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이반카
16.06.25
조회 수 490
추천 수 1
댓글 7








 

 

1. 꼭 필요한 이들만 적용되니 예산이 절약되며 효율적이다. (예를들만 하위20%만 적용)

 

2. 생산적이다. 

 

3. 세금 등 국민부담이 적다. 힘든 부자증세도 필요없다.

 

4. 책임감이 형성된다. 미국의 메디케어도 경우도 좋은예다. 하위15%에만 적용되고 나머지는 자신이 알아서 

해결하기에 모럴 헤저드가 생기지 않는다. 

 

5. 무엇보다 국민들 정서에 잘맞는다. 아시아에서는 대부분 선별복지를 선호.

 

보편적복지니 무상복지니 하면 망한다. 세금도 오르고 

예산낭비에 좋을게 없다. 지하자원도 없는 나라가 말이다.

이 많은 인구 커버못한다. 복지병터져 망하는거 순간이다.

 






  • 은공과 은덕을 베푸는데 조건이 따라 붙는다면 아마도 " 더럽고 치사해서"라는 말을 할 사람들이 많이 생길겁니다. 소득세에 구간이 정해지고 세율이 달라지는것 처럼 소득세율을 높여 그 재원으로 시행한다면 그것이 선별적 복지입니다. 소득이 높은 사람에게 고율의 세금을 소득이 적은사람에게 저율의 세금을....이것이 선별 아닌가요? 다만 세율을 달리적용햇으니 복지적용은 모두에게 같게 적용해도 될듯합니다. 이미 선별은 앞에서 햇으니까요

  • 이반카
    16.06.25
    복지적용을 모두에게 같게하는건 동의 못합니다. 막대한 예산낭비입니다. 대부분 흙수저들도 복지 그렇게 필요하지 않다보고요.
  • ㅇㄴㅇ
    16.06.25
    이 사람은 자기하고 자기가족 자기애인만 잘먹고 잘살면 된다는 마인드임
    자기하고 자기가족 자기애인만 잘먹고 잘살면 된다며?
  • 선별적복지나 보편적복지를 구분적용할 능력이 된다면 그정도 소득을 파악할 능력이 된다면 님 이야기 처럼 해도 될듯 합니다...그렇다면 제이야기처럼 해도 되구요.  한국은 소득수준을 파악할 능력이 안되는데 님이 말한 선별적 복지가 가능한가요?

  • 선별적이냐 보편적이냐는 사실 중요한 말이 아니겟죠. 선별할 능력이 잇다면 그래서 한다면 문제될것이 잇나요? 사실 소득세율을 높이건 님이야기 처럼 복지대상을 선별하건 별차이 없어요. 문제는 재대로 선별할 능력이 잇느냐의 문제고 만약에 없다면 보편적으로 가는것이 맞겟죠. 그리고 재원은 소득세율의 차등에서 만들어야죠.  
  • 죽창 맞은 게시글입니다.
  • ㅇㄹds
    16.06.25
    시리우스 사진
    1436107125297.jpeg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주의)회원들에게 죽창을 맞은 게시물 입니다 ↓ 13 헬조선 3251 0 2015.08.13
817 이 사이트 특징 4 우리민족위해 68 1 2016.08.04
816 러시아, 노르웨이를 뭐라 부르는 줄 알아? 9 이반카 160 1 2016.08.04
815 제군들... 2 나도한마디(비서실장) 101 0 2016.08.03
814 안녕하세요. 처음뵙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2 나도한마디(비서실장) 89 1 2016.08.03
813 이 스웨덴모델이 클라우디아 쉬퍼한테 상대가 안되는이유 8 file 이반카 172 1 2016.08.03
812 북유럽 찬양하거나 이민간인간 특징. 7 이반카 162 0 2016.08.03
811 홍콩의 매력이 뭔 줄 알아? 4 이반카 141 0 2016.08.03
810 한국은 10년 내외로 무너지게 되어 있어요. 탈조선이 답입니다. 32 꼭떠난꼭 1402 25 2016.08.02
809 이슬람들도 서유럽 북유럽 싫어함. 11 이반카 194 0 2016.08.01
808 다시 냉전체제에 돌입하게 될것이다. 13 이반카 127 1 2016.08.01
807 스웨덴 아파트랑 구소련 아파트랑 빼박임. 8 이반카 230 1 2016.08.01
806 복지국가 스웨덴의 부작용 (유토피아의 허상) 6 이반카 392 1 2016.08.01
805 낭만적 도시국가 홍콩에 대해서 소개해본다. 24 이반카 222 1 2016.07.31
804 쿠바가 가난한이유 5 이반카 246 0 2016.07.31
803 내가 실천하고 있는 최소주의 13 이반카 262 3 2016.07.31
802 이 사이트 애들 특징 3 우리민족위해 102 0 2016.07.31
801 '헬조선'이란 말은 기득권층이 퍼틀린것. 3 헬조헬조 176 0 2016.07.30
800 헬조선의 사회적 약자로서 살아가기 힘겹지요. 6 file 나도한마디(비서실장) 132 0 2016.07.30
799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쇼 4 우리민족위해 132 1 2016.07.29
798 이 사이트도 이제 어느정도 일베한테 점령 당한 느낌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4 우리민족위해 102 1 2016.07.29
1 - 47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