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리아트리스2017.09.02 01:17

최근에 이러한 시도를 한 것들이 D-Wave 같은 것들인데, 일종의 양자 컴퓨터의 원리를 응용해 만든다거나 혹은 DNA입자를 만들어서 대체한다고 하는 것 같기는 하더군요.

그렇지만 이러한 실험실 기술들이 practical한 대량양산으로 들어설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는 조금 불명확하기는 하네요.
 
3차원 적층 기술은, 근래에도 메모리 분야에서는 삼성 등 여러 기업이 많이 사용하고 있기는 하더라구요. 
다만 정말로 중요한 비 메모리 분야에서는 아직 실용적인 사용례를 찾기가 어렵기는 한데, 당분간의 기술발전들 중 2nm문제를 회피할 제일 유용한 기술적인 접근은 이 쪽이 되겠지요.
 
 
기술적인 문제도 있지만
요즈음 저러한 기술들이 나름 태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발전이 당장 컴퓨팅 파워의 발전으로 직결되지 않는 문제로서 더 큰 요인은 바로 비용의 문제라고 보고 있습니다.
 
근래 10년간 컴퓨터들의 집적도와 구조가 고도로 집약되다 보니 여기에 들어가는 연구비와 생산비 또한 갈수록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점점 물리적인 한계에 근접해 감에 따라, 집적 비용이라던지 혹은 그 외의 컴퓨터 칩 개발에 대한 기술적 난이도의 급격한 상승은 연구 자체의 난이도를 과거와는 달리 크게 증가시키고 있거든요.
 
이 문제에도 물리적인 해결책은 충분히 있을 것이고 결국 언젠가는 해결하겠지만.
컴퓨팅 파워의 발전이나 IT관련 기술발전 속도의 둔화는 기술적인 것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적 요인 등 여러 이유로 인해 2020년대 이후에는 상당히 둔화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있네요.
사진 및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왼쪽의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용량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