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7.07.06
조회 수 112
추천 수 2
댓글 5








G20 반대해야 할 이유

1. 경제 위기의 고통을 민중에게 전가하기

G20은 경제 위기의 비용을 애꿎은 민중에게 전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긴축 합의다. 2010년 6월 캐나다 G20 정상회의에서는 각국이 2013년까지 재정 적자를 절반으로 줄이기로 합의했다.

G20은 그리스 민중에게 고통을 강요하는 IMF의 긴축 요구안을 지지하기도 했다.

6월 캐나다 토론토 G20 항의 시위6월 캐나다 토론토 G20 항의 시위 ‘우리는 저들의 위기에 대가를 치를 수 없다’ⓒKarim Rezk

2. 악명 높은 IMF를 복권시키다

G20은 힘 잃고 골골대던 IMF에게 명실상부한 금융 감독 권한을 쥐어 주며 부활시켰다. IMF는 G20이 채워 준 완장을 차고 ‘악덕 사채업자’ 노릇을 재개했다.

IMF는 유럽연합의 가난한 동유럽 회원국들인 라트비아·헝가리·루마니아 등에 ‘구제금융’ 지원을 대가로 사회복지 삭감, 공무원 연금과 임금 삭감, 의료 등 공공서비스 민영화, 정리해고 요건 완화 등을 강요했다.

3. 금융통제안을 도입하지도 못하고 투기자본이 빠져나갈 구멍만 만들다

G20 정상회의가 거듭되는 동안 금융규제안들은 말만 무성했고 사실상 규제라고 할 수도 없는 내용으로 후퇴하거나 심지어는 그마저도 폐기됐다. 은행을 구제하려고 조성할 뿐인 은행세조차 더는 논의하지 않기로 합의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4. 개도국의 가난한 민중 지원에는 인색하다

G20은 말로는 개발도상국 지원을 강조하지만 개도국의 가난한 민중을 위한 부채탕감이나 무상원조 같은 조처에는 대단히 인색하다. 대신 다국적 기업이 민중을 더 많이 수탈할 수 있는 각종 조처들을 적극 권장한다.

5. 전쟁을 지지하는 동맹

G20은 ‘대테러’ 동맹에 적극 나서 전 세계에 갈등을 조장해 왔다.

미국뿐 아니라 주요 G20 국가들은 2001년부터 ‘테러와의 전쟁’에 적극 참가해 왔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나토 동맹국들도 각각 1천 명에서 3천 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한국도 아프가니스탄에 재파병한 G20 전쟁 동맹의 일부다.

6. 지구 환경 파괴를 정당화하기

정부와 언론의 호들갑스러운 선전과 달리 G20 정상회의가 기후변화 문제를 진지하게 다룬 적은 한 번도 없다.

G20 런던 정상회의는 경기부양 예산 중 녹색투자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로 한국(80.5퍼센트)을 꼽았는데 여기에는 ‘4대강 살리기’와 주변 정비 사업 예산이 포함돼 있다! 4대강 죽이기가 G20에서 친환경 투자로 둔갑한 것이다.

7. 반노동자 회의체

G20 정상회의 기간 동안 노동 장관 회의는 고용 안정, 노동기본권 보장 등을 말하지만 이것은 완전히 립서비스일 뿐이다.

G20은 ‘노동시장 개혁’, 즉 해고 요건 완화와 비정규직 확대 등 노동유연화를 각국에 강력 주문한다. G20 정상회의는 각국에 노동시장을 유연화하라고 요구하는 IMF 보고서를 채택했을 뿐 아니라 캐나다 G20 정상회의 선언문을 통해 “노동시장 개혁”의 필요성을 강력 주문했다.

8. 민중의 요구와 행동을 짓밟는 G20

캐나다 정상회의에 항의했다는 이유로 9백 명이 연행됐고 17명이 구속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이명박 정부는 아예 G20 경호특별법을 발동했고 군대까지 동원해 G20 정상회의에 항의하는 행동을 봉쇄할 태세다.

9. 철두철미하게 비민주적인 회의체

G20은 수십억 명의 삶이 걸린 문제를 다루면서도 폐쇄적이고 비민주적으로 운영된다. G20 회의는 모두 완전 비공개다.

10. 더 나은 삶을 원하는 전 세계 민중과 연대하기 위해

2009년 4월 G20 런던 정상회의 때에는 노동조합, NGO, 극좌파, 환경 운동가, 반전 활동가 들이 ‘사람이 최우선이다’라는 연합체를 결성해 3만~4만 명이 집결했다. 피츠버그에서는 “자본주의에는 희망이 없다”라는 팻말을 든 학생과 시민 수천 명이 행진했다. 캐나다에서는 2만 5천 명이 모여 항의 시위를 벌였다.

