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fck123
17.03.02
조회 수 172
추천 수 2
댓글 1








한국에서는 `부자아빠의 몰락`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경제학자 로버트 H. 프랭크의 인터뷰 내용입니다.오늘도 즐거운 노오력들 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자 : 교수님은 테니스 코트에서 생긴 이후에 여기에 있는 조차도 운이 좋으시네요. 말씀 부탁 드립니다.

 

로버트 프랭크 : 저는 인생을 사는 동안 여러 번 우연한 사건들의 수혜자였습니다.하지만 특별히 한 가지 사건이 도드라져 보입니다.

 

2007년 11월 어느 쌀쌀한 아침이었습니다.저는 오랜 친구이자 협력자인 코넬 대학의 심리학자 톰 길로비치와 실내 테니스를 치고 있었습니다.톰이 나중에 말해주는데 제가 2세트 중간 쉬는 시간에 벤치에 앉아 구역질이 난다고 불평했다는군요.바로 얼마 후 저는 벤치에서 쓰러져 바닥 위로 널브러졌다고 합니다.톰이 저를 살펴보려고 무릎을 꿇었을 때 저는 호흡도 맥박도 없었습니다.

 

톰은 911에 전화를 걸어달라고 누군가에게 외친 후 제 등을 바닥에 대고 가슴을 누르기 시작했습니다.톰은 심폐소생술 훈련을 받은 적이 없었지만 우리 대부분이 그러하듯 영화에서 여러 번 봤다고 하더군요.톰에 따르면 오랜 시간이 지나간 것처럼 느껴진 후 제가 약한 기침을 했다고 합니다.하지만 그리고나서 다시 정신을 잃었구요.

 

얼마 지나지 않아서 응급 의료진이 테니스 코드장 문을 박차고 들어왔습니다.그들은 저를 살리기 위해 제 셔츠를 찢고 가슴 위에 심장충격기를 갖다대면서 전기 충격을 가했습니다.지역 병원으로 급히 이송된 후 저는 헬기를 타고 펜실베니아에 있는 큰 병원으로 다시 옮겨졌습니다.그곳에서 하룻밤 동안 의식이 없었다고 합니다.의사는 제 가족들에게 제가 급성 심장마비를 겪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의사들에 따르면 이런 일을 겪는 사람의 98%가 생존하지 못하며 생존하는 극소수도 전형적인 인지 장애와 기타 장애를 겪는다고 합니다.나중에 들었는데 사건이 생긴 지 3일만에 병원 침대에서 제가 계속 횡설수설을 했다는군요.

 

나흘째 되는 날 분명히 설명되지 않는 어떤 이유들로 저는 맑은 정신으로 깨어났습니다.다음 날 퇴원했고 그 후 스트레스 테스트에 통과한 후 저는 톰과 함께 다시 그 테니스장을 찾았습니다.그 시설은 시내에서 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앰뷸런스가 오려면 보통 20분 이상은 걸리는 곳입니다.급성 심장마비의 경우 뇌가 산소 없이 아주 제한된 시간만 살 수 있기 때문에 20분 이상은 생존 시간대를 아주 멀리 벗어나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순전히 운명의 장난으로 제 생명을 구한 앰뷸런스는 그보다 훨씬 빨리 도착했습니다.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그날 아침 일찍 앰뷸런스들이 테니스장에서 매우 가까운 2군데의 교통사고 지역으로 급파되었다고 합니다.그 중 한 사고는 그리 심각하지가 않았고 앰뷸런스 한 대가 몇 백미터를 더 달려서 저를 구하러 왔다는군요.그 날 제가 살아난 것을 단순히 운이 좋았다고 말한다면 이것은 대단히 절제된 표현일 것입니다.

 

질문자 : 그것이 `성공과 (Success and Luck)`이라는 책을 쓰게 계기인가요?

 

로버트 프랭크 : 그 사건도 제가 인생에 있어 운의 역할을 더 진지하게 생각하기 시작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그러나 우리 대부분은 자신의 삶이 외부적 힘에 의해 얼마나 영향 받는 지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서서히 깨닫게 되면서 `성공과 운`이라는 책을 써야겠다는 결심을 더욱 하게 되었습니다.물론 제 테니스장 사건이나 복권 당첨처럼 때때로 운이 너무도 극적인 방식으로 우리 인생에 개입해서 우리가 그것을 분명히 인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러나 그런 경우는 희귀합니다.

