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최근 한국인들의 생활패턴이 바뀌고 있습니다. 주5일제가 도입되면서 한국인의 근로시간이 줄어든 반면, 식사나 수면 등 필수적인 것에 시간을 쏟는 이들이 늘어났는데요. 특히 외모나 건강 등을 관리하는 시간이 증가했습니다. 장기적인 불황 속에서도 스스로를 가꾸는 게 자신의 경쟁력이라고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로 및 여가 시간은 세대별로 각기 다른 흐름을 보였는데요. 베이비붐 세대는 근로시간이 감소했으나, 에코 세대는 근로시간이 되레 증가했습니다. 또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전보다 30분 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남성에 비해 절대적으로 길어 공평한 가사 분담은 아직 먼나라 이야기로 들립니다.
20161006050153694bhnz.jpg

한국인들이 수면이나 식사 등 생존에 필수적인 활동에 들이는 시간이 15년 사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여가시간은 비슷했고, 일·가사노동 등 의무시간은 줄었다. 20세 이상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증가 추세지만, 아직도 여성보다 평일에는 3시간 가량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학 자녀가 있는 20∼30대 기혼 여성은 미취학 자녀가 없는 경우보다 가사노동에 더욱 매달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인 10명 중 6명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업무·가사노동·학습 등 의무활동에 9시간 넘게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시간 27분 줄이고, 수면시간 12분 늘렸다

6일 통계청의 '한국인의 생활시간 변화상'에 따르면 10세 이상 국민이 수면·식사 등을 위해 쓰는 필수 시간은 2014년 하루 평균 11시간14분으로 1999년(10시간18분) 이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한국인의 생활시간 변화상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 파악하는 조사로, 통계청이 1999년부터 5년마다 집계하고 있다.

특히 수면시간은 7시간47분에서 7시간59분으로 12분 늘었다. 일·가사노동·학습·이동 등에 들이는 의무시간은 7시간57분으로 1999년(8시간52분) 이후 줄어들고 있었다. 일하는 시간은 3시간43분에서 3시간16분으로 줄었다. 여가시간은 4시간49분으로 1999년(4시간50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20161006050153932ablb.jpg

20세 이상 성인은 필수시간이 11시간13분으로 1999년(10시간18분)보다 55분 늘었지만 의무시간은 7시간55분으로 50분, 여가시간은 4시간52분으로 6분이 각각 줄었다. 20세 이상 미혼 남성 및 여성을 비교할 경우 노동시간은 남성 3시간51분, 여성 3시간43분으로 비슷했다.

여가 활동에는 미혼남성이 5시간4분으로 미혼여성(4시간19분)보다 더 썼다. 미혼여성은 가사노동에 1시간3분을 써 미혼남성(28분)보다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조사됐다.

◆미혼남성 여가활동 더 많이 하고, 가사노동 더 적게 한다

에코 세대(1979∼1992년생)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보다 수면이나 식사 등 필수시간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 세대의 수면 시간은 평균 8시간6분, 베이비붐 세대는 7시간40분으로 조사됐다.

일·가사노동·학습 등 의무시간의 경우 1999∼2009년까지는 베이비붐 세대가 길었지만 2014년에는 에코 세대가 8시간37분으로 베이비붐 세대(8시간14분)보다 23분 길었다. 미취학 자녀 유무별 기혼 여성의 생활시간을 보면 미취학 자녀가 있는 20∼30대 기혼 여성의 가사노동 시간은 6시간47분으로, 미취학 자녀가 없는 기혼 여성(3시간36분)보다 무려 3시간11분 길었다.

20161006050154119emxe.jpg

청년층(20∼39세) 비취업자는 취업자보다 수면, 가사노동 시간이 더 많았다. 수면시간은 비취업자가 8시간19분으로 취업자(7시간57분)보다 22분 길었다. 가사노동에는 비취업자가 3시간36분을 썼고, 취업자는 그보다 2시간16분 적은 1시간20분을 할애했다.

10세 이상 한국인은 평일 오후 11시24분, 토요일 오후 11시29분에 잠자리에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요일은 평일과 토요일보다 각각 9분, 14분 빠른 오후 11시15분이었다. 1999년 이후 취침시각은 조금씩 빨라지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1999년 평일과 토요일 취침시각은 오후 11시28분, 오후 11시36분이었다. 일요일 밤에는 11시20분으로 조사된 바 있다.

◆女 가사노동시간, 여전히 男보다 길어

일하는 시간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2014년 20세 이상 성인 중 평일에 일한 사람들의 평균 노동시간은 6시간52분이었다. 일한 사람들의 평균 노동시간은 1999년 7시간25분 이후 꾸준히 감소했다.

가사노동 평균 시간을 보면 남성이 △평일 39분 △토요일 1시간1분 △일요일 1시간13분으로 조사됐다. 1999년 △평일 30분 △토요일 35분 △일요일 47분 대비 9∼26분 늘었다.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평일 3시간25분 △토요일 3시간37분 △일요일 3시간33분으로 조사됐다.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은 1999년보다 각각 30분 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남성보다 길었다.

