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경제규모 3분의 1 불과해 사실상 30배…세계 최대 수준
"경기 나쁘면 직원 월급부터 안 주는 사업주 인식 고쳐야"

(서울=연합뉴스) 안승섭 기자 = 우리나라 임금체불액이 경제규모가 훨씬 큰 일본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임금체불 규모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세계 최대 수준이다. 임금체불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사업주들의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에서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근로자는 29만 2천558명, 체불된 임금 규모는 1조 3천195원에 달했다.

연도별로 차이는 있지만, 체불임금 규모는 2009년부터 매년 1조원을 넘었다.

이는 이웃 나라 일본과 비교했을 때,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로 큰 금액이다.

2014년 일본의 임금체불 근로자는 3만 9천233명, 체불액 규모는 131억 엔이었다. 100엔당 1,100원가량인 환율을 적용하면 원화로 1천440억원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체불임금 규모가 일본의 10배에 가깝다는 얘기다.

한국과 일본의 경제규모 차이를 고려하면 우리나라 임금체불의 심각성은 더 커진다.

2015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조 3천779억 달러로 일본(4조 1천233억달러)의 3분의 1 수준이다.

경제규모가 일본의 3분의 1임에도 임금체불액이 10배에 가깝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우리나라의 체불액이 일본의 30배에 육박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 임금체불이 이처럼 일본보다 훨씬 많은 것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우선 일본의 고용시장이 우리나라보다 좋다는 점이 꼽힌다.

일본은 베이비부머가 대거 은퇴하고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든 탓에 구인난에 시달리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 임금을 제대로 주지 않으면 구직자를 구하기 힘들다고 볼 수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강소기업이 많다는 점도 우리나라와 다른 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기업 하도급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이 많다 보니, 대기업이 일방적인 납품단가 인하 등 '갑질'을 하면 그 피해가 하청업체의 인건비 감축 등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만으로 일본의 10배에 가까운 우리나라 임금체불 규모를 설명하기는 힘들다.

이승욱 이대 법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임금체불 규모는 일본보다 훨씬 많은 것은 물론 미국, 유럽 등과도 비교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세계 최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근로자 임금체불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우리나라 노동시장 문화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고 지적한다.

한 근로감독관은 "상당수 사업주가 경기가 나빠지면 직원들 월급은 주지 않아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을 하고 있다"며 "더구나 회사 사정이 그리 나쁘지 않음에도 고의로 임금을 체불하는 사업주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의·상습적으로 임금을 체불하는 사업주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6월 구미에서는 근로자 54명의 임금 7억 4천만원을 체불해 개인 건물 신축과 상가 매입 등에 쓴 제조업체 회장 이모(69)씨가 구속됐다.

고급 아파트와 호화 주택, 외제승용차를 소유한 그는 호화 주택의 나뭇값으로만 1억원을 넘게 썼다. 일부 근로자는 몸이 아프거나 어려운 경제 사정으로 생계 위협까지 받는 실정이었다.

7월에는 원청업체에서 받은 돈 1억 8천만원 중 1억 4천만원을 빼돌려 개인 빚을 갚은 조선사 협력업체 대표 김모(43)씨가 구속됐다. 근로자 50여명의 임금 2억 8천만원을 주지 않은 상태였다.

8월에는 회사 재산 대부분을 빼돌린 뒤 도주하고서 2억 7천만원을 들여 다른 회사를 인수, 아들 이름으로 경영하던 이모(56)씨가 구속됐다. 직원들의 체불임금은 8억 9천만원에 달했다.

일본에 주재했던 회사원 조모(44)씨는 "일본에서는 사업주가 직원 임금을 빼돌려 개인 빚을 갚거나 다른 회사를 세운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라며 "회사가 아무리 어려워도 직원 월급은 반드시 줘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전했다.

임금체불을 감독할 고용부 근로감독관 수를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80만 개 사업장을 감독할 우리나라 근로감독관은 1천여명에 불과해 한 명의 감독관이 1천800개 사업장을 감독해야 한다.