 

대부분 우리의 삶은 눈에 띄지 않는 미묘한 방식의 무작위성에 의해 어떤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누군가는 아마도 11학년에 문제를 덜어주는 선생님이 있었을 것입니다.누군가는 약간 더 자격 있는 동료가 병든 부모님을 보살펴야 했기 때문에 승진을 더 빨리 했을 수도 있습니다.모든 커리어 패스는 수 백개의 작은 단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그리고 그 중 어느 하나라도 달랐다면 마지막 종착지도 달라졌을 것이며 때로는 아주 많이 달라지기도 합니다.그러한 우연의 중요성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성공한 사람들이 시치미를 뚝 떼고 완전히 자신의 노력만으로 성공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 것입니다.문필가 E.B 화이트가 말했듯이 ``운은 자수성가한 사람 앞에서 당신이 말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닙니다.``

 

질문자 : 네팔에서 만난 사람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그리고 사람이 당신에게 그렇게 많은 반향을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도 말씀 부탁 드립니다.

 

로버트 프랭크 : 그는 젊은 부탄 사람인 비르크하만 라이였을 겁니다.그는 제가 네팔에서 평화봉사단으로 일할 때 제 요리사였습니다.지금까지도 그는 제가 만난 가장 재능있고 재치있는 사람들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양을 잡고 알람시계도 고치며 지붕을 다시 잇는 일 모든 것이 그에게 가능했습니다.그는 구두창도 갈 줄 알았고 장사하는 사람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도 좋은 흥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그에게 지불할 수 있었던 얼마 안 되는 돈이 아마도 그의 인생 궤적에서 가장 큰 금액이었을 겁니다.그가 아직 살아있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하지만 살아있다면 그는 네팔 남성의 평균 수명을 훌쩍 뛰어넘었을 겁니다.그러나 그가 만약 미국에서 태어났더라면 그는 오랜 시간 동안 건강한 삶을 기대했을 것입니다.그리고 아마 번창했을 것이며 심지어 눈에 띄는 성공을 거두었을 지도 모릅니다.

 

잠깐이나마 성공한 미국인이 이 문제를 생각해본다고 가정해 보시죠.대부분은 자신이 비르크하만 라이처럼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태어났더라면 자신의 인생도 매우 달라졌을 것이라는 점을 인식할 것입니다.그러나 대부분 사람은 이 문제에 대해 잠깐이라도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질문자 : 운에 대한 개념이 그렇게 많은 사람에게 그리도 위협적일까요?

 

로버트 프랭크 : 이 질문에 대한 답의 힌트는 2012년에 있었던 두 개의 비슷한 정치 연설에 대한 적대적 반응에서 찾아 볼 수 있습니다.하나는 버지니아주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한 연설이었고 다른 하나는 메사츄세스주에서 엘리자베스 워렌 상원의원이 한 연설이었습니다.당신이 그 연설문을 다시 읽는다면 각 연설의 핵심 주제가 전혀 논쟁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알게 될 겁니다.두 연사 모두 기업가들이 누릴 수 있는 어떤 성공도 부분적으로는 기업 지원 환경에 대한 사회의 투자 때문에 가능했다는 점을 그들에게 단지 일깨워 주고자 했습니다.예를 들어 판매자는 우리가 지불한 세금으로 만든 도로 위에서 제품을 시장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이들은 공동체 비용으로 교육을 받은 종업원을 고용하며 세금으로 운영되는 경찰관과 소방관들의 보호를 누립니다.이들은 우리의 법적 시스템 때문에 시행이 가능한 계약서를 쓸 수 있습니다.이 밖에도 기타 등등 많이 있지요.두 연설 모두 분명한 요지는 기업가들이 다음 세대에게 비슷한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미리 세금을 지불하는 자신들의 책임을 안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눈사태처럼 쏟아진 격분한 논평들에서 볼 수 있었듯이 많은 기업가가 들은 것은 그런 메시지가 아니었습니다.이들은 스스로 이룬 성공에 대해 자신이 자격이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생각했습니다.자신의 높은 자리에 대해서도 자격이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생각했습니다.두 연설은 재빨리 ``니가 그걸 한 게 아니야(you-didn`t-build-that)`` 연설로 알려졌습니다.하지만 그것은 분명히 연사가 의도하는 메시지가 아니었습니다.