한국에서도 G20에 항의하는 대중시위에 많은 사람들이 동참해 고장 난 자본주의에 맞서는 전 세계 민중에게 연대를 보내자

 

 

 

https://wspaper.org/article/8553






  • 둠헬
    17.07.06
    IMF가 전쟁억지하려고 만들어진거야... 그리스처럼 국가 경제위기에 처하면 꼭 전쟁일으켜 만회해보려는 역사가 길기 때문에 IMF가 금융통제를 해서 전쟁 발발을 막고 구제해보자고 설립된거. 그리고 그리스는 지들이 씹창낸거 유로화 꿀빨때는 가만히 있더니 세계경제불황와서 망하니까 그동안 놀다가 이제와서 남탓하는게 우습지 ㅋㅋ
  • 사실 그렇게 되면 상임이사국도 문제제기될 텐데 문제는 그 상임이사국이 대부분 강대국이라는 거죠. 미국, 러시아만 해도 말 다했는데 거기에 과거 제국주의로 한탕 해먹은, 아니 지금도 영향력 미치는 영국(영연방 국가들), 프랑스(프랑코포니, 베트남과 같은 과거 프랑스 식민지들 중에서 프랑스어 쓰는 국가들 묶은 것, FIFA의 약자가 프랑스어), 아시아에서는 과거 전범국인 일본 제치고 중국이 차지했는데 이들이 제발로 강대국임을 인증해 주는 상임이사국을 포기하려 할까요? 유엔 자체를 부정하게 되는데.
  • 슬레이브
    17.07.06
    G5와 G20이 없으면 선진강대국들은 유엔에서 발을 뺄거고, 그러면 남은 잔챙이들이 발악해놨지 아무 소용 없습니다.
  • 명성황후
    17.07.06

    그러니까 .... 국제기구나 협정같은게 만들어지면 ... 약소국만 피해를 보게돼는구조지요 .

    g7 ,g20만 그러겠습니까 ... tpp나 aiib 그리고 fta도 마찬가지죠 ..

  • 씹센비
    17.07.07
    1가지만 지적하자면, 선진국이 아니라 강대국 이겠지.
    중공이나 러시아 등은 선진국이 아니잖아.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8 0 2015.09.21
21416 탈조선식으로 도피안하고 살려면... 6 new 헬조센탈조센 280 0 2015.12.09
21415 탈조선보다 탈닝겐이 답이다 8 newfile 가이우스옥타비아누스 177 5 2017.07.14
21414 탈조선만이 답. 아니면 그냥 호구. 3 new rob 239 3 2015.09.16
21413 탈조선도 헬조선도 모두 답은 아니다 16 new 굴라크는모든것을해결한다 219 3 2017.07.03
21412 탈조선급 대기업.. 4 newfile 잭잭 345 2 2015.11.12
21411 탈조선과 비슷한이론을 주장을 한국가가있었다. 1 new 명성황후 386 2 2015.10.03
21410 탈조선경함자들한테 묻는다. 20 new 시발넘아 237 3 2017.08.16
21409 탈조선같이 이민에관해서 개인적인 제생각 5 new 죽창든김정은 284 1 2016.02.10
21408 탈조선.. 선진국으로 가는게 맞는가? 6 new 굴라크는모든것을해결한다 422 8 2018.03.19
21407 탈조선(이민)을 하고 싶으신 이유가 무슨 이유 때문이신가요? 26 new 가자가자가자 359 5 2017.10.23
21406 탈조선! 6 newfile rob 203 1 2015.12.02
21405 탈조선 해야하는 이유... 1 newfile 허경영 229 6 2015.12.16
21404 탈조선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깁니다) 6 new 헬스럽네요 289 6 2016.02.11
21403 탈조선 할 때 까지는 투표합시다. 17 newfile 공돌이 251 5 2016.10.19
21402 탈조선 한 분께 꼭 하고 싶은 말... 6 new S1213123 295 0 2015.09.20
21401 탈조선 하기전에 가장 명심해야 할것은 1 newfile sddsadsa 362 9 2016.03.05
21400 탈조선 하고도 트라우마가 남을까 두렵다 new 조선론자 152 5 2016.01.10
21399 탈조선 포기하고 여기에 남아있겠다 6 new 수면제 428 9 2019.01.13
21398 탈조선 최강루트 (장기대기군면제(4급) + 유튜브수익 월100~500만원이상) 1 new 감옥안의사회 95 0 2019.08.31
21397 탈조선 준비가 어찌나 힘든지... 7 new 이넘의헬 563 7 2016.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