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광우뻥 세대가 변했을리가 없지 ㅋㅋㅋㅋㅋ 붕신새끼






  • 노인
    22.05.31
    자기가 광우뻥 지랄하고 있으면서 왜 저러냐?
    정신 차려라
  • 노인
    22.05.31

    윤suck열이 '전기료위원회'라는 걸 만들어 전기요금을 그 위원회에서 결정하게 할 것이라 하더군요.

    그 위원회에 들어갈 인간들이 누구곘습니까? 우하하. 전력생산 관계자들이나 그들의 손에 좌우되는 전직관료들이겠죠.

    즉 다시 말해 사실상 전력 민영화 된다 이런 소리입니다 우하하.

    전기료가 무너지는데 딴 거라고 무사하겠습니까? 딴 거는 말할 필요도 없죠.

    민주당계 정권들은 '전라도'의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에, 그래도 하층민을 위하는 척은 해야 하는데,

    윤 정권은 하층민들이 모두 리재명에게 붙었던 것이 드러났기 때문에, 마음놓고 민영화를 추진할 것입니다. 국토부 장관 원희룡은 제주도에서 영리병원을 추진한 바 있고 이제 실권을 잡았으니 대대적으로 의료보험을 약화시키고 영리병원을 추구할 겁니다.

    어리석은 민중들이 리재명을 지지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윤suck열 등은 마음놓고 그들을 무시하고 갈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즉, 식량만 아니라 각종 공공요금이 엄청나게 오르게 될 것이다

     

  • 노인
    22.05.31

    보건의료단체연합 정형준 정책위원장은 “최근 SNS에서 윤 당선인이 의료민영화를 추진할 것이라는 논란이 있었다”며 “국민의힘 측은 ‘괴담이다’, ‘우리를 왜 악마화하느냐’며 반박했지만, 윤 당선인의 공약집에는 우회적인 의료민영화 정책이 다수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시민사회 단체 인사들은 윤 당선인의 보건의료정책이 지나치게 민간의료기관 중심이라고 지적하며, 사실상 공공의료를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윤 당선인은 민간병원의 음압병상, 응급실 등에 공공정책수가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며 “공공의료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아닌 민간병원에 재정을 투입해 공공의료 성과를 내겠다는 것이 공공의료 정책이 맞는지 의문이다. 공공정책수가가 아닌 민간수가라 불려야 한다”고 했다.

    정 위원장은 또 "주치의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했지만 사실상 동네병원 의사가 주도하는 것”이라며 “이 정책들은 민간병원이 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사회가 활용할 수 있는 공적의료자원 확보에 실패하는 것”이라고 했다.

    건강정책참여연구소 김준현 소장도 “윤 당선인은 공공정책수가 도입 등 민간주도 방식의 해법을 찾고 있다”며 “정부가 공적 자금으로 민간병원의 비용을 보상하려면 우선 병원의 지배구조를 바꿔 국가가 병원 운영에 개입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의료계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보건부 독립 요구에 대해서도, 보건부가 되면 보건의료 산업화 정책을 추진하는 기관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형준 위원장은 “보건부 독립은 의사·병원 단체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의제로, 보건부 독립을 통해 보건산업화와 관련된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려는 것”이라며 “보건부가 제 기능을 하려면 공공의료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하지만 윤 당선인이 그렇게 추진할 가능성은 없다”고 했다.

    이어 “박근혜 정부 때 정부 조직 개편으로 복지부 산하의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승격된 이후 사실상 식품의약품 ‘산업처’가 된 것처럼 보건부 독립 역시 의료민영화 정책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건강보험 보장성에 대한 지적도 잇따랐다. 윤 당선인은 보장성 목표도 제시하지 않았을뿐더러 빈약한 건강보험 정책을 재난적 의료비로 떼우려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정 위원장은 “윤 당선인은 건강보험을 감세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어 보장성을 강화할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또 재난적 의료비 지원을 공약했는데, 대단한 공약인 것처럼 말하지만 건강보험 보장성을 약화하는 정책의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사회경제2팀 이경민 팀장도 “재난적 의료비가 현실적으로 필요한 사람도 있겠지만, 이것만으로는 건강보험 보장성을 담보할 수 없다. 의료비 지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980 0 2015.09.21
22305 방금 대청국속고려국기에 대한 게시물 있지 않았은지? 7 new 미개한반도미개한망국미개한인민해방전선 473 3 2016.06.06
22304 헬조선의 야근 문화와 장시간 노동제도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7 new 문명개화론자. 589 7 2016.06.06
22303 현충일기념 감성팔이만 하고 아무것도 안해주는 군머 12 newfile 조선론자 701 4 2016.06.06
22302 일본의 혐한 시위 현장. 4 new 기무라준이치로 519 3 2016.06.06
22301 결혼하기 싫은데.. 그넘의 오지랖에 집단문화 8 new 미개한헬조선 885 7 2016.06.07
22300 한달....103만원이면....먹고 산다는....헬조선 경영계.jpg ㅋ 3 newfile 열심히발버둥 774 6 2016.06.07
22299 한국, 환경·일과 삶 균형 OECD 꼴찌…교육·시민참여는 상위권.. 5 new 진정한애국이란 440 7 2016.06.07
22298 우리식 페미니즘 3 new 시대와의불화 509 2 2016.06.07
22297 헬조선 자살률의 새로운 업적 2 new hellokori 486 8 2016.06.08
22296 "일본 로봇기술 러시아서 군사전용 우려" 2 new aircraftcarrier 493 0 2016.06.08
22295 일제 잔재부터 없앨려면 한강 철교부터 없애라wwwwww 2 new aircraftcarrier 309 3 2016.06.08
22294 헬조선 조선업 기술력이 뛰어나다?? new aircraftcarrier 328 0 2016.06.08
22293 자신의 종족을 알지 못하는 한국인. 4 new 이민가고싶다 498 3 2016.06.08
22292 러시아 군사 전문가, 中·日 전쟁 발발시 “중국 패배 확실” new aircraftcarrier 544 0 2016.06.08
22291 문득 몇년 전에 고향집 갔을 때가 생각나더군요. 2 new 28살에탈조선-현재13년차 314 5 2016.06.08
22290 헬조선 전남 신안 윤간 사건 범인, "내 정액이 왜 거기 있지?" 2 newfile 허경영 488 3 2016.06.08
22289 비정상회담 외국인이 본 한국인vs일본인 1 newfile 허경영 557 3 2016.06.08
22288 신안군 출신 이세돌이 살아남은 이유 newfile 허경영 571 6 2016.06.08
22287 [아이디어 구함] 헬조선직장은 맨날 위기고 맨날 구조조정이고 맨날 짜른데...... 9 new 육노삼 469 7 2016.06.08
22286 비정상회담 갓양인의 일침... 주갤 반응.jpg newfile sense4545 852 1 2016.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