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이넘의헬
16.08.02
조회 수 344
추천 수 1
댓글 0








재래시장이 달라졌다. 낡은 이미지를 벗어 던지고 활력이 넘치는 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특색 있는 아이디어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재래시장의 살맛 나는 현장을 전한다. 

3c796385b3af4bd48ddfb587ce55905d_99_2016서울 구로시장에 조성된 '영프라쟈'의 입구.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을 나와 구로시장 안으로 쭉 들어가다 보면 맨 구석에 ‘영프라쟈’라는 간판이 나온다. 미로처럼 얽힌 골목을 들어서자 재래시장에서 보기 힘든 소품가게와 공방, 선술집이 눈에 들어왔다. 가게마다 페인트로 그린 알록달록한 그림과 손 글씨로 적은 간판에서는 젊은 감각과 유머가 넘쳤다. 벽면에는 파이프에 색을 칠해 상점의 특성을 살린 가게 간판을 매달아 놓고, 가게 입구에는 멀리 떨어진 화장실을 갈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보호장구와 씽씽이를 비치해 뒀다. 2일 이곳을 찾은 구로구 주민 김민(28)씨는 “기존 시장처럼 뻔하지 않고 이색적인 분위기의 가게들이 많아서 좋다”며 “친구들뿐 아니라 부모님을 모시고 와도 좋은 분위기”라고 말했다. 

요즘 뜨는 시장에는 청년들이 있다. 취업이 아닌 창업에 뜻을 둔 청년들이 재래시장에 둥지를 틀면서 재래시장이 새로운 명소로 눈길을 끌기 시작한 것. 대표적인 청년시장인 구로구 구로동의 ‘영프라쟈’, 마포구 연남동의 ‘동진시장’에는 일부러 찾아온 20~30대부터, 시장을 찾았다 우연히 방문한 50~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발길이 종일 이어진다.

구로시장은 불과 1년 전까지 만해도 쇠락해가는 흔한 재래시장 중 하나였다. 1970~80년대 구로공단 전성기에는 젊은 직장인들이 몰리는 시장이었지만 대형마트에 밀리며 내리막길을 걸었다. 오래된 가게가 그대로 방치되고 화재까지 잇따르면서 우범지대로 전락한 시장 구석에 청년들이 자리를 잡은 것은 2015년 1월. 당시에는 4개 상점으로 시작한 작은 공간이었지만 지금까지 12명이 입점하면서 청년특화공간으로 성장했다. 추억의 과자나 장남감을 파는 ‘추억점빵’, 젊은 디자이너가 초상화를 그려주는 ‘아트플라츠’, 소규모 생산자와 청년농부들이 만든 농산물과 식료품을 파는 ‘쾌슈퍼’, 전국 각지에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가져와 파는 ‘청춘주유소’ 등 튀는 이름의 가게들이 들어섰다. 주말에 열리는 프리마켓과 한 달에 한 두 번씩 열리는 콘서트는 특히 반응이 좋다.

청년 상인들은 모두 고교 또는 대학을 졸업하고 창업을 꿈꾸던 이들이다. 구로구가 나서 3억6,400만원을 투입, 공개모집을 통해 입주 상인을 결정하고 이들에게 가게 보증금과 임차료 일부, 홍보 등을 지원했다. 구로시장 청년사업단 관계자는 “경제적 부담을 허덕이는 청년 창업자들에게 영프라쟈는 기회의 공간”이라며 “지원 없이 매력적인 공간으로 남아서 시장과 오랫동안 상생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입소문을 타면서 가게들도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영국식 패스트푸드점 ‘포티앤샌디’의 이순예 사장은 “옛 시장 분위기에 젊은 감각이 더해져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시장의 매력”이라며 “피클 하나도 손수 정성을 다해 만들다 보니 일부러 찾아와주시는 손님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아기자기한 소품으로 무장한 연남동의 동진시장도 눈길을 끈다. 오래 전 시장으로 쓰다가 방치돼 얼핏 창고처럼 보였던 공간이 다시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은 청년들의 유입 덕분이다. 수공예 생산자들이 주말마다 좌판을 깔면서 몇 년 만에 관광객들이 일부러 찾아올 정도로 명소가 됐다.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서는 장은 매번 다른 상인이 좌판을 열어 다양한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청년시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구로시장 영프라쟈 홈페이지(guroyoungplaza.org), 동진시장 페이스북(facebook.com/makedongj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저렇게 청년들이 들어와 좋아졌다라고 써놨지만 나중되면 건물주들의 종특인 갑질과 횡포질이 예상됨.ㅋㅋㅋ

