 관한 것은 숫자가 너무 적어 보잘것 없으니, 특별히 영구히 감하여 줄 것을 해조(該曹)에 분부토록 하고, 제읍(諸邑) 가운데 금산(金山)·함창(咸昌) 두 고을의 수령이 진달한 바가 가장 수고로움이 크고 채택할 만한 것과 다른 제읍에서 조진(條陳)한 내용 가운데서도 시행할 만한 것은, 묘당(廟堂)으로 하여금 품처(稟處)하게 할 일을 명하(命下)하였습니다.
 
1. 본읍(本邑= 여기서는 안동)은 곡식이 귀하고 주민들은 가난하니 한전(旱田)의 밭두둑을 잇달아 물을 끌어 대어 논[畓]으로 개간하는 데 대한 일입니다. 한 해의 풍흉은 오로지 수전(水田)에 물이 있는가 없는가에 달려 있으며, 길고(桔槹)073) 로 물을 대는 것은 그 힘이 작아서 수차(水車)와는 현격한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우리 나라 백성들의 풍속이 평소의 습관에만 익숙하고 처음 보는 것에는 관심이 적어 비록 수차가 있다 하더라도 필시 사용할 줄을 모릅니다. 그렇지만 진실로 관아에서 앞장서 권고하여 따라 익혀서 익숙하게 한다면 반드시 시행되지 않을 리가 없습니다. 한번 이용해 본 뒤에 이로우면 반드시 일반화 될 것입니다. 본도(本道)의 창원(昌原)에서는 이미 이 법을 시험삼아 사용한 적이 있으며 또한 성과를 보았다고 들었습니다. 지금 본주(本州)에서 역시 이 사례를 본받아 편리한 대로 시험삼아 이용해 보라는 뜻을 도신에게 분부하여 그들로 하여금 해당 읍에 모두 알리게 하소서.
 
이 때가 되면 (당연히) 수차는 전국적으로 퍼져있었고, 남도형과 북도형이 나눠져있었습니다. 물론 주된 활용처는 수자원이 많은 곳 위주였습니다. (강원이나 경남 함양 등). 그걸 영남의 각 고을로 퍼트리자는 이야기입니다.
 
과학기술이란 본디 토질과 자연환경에 맞게 쓰여야합니다. 상대적으로 물이 부족한 한반도와, 물이 풍성한 일본간의 기술이 동일할 수는 없죠. 탈곡/제분용 물레방아야 어디나 쓰였습니다. 하지만 물을 퍼내는 관개용 물레방아는 수압이 충분해서 스스로 물을 퍼올릴 수 있어야 쓸 수 있는 겁니다. 조선에는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지역이 많이 없었습니다. (해석에 따라서는 화폐제도처럼 아직 환경이 갖춰지지 않았는데 뚝심으로 밀어붙이는 대왕님의 시도로도 볼 수가 있다는 말이죠.)
 
이렇게 빗대어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풍력발전이 좋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풍력발전을 만들어도 이익을 보지 못하는 나라가 풍력 발전기를 전국에 뿌리는 것은 국력의 낭비인 것이죠. 관개용 수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물살이 강하지 못한 조선의 토양에서, 수차는 적극적으로 사용되기에 쉽지 않았습니다. 저수지를 파는 대안이나 사람 힘이 더 싸게 먹힌다 이 말입니다. 농사를 위한 실용적인 기술인데, 기술을 위한 기술을 쓸 수는 없는 것이죠. 
 
사신들이 외국에 가서 필요한 실용물자를 샅샅이 확인하고 이를 계속 적용하려는 태도를 국가적으로 유지한다는 것은 자랑거리면 자랑거리지, 조롱할 것은 아닙니다. 세종-문종 조의 기사는 도리어 과학기술, 특히 농업기술에 대한 조선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사료일 수는 있어도, 기술력이 없는 '미개한' 증거일 수는 없는 것이죠. 
 
끝으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물레방아는 산간오지 화전민들이 쓰던 강원도 정선의 120년 된 물레방아입니다. (김홍집 운운하는 바로 그 시대의 물레방아입니다.) 지금도 돌아갑니다. 강원도 정선 백전리와 삼척 한소리의 주민들은 아직도 이 물레방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어느 문명을 저급 문명으로 취급하면 현재의 자신이 홀로 깨어있는 사람이라도 된다고 생각하는가 본데, 그저 안타까울 뿐입니다. 오활한 자기 성품이나 드러내는 꼴이죠. 
 
이양법이나, 이모작도 단순비교를 하는 경우가 많죠. 고려시대에 이미 일본은 이양법과 이모작을 하고 있었다구요. 그럼 동남아는 삼모작도 가능했으니 동남아가 최강 농업 선진국일까요? 
 