 

어떤 이들은 전략적인 이유로 자신이 스스로의 힘으로 성공했다는 것을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그들의 수중에 떨어지는 어떠한 돈에 대해서든 그 권리가 강화되길 희망하는 것이죠.그리고 운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사람일수록 더 강한 특권의식을 느낀다는 증거가 실제로 있습니다.

 

그러나 운의 중요성에 대한 부정을 조금 더 너그럽게 볼 수도 있습니다.성공한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구축할 때 그들은 어떤 사건들을 설명하면서 우리 모두가 보이는 똑같은 종류의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을 겪게 됩니다.이런 편향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사후확증 편향(hindsight bias) 입니다.사후확증 편향에 따르면 관찰되는 성과는 실제보다 훨씬 더 쉽게 예측 가능한 것처럼 보입니다.예를 들어 성공적인 사업 경력을 설명하려는 사람은 그 성공적인 결과와 부합되는 세부 사항들을 자신의 기억 저장고에서 찾으려고 합니다.그리고 대부분의 성공한 사람은 매우 재능있고 근면하기 때문에 자신이 근무한 오랜 시간과 자신이 해결한 어려운 문제들에 관한 많은 기억을 찾으려고 합니다.그러한 기억들이 그/그녀의 인생 이야기의 뼈대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그 이유가 무엇이든 운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경향 때문에 세금 저항에 불이 붙었으며 이것은 많은 사람의 성공을 가능케한 환경들을 유지하는 우리의 능력을 위험에 빠뜨렸습니다.

 

질문자 : 일반적으로 말할 운의 중요성에 대한 어떤 견해는 사람의 정치적 태도에 달려있나요? 설명 부탁 드립니다.

 

로버트 프랭크 : 보수주의자(conservatives)와 진보주의자(liberals)를 구분하는데 있어 인생 성공의 상당 부분이 운의 여부에 달려있다는 질문보다 더 믿을 만한 잣대는 없습니다.자유 의지에 대한 논의와 비슷하게 진보주의자는 외부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수주의자는 개인 주도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운의 역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은 결코 당파적 스펙트럼의 어느 한쪽에 국한되지 않습니다.그리고 유권자들이 경제적 성공을 가능케하는 공공투자에 대한 지원을 꺼려하게 됨으로써 양측 진영에 있는 시민 모두가 결과적으로 고통을 겪어 왔습니다.

 

운에 대한 상반되는 각각의 견해는 진실의 본질적 부분을 분명히 담아냅니다.사회학자인 던칸 와트는 이렇게 썼습니다.성공적인 인생의 건설은 자신이 자기 운명의 작가라는 깊은 확신을 필요로 한다.성공적인 사회의 건설도 똑같이 그 누구의 운명도 자신 스스로의 것이 아니라는 깊은 확신을 필요로 한다.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 생각들의 균형을 잡는 일이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사회적 도전일 수도 있습니다.

 

힘을 주는 소식은 우리의 투자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세금이 대부분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덜 고통스러울 것이라는 점입니다.특정 기준 소득 지점을 넘게 되면 원하는 것을 구입하는 사람의 능력은 절대치로 얼마나 지출하느냐 보다는 상대적 구매력에 훨씬 더 많이 의존하게 됩니다.우리 중 가장 성공한 사람들이 각각 조금만 더 세금을 낸다면 모든 대저택이 아주 조금씩 더 작아질 것이고 모든 자동차는 덜 비싸질 겁니다.모든 다이아몬드가 더 평범해질 것이고 모든 축하 파티의 비용은 조금씩 더 저렴해질 것입니다.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 ``특별함(special)``을 정의하는 기준도 합당하게 조정될 것입니다.성공한 사람들은 이전과 마찬가지 정도로 만족감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 원 문 ]

 

Success and Luck: An Interview with Robert H. Frank

 

PS: You’re lucky to even be here after what happened to you on a tennis court. Explain.