20161006050154411gnqa.jpg

10세 이상 국민이 TV를 보는 시간은 △평일 1시간53분 △토요일 2시간31분 △일요일 2시간51분으로 조사됐다. 1999년과 비교하면 △평일 29분 △토요일 21분 △일요일 42분 줄었다.

10세 이상 국민 중 하루 10분 이상 책을 읽는다는 국민의 평균 책 읽는 시간은 2014년 기준으로 △평일 1시간5분 △토요일 1시간16분 △일요일 1시간18분으로 나타났다.

◆주중·주말 TV 시청 시간 ↓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는 59.5%로 조사됐다.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일·가사노동·학습 등 의무시간이 9시간7분이었다. 시간이 여유롭다고 느끼는 사람의 의무시간은 6시간17분으로 3시간 가까이 더 적었다. 여가시간은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의 경우 3시간53분으로 여유롭다는 응답자(6시간10분)보다 2시간17분 적었다.

남자는 일을 하고 여자는 살림해야 한다는 전통적인 남녀 역할분담에 반대하는 비율은 2004년 57.9%에서 2014년 64.3%로 늘어났다. 전통적인 남녀 역할분담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반대하는 사람보다 수면·식사 등 필수시간과 여가시간이 많았지만 의무시간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통적인 성 역할 찬성론자들의 필수시간은 11시간19분, 여가시간은 5시간10분이었으나 반대론자들의 경우 각각 11시간11분, 4시간38분이었다.

김현주 기자 [email protected]






  • 교착상태
    16.10.06

    김현주 라는 쓰레기 기자년은 한남충이 계집에 비해 혜택을 많이 본다고 말하고 싶은건가?

     
    wwww 대학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놈들 보면 계집 보다는 남자 애들이 더 많더만.
     
     
    책을 쳐 안 읽기로 유명한 조센 징 주제에 왜? 계집이 책읽는 사진을 같다 붙여 놓는거냐.
     
    게임, 섹스, 영화, 술집이 조센 징의 여가생활의 90% 아니냐
     
    근데 얼어죽을 놈의 책이여?
  • 씹센비
    16.10.06
    조센 징 이 금지어이니 헬센징이란 말을 쓰는건 어떨까요?
  • 섹시
    16.10.07
    이거 남녀혐오를 조장한다고해서 욕먹은
    기사예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43 0 2015.09.21
22841 내 자식에게 만큼만은.... 9 new 기행의나라=헬조선 307 7 2016.09.02
22840 캐나다는 탈조선 리스트에서 빼는게 좋을듯 합니다 1 new sddsadsa 307 0 2016.07.25
22839 세계 제일의 사기대국 3 newfile 이넘의헬 307 5 2016.06.16
22838 주장도 없고 논리도 없고 오로지 감정만 있네 ㅋㅋㅋ 8 new 도구적이성의나라 307 9 2016.05.21
22837 헬조선에서 상대하지 말아야 할 사람은 2 new 사회정의 307 1 2016.02.02
22836 감히 내앞에서 애국을 대해 지껄이다니 이노오오옴!!! 8 newfile 새장수 307 7 2016.01.29
22835 암담한 팩트에 대한 헬조선인들의 암담한 반응 4 new 의치약삼시패스미만잡노예 307 4 2016.01.14
22834 4대 의무의 공통점 6 new 거짓된환상의나라 307 4 2016.01.07
22833 우리나라는 취업을 해도 걱정이다. 3 new 헬헬2016 307 6 2015.12.28
22832 헬조선 극화 2 new 하오마루5 307 4 2015.12.23
22831 근데 조센징들이 병신인게. 노력하면 안되는게 없다하는데. 그럼 일본한테 먹힌것도 노오력이 부족해서 먹힌... 4 newfile 탈좃센 307 8 2015.12.02
22830 헬조선의 또다른 꼰대 8 new 하이템플러 307 6 2015.11.19
22829 한국은 1 new 잘살고싶다 307 6 2016.01.16
22828 옛날부터 느껴왔던 헬조선에 대한 악감정 4 new 뻑킹헬조선 307 5 2015.10.27
22827 공포의 한글날 퀴즈 2 newfile 김무성 307 9 2015.10.30
22826 정 이라는 말에 속으면 안된다.. 1 new 도시락 307 6 2015.10.06
22825 헬조선이 왜 헬이 된이유 2 new 굴라크는모든것을해결한다 307 6 2015.10.03
22824 헬조선이 헬인 이유는 상위 10%와 하위 90%의 소득격차 때문 1 newfile 헬조선노답 307 3 2015.09.17
22823 누가 백인에 대해 환상 갖지 마라고 쓴 글 11 new 노인 306 1 2018.02.15
22822 공기업 들어가기 훨씬 더 어려워졌네요 22 new oldberry1800 306 2 2017.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