한줄 요약 : 이게 다 온라인 조선까 역덕들이 글로 농사를 지어서 그렇습니다.
 

 

 






  • 물레방헬
    16.06.05
    헬조센식 물방아..물레방아에 한이 맺혔쏘이까
  • 123
    16.06.05

    읽어는 줬다만

    이미 물레방아가 존재했다 치면 왜그많은 외국여행가들이 조선에서 발견했다는 소리도없고 조선 환경이 ㅈㄴ 더러울까.

    현존하는물레방아가 120년된게가장오래된거라하는데 개소리구요. 일본에도 물레방아많어.

    그리고 120년된거면 시기상으로 1900년돈대 그때는일제합방 일제시대임.
  • 123
    16.06.05
    글고 개소리 아니냐? 한반도에 물이풍부하지않다니 무슨개소리지.
  • 16.06.05
    좃개소리 당첨
    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
  • 16.06.05
    이글 좃개소리
    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
  • 클로에
    16.06.05

    http://www.blogkwater.or.kr/1041
    헬조선이 물부족국가로 간주?되는 이유는 공공광고를 과장, 허위로 의도적으로 조작해서 내보냈기 때문입니다.
    물부족국가라는 인식을 심음으로서 위기성?을 강조하고, 물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수도요금을 고액으로 받아먹으려는 속셈인 것이지요.

    요즘 헬정부가 물이 부족하다고 마구 광고하다보니, 사람들이 원래 헬반도에는 물이 부족했다고 '믿게' 된 거 같네요.

    그리고 '수차'가 잘 돌아가기 위해서는 단순히 물레방아를 만드는 게 중요한게 아니구... 나무를 곡률(원형)으로 정확하게 가공하는 기술이 필요했는데, 조선후기까지 이걸 구현할 수 있는 기술자가드물었습니다 ㅡㅡ

  • blazing
    16.06.05
    ㅋㅋㅋ맛있는 수다 블로그 오랜만에 보는군요, 제가 잠시 몸담았던 기업이었지요...유량자체는 문제가 없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게 심각하게 부족한 상황입니다.
  • blazing
    16.06.05

    물레방아가 혹시 있었다 하더라도 이 글대로라면 사람 갈아죽여서 농사지어도 되는걸 궂이 기술을 사용할 이유는 없었다고 하는 뜻이 되는군요. ㅋㅋㅋ 어째 이 나라는 하나부터 끝까지 전부 이따위인걸까요...

  • 클로에
    16.06.05

    제가 보기에는 기술부재가 맞는 거 같네요.
    물레방아라면 고대시대에도 전부 만들긴 했지만, 나무를 정확하게 원형으로 가공하는 건 고급기술에 속하거든요. 위 글은 이 두가지의 차이점을 구분하지 않아서 저렇게 보는 것이구요.

    공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정확한 원형이 아닌 타원형이면 당연히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시 조선인들은 이 문제를 간과했던 것처럼 보이구요.
    조선은 이 기술이 없었고, 반면에 일본은 에도시기에는 이 기술을 가지고 있던 거 같더군요.

  • blazing
    16.06.05
    ㅋㅋㅋ 당연히 기술도 없었지요. 기술을 취득하거나 개발할 의지도 없었구요...그러니 사람을 저리 갈아넣으면서도 일체의 죄책감도 없이 살아온거겠지요. 정말 쓰레기중의 쓰레기 민족입니다
  • 클로에
    16.06.05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사람을 갈아넣는 게(노예제) 해당 사회에서 가장 비용이 저렴하였다는 의미이지요.
    -> 조선이라는 나라의 기본 structure가 고대와 다를 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보통은 산업의 성장으로 인해 시대가 발전할수록 다른 재화의 가치에 비해 인건비가 증가 -> 기술개발 유인 부여 -> 기술발전 -> 신산업 형성의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문명이 발전하지요. 이 과정에서 개개인의 평균적인 부가 증가하기도 하구요.
    다만 조선의 경우 예외였는데.... 유교탈레반 이념이라 기술발전이 극도로 정체되어 있었고, 사람을 갈아넣는 게 가장 효율적인 고대의 산업구조를 버리지 못한 채 현대까지 이끌려 온 거지요.
    정말 어디까지 한심한건지 감도 안잡히네요.
  • 도배왕
    16.06.05
    도배해야지ㅋㅋㅋ
    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
  • deadlock
    16.06.05
  • 도배왕
    16.06.05
    이민! 가고싶ㄸㅏㅏㅏㅏㅏㅏ아!
    내가 부릅니다 "이민 나도 가고싶다~!"
    거리의 시인들이 부릅니다 "내노래 듣지마"
    거리의 시인들이 또 부릅니다 "착한늑대와 나쁜돼지새끼 세마리"
    마지막으로 부릅니다! 신해철이 부릅니다 "아!!!!!!!!!!!!!!!!!!!!!!!! 개한민국!!!!!!!!!!!!!!!!!!!!!!!!"
  • 도배왕
    16.06.05
    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
  • 도배왕
    16.06.05
    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시리우스도 개념무 임병화도 개념무 너도나도 골벼서 개→념 죽창이 돼→보→자
  • 도배왕
    16.06.05
    이글개소리
  • 조젠징
    16.06.05
    이렇게 빗대어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풍력발전이 좋을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풍력발전을 만들어도 이익을 보지 못하는 나라가 풍력 발전기를 전국에 뿌리는 것은 국력의 낭비인 것이죠. 관개용 수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물살이 강하지 못한 조선의 토양에서, 수차는 적극적으로 사용되기에 쉽지 않았습니다. '저수지를 파는 대안이나 사람 힘이 더 싸게 먹힌다' 이 말입니다. 농사를 위한 실용적인 기술인데, 기술을 위한 기술을 쓸 수는 없는 것이죠. 