 

RF: I’ve been the beneficiary of chance events many times during my life, but one in particular stands out.

 

I was playing tennis with my longtime friend and collaborator, the Cornell psychologist Tom Gilovich, at an indoor facility on a chilly November morning in 2007. As we sat between games during the second set, Tom later told me, I complained of feeling nauseated. Moments later, he said, I fell off the bench and lay motionless on the court. When he knelt to investigate, I wasn’t breathing and had no pulse.

 

After yelling for someone to call 911, he flipped me onto my back and started pounding on my chest. He hadn’t been trained in CPR but, like most of us, had seen it done many times in films. After what seemed like forever, he said, he got a weak cough out of me. But then I slipped away again.

 

Moments later, a team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burst through the door of the tennis facility. They cut off my shirt, put the paddles on my chest and shocked me back to life. After being rushed to our local hospital, I was flown by helicopter to a larger hospital in Pennsylvania, where I was put on ice overnight.

Doctors told my family learned that I’d suffered an episode sudden cardiac death. They said that 98 percent of people who experience such episodes don’t survive them, and that the the few who do typically suffer serious cognitive and other impairments. And in the three days following the event, I’m told, I spoke nonstop gibberish from my hospital bed.

 

But on day four, for reasons that have never been clearly explained to me, I awoke with a clear head. I was discharged the next day, and after passing a stress test shortly thereafter, I was back on the tennis court with Tom again.

Since the facility where we were playing was located well outside the city, it would normally have taken an ambulance dispatched from Ithaca more than 20 minutes to reach me. That’s well beyond the survival window for sudden cardiac death, since the brain can survive for only a limited time without oxygen.

 

But by a pure twist of fate, the ambulance that saved my life got there much more quickly than that. Earlier that morning, it turns out, ambulances had been dispatched to two separate auto accidents that had occurred very close to the tennis center. And since the injuries involved in one of them weren’t serious, an ambulance had been able to continue a few hundred yards further to attend to me. To call myself lucky to have survived that day is thus a gross understatement.

 

PS: Was that the impetus for writing the book?

 

RF: It’s certainly one of the reasons I began thinking more seriously about luck’s role in life. But my decision to write Success and Luck was spurred more by my gradual realization that most of us scarcely notice the extent to which our lives are shaped by external forces. Of course, chance sometimes intervenes in such dramatic ways that we can’t fail to notice, as in my experience on the tennis court, or when someone wins the lottery. But such instances are rare.

 

Mostly our lives are shaped by randomness in subtle ways that escape notice. Maybe you had a teacher who steered you away from trouble in the eleventh grade, or perhaps you got an early promotion because a slightly better qualified colleague had to care for an ailing parent. Every career path consists of many hundreds of small steps, and if any one of them had been different, the final destination would also have been different, often markedly so. Failure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such contingencies helps explain why so many successful people are able to insist with a straight face that they’d made it entirely on their own. As the essayist E. B. White once wrote, “Luck is not a subject you can mention in the presence of self-made men.”

 

PS: Talk to me about the man you met in Nepal and why he resonated so much with you.

 

RF: That would be Birkhaman Rai, the young Bhutanese hill tribesman who worked as my cook during my time as a Peace Corps Volunteer in Nepal. To this day, he remains one of the most talented and resourceful people I’ve ever met. He could butcher a goat, repair an alarm clock, and re-thatch a roof. He could re-sole shoes. He could bargain hard with merchants without offending them.

 

Yet the pittance I was able to pay him was probably the high point in his lifetime earnings trajectory. I don’t know if he’s still alive, but if so he’d be well past the normal life expectancy of men in Nepal. If he’d been born in the U.S., however, he’d be looking forward to many years of continued good health, and he probably would have been prosperous, possibly even spectacularly successful.

 

If successful Americans considered the matter even briefly, most would recognize that their lives would have turned out very differently if, like Birkhaman Rai, they’d been born in one of the world’s poorest countries. But most never give it a moment’s thought.

 

PS: Why is this notion of luck so threatening to so many?