 

저곳이 핫 플레이스가 되는 순간 땅값과 건물값이 오를거고

 

그에 따라 건물주는 월세를 점점 올릴테고 월세 못내면 청년들 쫓아낼테고

 

결국은 건물주 배만 불리는 게 아닌가 싶네여.ㅋㅋㅋ

 

하여간 헬은 장사하기 겁나게 힘든 나라입니다.ㅋㅋㅋ

 

역시 건물주 배만 쳐불리게 하는 곳. 헬조선입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509 0 2015.09.21
7750 일제시대 식민사관(?) 재평가 받아야 하는 부분이 있지 않나 6 newfile 골드 471 6 2016.08.04
7749 초등생 학원서 '이상한 죽음'.."집단괴롭힘 당했다" 1 new 플라즈마스타 352 7 2016.08.04
7748 ◆ 은마 아파트. 최후의 그날. 4 newfile 플라즈마스타 635 7 2016.08.04
7747 인간은 성적으로 잡식성인가 new fck123 274 1 2016.08.04
7746 조선인을 알수록, 결국 2가지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5 new 탈출헬쵸센 471 8 2016.08.04
7745 일본에 대해서 7 new 헬조선의커비 323 3 2016.08.04
7744 자기 밥그릇을 챙기면 인종차별주의자가 되는구나 12 new 둠가이 481 8 2016.08.04
7743 한국인들은 왜 짱깨 쪽빠리 양키 깜둥이같은 인종차별적 발언을 아무렇지 않게쓰는지 모르겠다 7 new 헬조선의커비 385 3 2016.08.04
7742 하여간 법도 모르는 것들이 엄벌주의니 뭐니 하지... 1 new 블레이징 316 5 2016.08.04
7741 잠시 쉼을 가지시어요 newfile 코스모스꽃향기 308 2 2016.08.04
7740 오리는 흙수저 3 newfile 코스모스꽃향기 577 3 2016.08.04
7739 제군들의 양어깨에 흙수저의 미래가 달려있다. new 나도한마디(비서실장) 319 1 2016.08.04
7738 [올댓차이나] 몸살 앓는 중 조선업, 금주 '디폴트' 업체 나올 듯 1 new 기무라준이치로 412 3 2016.08.04
7737 아무리 생각해봐도 헬조선의 원흉은 징병제다 4 new 갈로우 403 9 2016.08.04
7736 헬조선이 다른 나라에 비해 왜 덜 발전이 되었을까요? 10 new 평등 495 2 2016.08.04
7735 헬조선 어플은 없음? 1 newfile 골드 244 2 2016.08.04
7734 세월호 침몰로 바닷속에 수장되어 억울하게 죽은 단원고 학생들의 한을 풀어줘야 된다.!! 4 new 기무라준이치로 336 9 2016.08.03
7733 메르스에 대처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자세 1 new 당신은NERD 241 8 2016.08.03
7732 중국이 사드 미사일 문제로 비자발급을 중단 시키겠다는군. 8 new 기무라준이치로 468 7 2016.08.03
7731 아직도 시대변화를 못읽는 시대착오적인 사람이 한분 있군요. 44 new 문명개화론자. 565 8 2016.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