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John
22.05.14
조회 수 45
추천 수 2
댓글 0








사실 보다 본질적인 문제는 인간의 탐욕이지만. 

 

시카고 학파 버러지새끼덜의 경도된 설명과는 다르게 오늘날 국가 중심의 양전사업은 금융소득에 노동소득을 물타기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세뇨리지라고 하는 것도 결국 노동소득에 물타기를 하는 것이다.

그래야 구매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금리라는 것은 시카고 학파 개자슥들의 편향적인 설명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물타기 당하는 소동소득 제공자에게 물타기 하는 자본소득 공급자가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다.

저금리라고 하는 것은 그러한 인센티브를 거의 녹인 것이고, 그러한 심사의 배경은 구매력을 독점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은행 새끼덜이 구매력을 독점하려는 관리 지수가 바로 실질금리와 예대마진인 것이다. 종이돈의 양적 팽창만 받아서는 구매력을 독점할 수 없으므로 실질금리를 따지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시카고 학파 새끼덜의 설명과는 다르게 금리와 성장률의 상관관계는 이미 없다는 것은 논문으로도 증명된 일이고, 명목이 아닌 실질을 건지려고 하니까 노동소득제공자들에 대한 인센티브를 줄인 것이다. 그게 바로 금리의 인하이다.

 

그러한 극심한 예시가 바로 일본인 것이다. 일본에서 임금이 오르지 않는 이유는 물가 또한 오르지 않아서이고, 그 것은 일본의 시중은행 새끼덜은 극심할 정도의 실질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예금 이자가 빵원인 것이다.

 

엔화의 실질가치가 극심하게 추구되므로 돈을 쓸 필요가 없어진 것이 일본경제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본의 가장 똥차새끼덜인 금융기관 정규직 새끼덜과 대장성 새끼덜의 실질임금은 존나게 강고하게 지지되는 것에 반해서 다른 놈들은 명목소득은 존나게 강고하게 오르질 않는 것이다.

 

이 것은 돈은 돌고 돌아야 한다는 가장 중차한 법칙부터 구축하는 것이다.

 

돈이 돈다는 것은 마치 소싯적 무협지 절대쌍교의 가의신공마냥 서로 주고 받으면서 커지는 것이 통화의 승수효과인 것이다.

 

내가 20만원 버는 놈인데, 저축 따위 하지 않고 돈 다 쓰면 다른 놈이 20만원을 벌게 되고, 그 놈이 또 20만원을 쓰면 그 다음부터는 처음놈이 20만 5천원을 버는 상황이 올 수 있는 것이다.

그렇게 돌고 돌면서 커지는 것이 경제의 성장이고, 성장이라는 것 또한 전적으로 화폐의 분배작용이다.

 

시카고 학파 새끼덜이 주장하는 저금리가 성장을 촉진할 것이라는 믿음은 정작 성장 그 자체를 설명하는 것에 위배된다고 하겠다. 시카고 학파 새끼덜의 설명에 의하면 고금리 환경은 바로 위의 설명에서 20만 5천원에 커미션을 초래하니까 나쁘다는 것이지만 실상은 승수효과가 나오지 않는 공고함의 재생산 그 자체가 문제인 것이다.

 

미국의 양적완화와 일본 중앙은행의 특이점역시도 미국의 양적완화의 경우에는 실질을 생각하지 않고, 일단은 명목소득의 증가가 될 수 있는 재정정책, 달러 찍어서 뿌리기를 했단 것이다.

 

실질을 생각하게 되면 애초에 양적완화 자체가 일어날 수 없게 되는데 그 지점을 MMT이론이 지적하는 거라고 할 수도 있다.

 

 

즉 오스트리아 학파 새끼덜의 주장과는 다르게 재정정책이건 통화정책이건 처음에는 무조건적으로 그 것은 명목화폐공급에 우선적으로 집중해야 한다. 그게 본인의 주장인 것이다.

 

지금 미국의 패착은 어쩌면 양적완화나 MMT가 닥치고 명목화폐공급을 중시했던 반면에 금리를 인상하면서 다시금 금융권 새끼덜의 실질이자를 챙겨주겠다는 심사가 되는 그 지점에 존재할지도 모른다.

 

물론 상황은 더 가봐야 알겠지만 그러하다는 것이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4 0 2015.09.21
22122 핀란드인 초등학교 교장이 미개한 일본사회의 초등학교에서 보고 경악한것 (일뽕들 반박불가) 14 newfile 프리글루텐 574 2 2017.02.13
22121 핀란드의 나토 가입으로 씨끌벅적한 유럽 1 new 노인 22 0 2022.05.13
22120 핀란드와 한국을 비교하니까 new 노인 45 0 2018.12.12
22119 핀란드에서 여성 군 입대에 관해 논쟁이 일어났다. 1 new 노인 75 0 2018.11.16
22118 핀란드만 해도 징병군인, 공익들 사이에서 파업이 일어난 적이 있다 new 노인 21 1 2022.05.29
22117 핀란드로 마음의 정화 3 newfile 헬리헬성 329 5 2016.02.06
22116 핀란드녀가 말하길 한국의 좌파는 핀란드 우파 같다고 말했다. 4 new 노인 91 0 2018.12.07
22115 핀란드 케노넨 vs 박정희 newfile 노인 44 1 2019.09.16
22114 핀란드 정부가 나토 가입하길 원한다 1 new 노인 11 0 2022.06.02
22113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중단 사례 보니 new 노인 61 0 2018.04.26
22112 픽업아티스트 3 new 지옥을노래하는시인 216 6 2016.06.27
22111 피해자의 고통을 왜 법이 판단하는 것일까요? 19 new 무소유 140 3 2017.09.27
22110 피해자없는범죄 를 속인주의로 처벌하는건 인간을 국가의 소유물, 노예 로 보는 거 아니냐?호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43 0 2018.12.15
22109 피해자없는범죄 를 속인주의로 처벌하는건 인간을 국가의 소유물, 노예 로 보는 거 아니냐?ㄹ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6 0 2018.12.12
22108 피해자를 욕하는게 헬조센정서 7 new 플라즈마스타 360 7 2015.10.25
22107 피해자들이 다닐때 7 new 나도한마디 114 1 2016.08.21
22106 피해자가 죄인인 헬센진 사회 6 new oldberry1800 227 5 2016.08.29
22105 피해자 인권은 없고 가해자 인권만 있는 나라 3 new 평범하게사는게왜이렇게힘들까 224 5 2015.12.30
22104 피해자 없는 범죄를 속인주의로 처벌하는거 자체가 국민을 국가 소유물로 보는 것. 이라 보는데. 다른 ... 1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02 1 2018.03.25
22103 피해자 없는 범죄를 속인주의 처벌 하는건. 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6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