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지난 14일 오후 서울 홍제동의 연립주택 밀집지역. 이면 도로를 마주하고 빽빽하게 들어선 연립주택 안에서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도마질 소리, TV 소음, 아이들 웃음이 흘러나왔다. 3~5층 높이의 연립주택들 사이로 이보다 조금 낮은 2층짜리 연립주택이 하나 서 있다. 15년 전인 2001년 3월 4일 새벽 이 자리에 있던 연립주택이 화염에 휩싸였다. 불길은 5분여 만에 잡혔다. 60대 집주인은 “1층에 아들이 있다”고 애원했다. 소방관 9명이 생존자를 찾아 연기 속으로 뛰어들었다. 건물은 낡고 물을 많이 머금은 상태였다. 소방관들이 진입한 순간 건물은 ‘우르르’ 소리를 내며 무너졌다.

 


소방관 6명이 목숨을 잃은 ‘서울 홍제동 화재’였다. 박동규(46) 소방장, 김철홍(37)·박상옥(33)·김기석(43) 소방교, 장석찬(35)·박준우(31) 소방사 등 서울 서부소방서(현재의 은평소방서) 구조대원 여섯 명이 숨진 채 잔해 속에서 발견됐다. 안에 있다던 집주인 아들은 일찌감치 건물을 빠져나와 있었다. 그는 당시 경찰 조사에서 “어머니한테 혼나 술을 먹고 홧김에 불을 질렀다”고 자백했다.

 


안타까운 희생을 계기로 소방관·경찰·군인이 공무를 수행하다 숨지거나 다쳤을 때의 보상제도에 사회적 관심이 쏠렸다. 당시 알려진 현실은 국민을 안타깝게 했다. 부상을 당해도 요양기간은 정부로부터 2년까지만 인정받았다. 이를 넘기면 퇴직해 자비로 치료를 해야 했다. 이듬해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북한 경비정과의 교전(제2연평해전)에서 고(故) 윤영하 대위 등 6명이 숨졌다. 하지만 이들은 규정이 없어 ‘전사’를 인정받지 못했다.

 


소방관·경찰관·군인은 국민의 안전을 최일선에서 책임진다. 하지만 국가와 사회는 이들이 희생됐을 때 잠시 관심을 가졌을 뿐 곧 잊어버렸다. 홍제동 화재 당시 정부로부터 2년만 인정받던 요양기간이 ‘완치 시까지’로 바뀐 것은 무려 10년이 지난 2011년이 돼서다.

 


정부는 올해 안에 ‘공무원 재해보상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다양한 위험 직무에 대한 보상, 유족의 생계 보장이 실질적으로 가능하도록 제도를 손보겠다는 것이다.

 


이창원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는 “선진국 여부는 사회가 소방관 등 위험직 공무원을 어떻게 대우하느냐로 판별할 수 있다. 북유럽 등에선 소방관이 가장 선망하는 직업 중 하나지만 한국에선 이들을 홀대한다”고 말했다. 우리 사회는 사회를 위해 순직한 이들을 추모하는 데도 소홀하다. 홍제동 사고 이후 순직한 소방관을 기리는 추모비를 세운 것은 다름 아닌 유족들이었다. 이들은 남편·아버지·아들·형제를 잊지 않기 위해 자비를 들여 이들의 얼굴을 동판에 새겼다. 추모비는 서울 서부소방서에 있다가 2013년 서울소방학교로 옮겨졌다. 추모비 뒷면엔 ‘어느 소방관의 기도’가 새겨 있다.

 


‘저의 모든 이웃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게 해 주소서. 그리고 신의 뜻에 따라 저의 목숨을 잃게 되면 신의 은총으로 저의 아내와 가족을 돌보아 주소서’.

 


소방학교 관계자는 “우리 소방관들을 제외하곤 이곳에서 참배를 오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홍제동 사고 당시 순직한 6명과 함께 연립주택 안으로 뛰어 들어간 동료 3명은 부상을 극복하고 일부는 여전히 소방대원으로 활동 중이다. 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서울소방재난본부 측은 “당사자들이 기억을 떠올리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소방관 24명이 화재 진압 중 숨졌고 3241명이 다쳤다. 지난해 『어느 소방관의 기도』라는 제목의 책을 낸 오영환(28) 소방교는 “소방관의 처우가 개선돼야 하는 것은 위험한 직업이라서 보호받아야 하기 때문이 아니다. 한 명이라도 더 구해야 한다는 소방관의 사명을 다하기 위해 사회가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출처:중앙일보 인터넷판 네이버뉴스...

