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주장] 척박한 땅에서 간신히 따낸 금메달인데... 환경보다 '개인'만 강조하는 세태

[오마이뉴스강예슬 기자]

"올림픽 게임은 나라 간의 경쟁이 아니고, 팀 혹은 개인의 경쟁이다."

1894년 6월 쿠베르탱에 의해 제창된 올림픽 이념이다. 이런 이유로 올림픽에는 나라 간 순위를 정하는 데 고정된 방식이 없다. 우리나라가 자체적으로 선정한 순위 집계 방식은 금메달 개수이다. 은메달과 동메달은 금메달 수가 같은 때에만 순위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라지만, '편리함'을 제외한다면 득이 없는 산정방식이다. 은메달과 동메달의 가치를 평가 절하하기 때문이다.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종목임에도 관중들의 관심 밖에 존재하는데,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종목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다.

금메달을 따면, 신문의 1면을 장식하고 은메달과 동메달을 따는 경우 훨씬 뒤에 배치된 스포츠면에 나는 게 현실이다. 금메달 지상주의는 재정적 지원으로 직결된다. 금메달을 획득한 적 있거나, 자주 획득하는 효자 종목에는 정부와 기업의 재정적 지원이 집중된다. 반면, 성과가 저조한 종목의 경우 팀의 해체를 우려하는 상황에 놓이며, 태릉선수촌의 사용 시간을 제한받기까지 한다. 그래서 올림픽은 많은 선수의 '꿈'이기도 하지만, '생존'이다. 피겨스케이팅의 불모지에서 김연아 선수가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KB국민은행의 후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기업 이미지 제고라는 목적에서 이뤄진 프로젝트지만, 위험을 감수하고 통 큰 결정을 내린 건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한국 경제 위기의 대안으로 전문가들은 속 시원한 투자를 말한다. 정부 역시 과감한 투자와 혁신의 중요성을 주창한다. 국민이 반대함에도 정부가 기업 총수를 사면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이유도 모두 투자를 독려하기 위해서다. 정부도 알고 있다. 위험을 감수해야만 앞서 나갈 수 있으며, 성공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만고불변의 진리를. 한데 정부는 부진한 종목에 대한 투자를 주저한다. 그러면서 금 10개 올림픽 10위권이라는 목표를 세운다. 싹이 나고 자랄 기름진 토양도 제공하지 않으면서, 국위선양해주길 바라 것이다. 가장 닮지 않아야 할 사람으로 배우는 놀부와 다를 게 없다.

해준 것도 없는 못난 국가와 구경꾼들에게 예상치도 못한 선물을 가져오는 선수들도 있다. 단 한 번도 메달을 딴 적이 없어, 기대조차 하지 않은 펜싱 에페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박상영 선수가 대표적이다. 박상영이 메달을 따자, 형편이 어려워 선배의 펜싱 옷을 빌려 입을 수밖에 없었던 과거사까지 속속 등장했다. 그는 펜싱선수 중 하나에서 고난을 이겨낸 '우리의' 태극전사로 다시 태어났다.

"나라가 어렵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박상영 선수가 외쳤던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경축사를 하고 있다.
ⓒ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도 이런 기류에 동승했다. 그런데 문득 오싹한 생각이 스친다. 그녀가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이 '불모지에서도 꽃은 핀다, 너도 할 수 있다, 네가 꽃을 피우지 못하는 건 땅 때문이 아니라, 너 때문이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광복절 축사에서 우려는 현실이 됐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우리나라를 비하하는 용어가 늘고 있다. 할 수 있는 마음으로 나아가자."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 응원! 자발적 유료 구독 [10만인클럽]
☞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기사 더보기]
☞ 페이지 좋아요! 공식 [페이스북]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3046 0 2015.09.21
8143 존 저 자 거참 드럽게 말 많네 2 new 감성팔이. 150 0 2022.03.03
8142 댓글 부대는 다름 아니라 국회의원 새끼덜 지덜이라고 칸다. new John 191 7 2022.03.03
8141 나 그냥 평범한 사람인데 무슨 알밥이래? new 감성팔이. 166 0 2022.03.03
8140 존 님은 세상을 좀더 밝게 보면 좋지 않을까 싶네 4 new 감성팔이. 138 0 2022.03.03
8139 러시아 루블화 떡락. 러시아보지들 한국에 더 오려나. 4 newfile John 534 7 2022.03.03
8138 윤석열 공약인 부산의 유휴부지활용 그거 내 거 배낀건데. newfile John 179 7 2022.03.03
8137 존 님은 가끔은 풀어져 보면 좋지 않을까 싶다 new eit 156 1 2022.03.03
8136 서울이 비좁으면 대학을 뺄 수 밖에. 4 new John 221 7 2022.03.03
8135 애들은 왜 남기는 거냐고. 부산의 똥쓰레기 대학들. new John 158 7 2022.03.03
8134 지방문제는 단순히 인구부족만이 문제가 아니라 new 킹석열 138 0 2022.03.03
8133 대학은 줄이는게 맞다 . new 킹석열 146 0 2022.03.03
8132 학원가가 서울수도권에 몰려있기때문에 new 킹석열 145 0 2022.03.03
8131 서울하고 부산만 보더라도 new 킹석열 144 0 2022.03.03
8130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건 예정된수순이었고 new 킹석열 447 0 2022.03.03
8129 미국은 아시아에서 일본에 많이 의존할수밖에없지 new 킹석열 347 0 2022.03.03
8128 서울에 좌파가 거의없는이유 1 new 킹석열 235 0 2022.03.03
8127 헬조선은 다시 수구화의 길로 갈거다 new 킹석열 137 1 2022.03.03
8126 젊은세대도 수구화되었다 2 new 킹석열 203 4 2022.03.03
8125 러시아는 중국때문에 빠져나갈것같고 new 킹석열 451 0 2022.03.03
8124 중국도 웃긴게 new 킹석열 306 0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