    한마디로 " 저수지를 파는 대안이나 사람 힘이 더 싸게 먹힌다 이 말입니다"

    사람 힘이 더 싸니까 사람 노동력이나 쓰자 이말아니냐~

    좆센징들아~
  • 헬반도ㅎ
    16.06.05
    너무 길어서 안읽음 ㅋ
  • 노인
    17.10.31
    그럼 중국은 왜 물레방아를 만들어서 사용했을 까?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97 0 2015.09.21
6803 여러분들은 국뽕이 좋습니까 아니면 일뽕이 좋습니까.? 10 new 기무라준이치로 233 5 2016.06.05
6802 백인여자가 본 강간대국 일본 5 new aircraftcarrier 919 2 2016.06.05
6801 헬조선의 로봇 기술이 결코 뛰어난게 아니다. 4 new aircraftcarrier 188 1 2016.06.05
6800 양아치 깡패새끼들 때문에 살기 힘든 나라. new 기무라준이치로 242 1 2016.06.05
6799 매일경제가 꼽은 산업용로봇 세계 1위 2 new aircraftcarrier 146 0 2016.06.05
6798 중국 애들이 어떻게 해서든 일본 기술력을 폄하할려는 게 보이네. 3 new aircraftcarrier 159 0 2016.06.05
6797 지금 일본은 세계에서 최첨단 과학기술의 극치를 달리고 있다. 2 new aircraftcarrier 250 3 2016.06.05
6796 조선시대 슈퍼카. jpg 7 newfile 이거레알 384 4 2016.06.05
6795 한국인들이 일본인들을 키작다며 왜놈이라 비하하잖아. 7 new aircraftcarrier 400 3 2016.06.05
6794 조선은 물레방아 만들 기술도 없엇어 무슨 지들이 지들수수로 기발한발명품마냥 만들수있던걸로 말하는데 개... 6 new 이민가고싶다 253 2 2016.06.05
[두부의 떡밥사과] 조선이 500년간 물레방아가 없었다구요? 전혀. [출처] [두부의 떡밥사과] 조선이 500년간... 20 new aircraftcarrier 322 1 2016.06.05
6792 헬센징들이 중세 일본은 활 기술이 떨어지고 조선이 동아시아 활 기술 최고라고 자뻑하는 부분 있잖아... 8 new aircraftcarrier 332 2 2016.06.05
6791 저를 상습적으로 괴롭힌 사람들을 고발해서 경찰서에 피해를 진술했습니다. 8 new 기무라준이치로 260 3 2016.06.05
6790 티비프로그램 "황금알"에서 조형기가 나올때마다 얼마나 ㅈ같은지. 3 new 이민가고싶다 864 2 2016.06.05
6789 헬조선 단어도 어느정도 생각있는 사람이 사용해야한다 11 new 하루살자 231 3 2016.06.05
6788 오늘도 네이버댓글에서 3 new 하루살자 179 3 2016.06.05
6787 헬조선여러분 오늘도... 2 new kakarin 183 3 2016.06.05
6786 같은 꿈을 꾸던 두 소년은. . . 9 new 육노삼 324 2 2016.06.04
6785 취업 못하면 가정파탄까지 되는 헬조선 9 new 이넘의헬 557 9 2016.06.04
6784 사람이 죽어도 안바뀌는 헬조선 4 new 이넘의헬 387 1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