 

 

헬조선 소방관들의 참담한 현실에 대해서 또다시 기사를 발견해 올리게 됩니다...소방관 추모비까지 유족들이 직접 세웠다니...이 얼마나 황당한 일입니까! 그리고 국민들도 무관심하고...저같은 경우도 몰랐지만...부끄럽게도요...더 큰 문제는 이렇게 소방관들이 희생당하고 이런게 굉장히 갈수록 심해지는데 처우 개선이란지 이런게 하나도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겠지요! 그리고 보다 더 큰 문제는 국민들의 의식이란 생각도 듭니다! 저번에 올렸는데 소방차 출동때 일부러 길을 막고 이런거 완전히 사이코패스 아닙니까? 저러다가 지가 소방차나 구급차가 필요한 상황이 되면 저런 XX들이 더 징징거릴겁니다..경제적 문제라던지 이런건 전세계적인 문제이니 그렇지만 헬조선 현상이 계속되는건 누누이 말씀드리듯 이런 처참하고 한심한 헬센징들의 미개한 시민의식,저질적인 이런 미친 짓으로도 더 헬화가 심하단 생각도 들었습니다...

 

중국인 욕할것도 없단 생각 굉장히 많이 드네요...지금 중국이 무슨 상품이나 이런거 엄청 빠르게 한국을 따라잡는데 시민의식도 언젠가 정신차리고 따라잡으면 진짜 헬센징들은 아무것도 아닐 정도가 될것이란 생각도 들었답니다..미국의 경우 산불을 진화하다 순직한 소방관 장례식에 수천명이 참석하고...소방관들 보면 항상 우리를 지켜줘서 고맙다고 인사한다는데..헬조선에선..진짜 군인,경찰,소방관에 대한 존경심이 없고 고마워할줄 모르니...그들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을때 그들이 없다면 얼마나 참담할지..생각만해도 소름이 돋습니다,....

 

진짜 현직 소방관들도 다시 태어날 기회가 있다면 다시는 소방관 안할 정도라고하니..이걸 보고도 헬조선이란 소리가 안나온다면 뭔가 싶었습니다! 비단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이런 천박하고 한심한 군인,경찰,소방관에 대한 처우라던지 한심하고 저질적인 막장같은 국민성때문에 이런 헬조선 현상이 벌어진건데..이걸 보고도 노오오오오력을 하라느니 헬조선이 아니라는 이따위 망언만 내뱉을지...정말 답없는 입에 담을 가치조차 없는 이슬람 극단세력 제외하면 헬센징들이 최악의 민족같단 생각 저도 듭니다..저부터라도 이러 미친 광기에 안가담할것이고..우리를 위해 순직하신 모든 소방관들의 안식을 진심으로 머리숙여 기원드리며..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를 지켜주고자 하시는 소방관들,경찰,군인에게도 깊은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휴우...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1132 0 2015.09.21
8885 미국에서 자동차, 식품, 필기구 등 재고 부족에 시달리는 것을 보면 new 노인 168 0 2021.09.18
8884 점차 경제 위기가 오고 있는 중국 2 new 노인 163 0 2021.09.18
8883 부모 선생 친척들이 아무리 온갖 패악질 저질러도 살해 안당하는 이유가. 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04 0 2021.09.19
8882 중국의 경제사 볼때마다 new 노인 171 0 2021.09.20
8881 현재 한국에서는 노력해도 신분 상승이 불가능한 것은 다 아는 사실인데 왜 멍청한 생각을 하냐? new 노인 354 0 2021.09.20
8880 헬센징들이 항상 경쟁에 빠지는 이유 new 노인 172 0 2021.09.20
8879 헬센징들이 페미 운운하며 젠더갈등 빠지거나 노인 빈곤, 공채 합격 공정 ㅈㄹ 운운할 시간에 1 new 노인 431 1 2021.09.20
8878 힘든일 하기 싫으면 한국에서 살면 안된다. new 노인 153 0 2021.09.20
8877 단지 한국 경찰이 가해자 편들어준다는 이유로 탈조선 하면 안된다 new 노인 306 0 2021.09.20
8876 서울 선호와 저임금은 별개다. - 여성들이 남성보다 저임금을 받는 이유에 대해서 6 new 노인 213 0 2021.09.20
8875 어떤 사람이 미국은 상대가 먼저 유발도발 하면 줘패도 처벌, 배상책임 없다던데 ㄹㅇ?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52 0 2021.09.22
8874 어느 미국인이 말하는 국뽕코인의 문제점 newfile 노인 202 0 2021.09.22
8873 어떤 사람이 말하는 중소기업 newfile 노인 141 0 2021.09.22
8872 헬조센 외교의 문제점 newfile 노인 167 0 2021.09.22
8871 미국에서 입양된 고아가 미국에서 추방당하고 한국에 온 사례를 보면 new 노인 166 0 2021.09.22
8870 부익부 빈익빈 new 노인 161 0 2021.09.22
8869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가 심한 헬조센인 newfile 노인 188 0 2021.09.22
8868 상명하복 위계질서를 강요 받는 헬조센 공무원들 newfile 노인 172 0 2021.09.22
8867 헬조센에서 명절이란 new 노인 145 0 2021.09.22
8866 헬센징 부모들의 문제점 new 노인 207 0 202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