 

RF: We see a possible hint to the answer in the hostile reactions to two similar political speeches given in 2012, one by President Obama in Virginia, the other by Elizabeth Warren in Massachusetts. If you’ll reread the texts of those speeches, you’ll see that the essential point made in each was not controversial in any way. Both speakers merely sought to remind business owners that any successes they may have enjoyed were made possible in part by society’s investments in supportive environments. Sellers were able to ship their goods to market, for example, on roads the rest of us helped pay for. They hired workers educated at community expense, and enjoyed protection from police and firefighters paid for by tax dollars. They were able to write contracts enforced by our legal system, and so on. The clear point of both speeches was that business owners should embrace their responsibility to help pay forward in support of similar opportunities for the next generation.

 

But as evidenced by a veritable avalanche of outraged commentary, that’s not the message that many business owners heard. Many thought they’d been told that they didn’t really deserve the success they’d achieved, that they didn’t deserve the lofty positions they held. Both addresses quickly became known as the “you-didn’t-build-that” speeches. Yet that was clearly not the speakers’ intended message.

 

Some might insist they succeeded entirely on their own for strategic reasons, hoping to reinforce their claim to whatever money has come their way. And there is indeed evidence that people who deny luck’s importance also feel a stronger sense of entitlement.

 

Yet the denial of luck’s importance can also be viewed more charitably. When successful people construct the narratives of their own lives, they suffer from the same kinds of cognitive biases that we all exhibit when trying to explain events.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is hindsight bias, according to which observed outcomes appear far more easily predictable than they actually were. Someone trying to explain a successful business career, for example, searches her memory bank for details that are consistent with that outcome. And since most successful people are both extremely talented and hardworking, she’ll find lots of memories of all the long hours she worked and all the difficult problems she solved over the years. Those memories will form the backbone of her life story.

 

Whatever its cause, the tendency to deny luck’s importance has kindled tax resistance that has jeopardize our ability to maintain the kinds of environments that enabled so many of us to succeed in the first place.

 

PS: Generally speaking, does the view of the importance of luck hinge on one’s politics? Explain.

 

RF: Few questions more reliably divide liberals from conservatives than that of whether success in life depends to any significant extent on luck. As in discussions of free will, liberals tend to emphasize to the importance of external circumstances, while conservatives tend to stres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initiative.

 

But the tendency to underestimate luck’s role in success is by no means confined to one end of the partisan spectrum. And citizens from both sides of the aisle have suffered from the resulting reduction in the electorate’s willingness to support the public investments that make economic success possible.

 

Each of the opposing views about luck clearly captures essential elements of reality. As the sociologist Duncan Watts has written:

Building a successful life requires a deep conviction that you are the author of your own destiny. Building a successful society requires an equally deep belief that no one’s destiny is their own to write. Balancing these seemingly contradictory ideas may be the most important social challenge of our time.

 

The encouraging news is that the taxes required to redress our investment shortfall would be much less painful than most people think. Beyond a certain income threshold, people’s ability to get what they want depends much more on their relative purchasing power than on how much they spend in absolute terms. If the most successful among us each paid a little more in tax, all mansions would be marginally smaller, all cars less expensive, all diamonds more modest, and all celebrations a bit less costly. In each case, however, the standards that define “special” would adjust accordingly. Successful people would be no less satisfied than before.

 






  • 사실 제가 보기에는 삶의 질과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 중 90% 정도가 운인 거 같습니다. 실제로 인생변수는 너무나 많고 사람의 주요 특성을 결정하는 것 중 수저(출생과 어릴적 환경 + 부모지원)가 제일 중요하기때문에...

