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제군들중에 직장인만 해당될걸세~

 

혹시 돈을 안 쓰고도 헬조선의 불온도를 낮출수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떻겠나?

 

(펌글일세)

 

세상에 어디 그런 방법이 있느냐고요? 예! 확실하게 돈을 안 쓰고도 좋은 일을 그것도 보람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방법이 어떤 방법이냐고요? 그방법은 바로 정치인을 후원하는 것입니다. 정치자금법에 의하면 년 100,000까지 정치인에게 후원하는 금액은 년말 정산 때 전액 환불됩니다. 저게 지지하는 정당은 정의당입니다. 오는 4. 13일 치러지는 제 20대 총선에 출마하는 청치인들 가운데 그래도 현역의원들은 지명도와 현역프리미엄이 있어서선거를 치르는데 선거자금으로 크게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있지만 이제 정치를 시작하려는 신인후보들 중에는 선거자금으로 어려움을 겪는 후보들이 적지 않습니다. 당장 돈을 쓸 수 없는 불편함은 있지만 년말정산 때 전액 돌려 받을 수 있는 4. 13총선에 출마해 선거자금을 제대로 조달하지 못해 선거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치인을 후원하는 것 어떻습니까? 우리의 작은후원과 참여로 기존의 관행에 쩔은 정치인들을 때묻지 않은 신인으로 바꾸어 우리의 정치를 바꾸고 우리의 사회와 생활을 바꿀 수 있다면 그아니 좋지 않을까요? 젇치후훤금을 후원하시면 해당 정치인에게서 후원금에 대한 영수증을 보내오며 보내온 영수증을 년말정산 때 제출하시면 정치후원금으로 예금하셨던 원액을 전액 돌려받으시게 됩니다. 나아가 양심적인 정치인이 출마한 지역에 아는 지인이 있으시면 지지와 투표를 권하고 독려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입니다. 행사하지 않은 권리는 죽은 권리이며 죽은 권리는 국가도 법도 보호해주지 않습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80506 0 2015.09.21
9409 엄마. 우리집은 왜 이렇게 좁아.? 원룸 에서 사는 빈곤층 가족들. new 기무라준이치로 180 0 2019.03.13
9408 한국인 중에 유독 다른 사람한테 피해끼치고, 무례하고, 제멋대로고, 모욕하고.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52 0 2019.03.13
9407 헬조선의 lookism new 노인 148 0 2019.03.13
9406 헬조선 취업 면접 질문 new 노인 214 0 2019.03.13
9405 헬조선 페미들이 남성들이 특권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반박 new 노인 218 0 2019.03.13
9404 여가부 외모 가이드라인의 문제점 new 노인 200 0 2019.03.13
9403 출산율 감소에 관해 1 new 노인 637 1 2019.03.13
9402 여성 간부에 관해서 2 new 노인 252 0 2019.03.13
9401 한국인이 유독 무례한게 이런것들인듯. 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416 1 2019.03.13
9400 북한이 남한 사회에서 존재하는 성차별 사례 보고 쉴드 치는 것을 보니 new 노인 266 0 2019.03.13
9399 헬조선에 믿을만한 인간(페미니스트, 정치인 포함)이 많이 없다 new 노인 259 0 2019.03.13
9398 test입니다 6 new 헬조선 281 8 2019.03.13
9397 둠조센의 방송, 영화, 음악을 보면 얼마나 수준이 떨어지냐 4 new 전봇대 447 8 2017.11.05
9396 Hell고려가 이야기 하는 헬조선 8 new 노인 451 7 2017.10.03
9395 한국어를 전공한 어느 일본인이 쓴 글 21 new 노인 812 8 2017.10.01
9394 디씨에서 이야기 하는 한국의 김치 세뇌 교육 비판 13 newfile 노인 502 7 2017.09.30
9393 북한 요리도 세계인들 사이에서 싫어해 한다 4 newfile 노인 445 7 2017.10.15
9392 센징이의노래와일본의노래가다른점. 33 new 일본앞잡이기무치 454 7 2017.10.03
9391 북한의 반일 교육 5 newfile 노인 424 7 2017.10.01
9390 대만이 일제 식민지 시절을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 19 newfile 노인 526 7 2017.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