이는 근로감독관 수가 1만 7천여명에 달하는 미국 등에 비해 터무니없이 적은 수다. 악덕 사업주가 법망을 빠져나가기가 그만큼 쉽다는 얘기다.

권혁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근로자 생계가 달린 임금은 최우선 변제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사업주가 상당수"라며 "임금체불 사업주에 대한 처벌 강화와 현장 감독인력 증원, 사업주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 등 다각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6/09/04 07:15 송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661835

 

 

 

 

 

 






  • 솔직히 아무리 헬조선이 뭐라고 지랄을 해도 일본 노동환경 가지고 지랄할 자격이 안됨
  • 하이
    16.11.09

    지랄하기 전 한국 노동환경이 더 안좋음 요줌 에는요 월급 나오는 것도 그렇고요 대부분 비정규직이나 노예로 많이 부려 먹어서 요줌 일본인들 욕 하면 안돼요 여기 한국 잘못 됀개 더 많은것 같아요 일본인들이 아마 한국 노동환경이나 월급이나 일하는 환경보면 아마 면함을 못내밀뜻헤요 ㅋㅋ 일본 은 예전에 비해 밭긴개 있는데 한국은 몋백년이나 밭긴개 거이 없음 거이 예전이나 요줌이나 거이 조선시대 처럼 돼어있져 이려니깐 외국에서 한국을 미개하다고 하지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7 0 2015.09.21
15882 여혐 남혐에 관해서 한마디.. newfile 기름찌꺼기등불 125 0 2018.01.26
15881 Future is comming 2 new leakygut 172 2 2018.01.25
15880 뉴욕 타임스퀘어에 MC무현 데뷔 2 new 일뽕극혐 192 0 2018.01.25
15879 손님은 왕은 옛말?? 4 new 희망없는헬조센 197 0 2018.01.25
15878 국문과생이 바라보는 시각 new lovely 136 0 2018.01.25
15877 무인 버스와 아마존 고 2 newfile 기름찌꺼기등불 134 0 2018.01.24
15876 남한 검사판사 될 애들 군검찰 군법원 일 시키는게.txt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00 0 2018.01.24
15875 [셀프디벨럽10] 바로 그것! 센징의 기준을 초월하는 것 new 기름찌꺼기등불 140 2 2018.01.23
15874 여성징병에 관해 누가 쓴 글 new 노인 175 1 2018.01.23
15873 모든 구조는 가장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형태를 자동으로 찾아간다. 1 new 박멸장인세스코 108 2 2018.01.23
15872 이 사이트 망했네 ㅋㅋㅋㅋㅋㅋㅋ 3 new 장미 333 1 2018.01.23
15871 우리는 너무나 오랫동안 빈틈없는 이성의 틀에 사로잡혀 숨죽이고 살아왔다-박정자 교수 new 감성팔이. 108 0 2018.01.23
15870 [셀프디벨럽9] 환경설정의 아케이드 newfile 기름찌꺼기등불 66 1 2018.01.22
15869 문재인 정부에게 아쉬운 점. 1 new 젖깔 176 2 2018.01.22
15868 [셀프디벨럽8] 뻘짓의 관리 2 newfile 기름찌꺼기등불 121 0 2018.01.21
15867 와... 헬 생활은 어딜 가도 헬... 일하는걸 너무 중독시키는 나라 3 new 헬조선붕괴협회 305 2 2018.01.21
15866 이성계 몽골새끼 맞네. newfile DireK 205 1 2018.01.20
15865 [셀프디벨럽7] 충격과 꿀 newfile 기름찌꺼기등불 108 1 2018.01.20
15864 조센진은 북방 유목민과 일절 관계 없다 6 new Uriginal 129 0 2018.01.20
15863 조선왕조는 몽골계 이민족 왕조인가? newfile DireK 134 2 2018.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