     
    그 나머지 10%조차, 상당수는 인생에서 어떠한 선택을 했느냐에 의해 결정되며 노오오오오력은 많아봐야 5%미만입니다. 심지어는 노력에 비례해서 능력이 향상된다고 하는 분야들조차 대부분은 재능이나 환경에 의해 결정되며, 센징들이 노오오오력이 영향을 많이 끼친다고 보는 공부(학습)조차 순수 노오오력에 의한 결정도는 4%에 불과합니다.
    http://hellkorea.com/index.php?_filter=search&mid=hellge&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EC%98%A8%EC%83%88%EB%AF%B8%EB%A1%9C&document_srl=93976
     
    그러니 상류 통치계급이 운과 성공의 밀접한 관계를 부정하는 건, 일종의 정치적인 논리에 의한 주장입니다. 
    예컨데 그들의 성공이 운이라고 하면 그들이 가진 특권 중 많은 부분들이 정당성을 상실하게 되고, 그 결과로 그들은 많은 특권과 부를 잃고 사회 전체 자원의 재분배가 자본가와 통치계급에게 유리한 현재 상황에서 사회 전체 구성원에게 부의 분배구조가 유리하도록 바뀌는 게 정당성을 더 많이 가지게 되거든요.
     
    위의 글은 공개적인 논설이라 나름 체면차리느라고 ``니가 그걸 한 게 아니야(you-didn`t-build-that)`` 와 같이 보여지는 게 발표자의 의도가 아니다라고 일단 쓰기는 했지만, 제가 보기에는 그것은 응당 ``니가 그걸 한 게 아니야(you-didn`t-build-that)``가 되어야 맞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그들이 한 노오오오오력과 기증도를 훨씬 뛰어넘는 사회적인 특권과 대우를 사회 전체의 부의 분배와 행복도를 손상시켜가면서 독점하고 있는 것이니까요.
     
    운과 성공의 상관관계와 사회 전체의 행복도 극대화라는 공리주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소수 1-2%정도의 상류계층에게 희생을 강제하여 사회 전체에게 배분되는 몫을 크게 증대시키는 건 논리적으로 높은 타당성을 지니며 사회 행복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어차피 한계효용으로 인해 일정수준 이상의 부를 가지는 게 해당 개인에게 그만큼의 행복도 증대를 가져오지는 않구요.
     
    그렇지만 인간의 특성상 인간이 통치하는 한 사회통치구조는 소규모의 사회가 아닌 한 효율성 문제로 인해 과두제의 양상을 띄게 되는데, 이는 필연적으로 소규모의 사람들에게 부의 집중을 가져올 수 밖에 없는 구조라 이론적이고 논리적인 수많은 해결책에도 불구하고 부의 재분배에 대한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것입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95 0 2015.09.21
18962 헬조선 이력서 욕하는 영상 new 노인 50 0 2019.01.01
18961 헬조선의 젊은 꼰대 이야기 1 new 노인 72 0 2019.01.01
18960 자유에 대해 헛소리를 지껄이고 있는 기사에게 10 new 노인 64 0 2019.01.01
18959 헬조선 인종주의 2 new 노인 47 0 2019.01.01
18958 이쯤에서 다시 적는 한국상류층 오랑캐지배층의 역사. new Direk 77 0 2019.01.01
18957 조5센징. JPG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54 1 2019.01.01
18956 학교폭력 최대 가해집단은 학교측과 교직원들인데, 이걸 쏙 빼놓고. 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7 1 2019.01.01
18955 제도화, 일상화된 폭력 및 범죄. txt 1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3 1 2019.01.01
18954 난민들도 안타깝지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28 0 2019.01.01
18953 수구보수=진보좌파. 1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36 0 2019.01.01
18952 일본이 망한다는소리를 가장많이하는사람들이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39 0 2019.01.01
18951 페미니즘.여혐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라 . 1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48 0 2019.01.01
18950 난 매국노인가 . 3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54 2 2018.12.31
18949 서민들이나 재벌들이나 똑같은것같다 .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31 0 2018.12.31
18948 헬조선 에휴 ~~ new 파크라슈 143 0 2018.12.31
18947 최저임금에 주휴수당 넣었네 이 병신덜아. 5 new Direk 168 2 2018.12.31
18946 난민이 무조건 싫다며 혐오하는 자들에게 15 new 노인 73 1 2018.12.31
18945 난민이라는거 그런게 필요없는건데, 각국 지도자 병신새끼덜이 존나 멍청해서 문제인거다. 1 new Direk 84 2 2018.12.31
18944 센징이의 천성 3 new 서호 78 1 2018.12.31
18943 난민이 어쩌네 인종차별이 어쩌네 말많구만 1 new 얼드컵 40 1 2018.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