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이넘의헬
16.08.02
조회 수 184
추천 수 1
댓글 0








재래시장이 달라졌다. 낡은 이미지를 벗어 던지고 활력이 넘치는 명소로 거듭나고 있다. 특색 있는 아이디어로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재래시장의 살맛 나는 현장을 전한다. 

3c796385b3af4bd48ddfb587ce55905d_99_2016서울 구로시장에 조성된 '영프라쟈'의 입구.
지하철 7호선 남구로역을 나와 구로시장 안으로 쭉 들어가다 보면 맨 구석에 ‘영프라쟈’라는 간판이 나온다. 미로처럼 얽힌 골목을 들어서자 재래시장에서 보기 힘든 소품가게와 공방, 선술집이 눈에 들어왔다. 가게마다 페인트로 그린 알록달록한 그림과 손 글씨로 적은 간판에서는 젊은 감각과 유머가 넘쳤다. 벽면에는 파이프에 색을 칠해 상점의 특성을 살린 가게 간판을 매달아 놓고, 가게 입구에는 멀리 떨어진 화장실을 갈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보호장구와 씽씽이를 비치해 뒀다. 2일 이곳을 찾은 구로구 주민 김민(28)씨는 “기존 시장처럼 뻔하지 않고 이색적인 분위기의 가게들이 많아서 좋다”며 “친구들뿐 아니라 부모님을 모시고 와도 좋은 분위기”라고 말했다. 

요즘 뜨는 시장에는 청년들이 있다. 취업이 아닌 창업에 뜻을 둔 청년들이 재래시장에 둥지를 틀면서 재래시장이 새로운 명소로 눈길을 끌기 시작한 것. 대표적인 청년시장인 구로구 구로동의 ‘영프라쟈’, 마포구 연남동의 ‘동진시장’에는 일부러 찾아온 20~30대부터, 시장을 찾았다 우연히 방문한 50~6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발길이 종일 이어진다.

구로시장은 불과 1년 전까지 만해도 쇠락해가는 흔한 재래시장 중 하나였다. 1970~80년대 구로공단 전성기에는 젊은 직장인들이 몰리는 시장이었지만 대형마트에 밀리며 내리막길을 걸었다. 오래된 가게가 그대로 방치되고 화재까지 잇따르면서 우범지대로 전락한 시장 구석에 청년들이 자리를 잡은 것은 2015년 1월. 당시에는 4개 상점으로 시작한 작은 공간이었지만 지금까지 12명이 입점하면서 청년특화공간으로 성장했다. 추억의 과자나 장남감을 파는 ‘추억점빵’, 젊은 디자이너가 초상화를 그려주는 ‘아트플라츠’, 소규모 생산자와 청년농부들이 만든 농산물과 식료품을 파는 ‘쾌슈퍼’, 전국 각지에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가져와 파는 ‘청춘주유소’ 등 튀는 이름의 가게들이 들어섰다. 주말에 열리는 프리마켓과 한 달에 한 두 번씩 열리는 콘서트는 특히 반응이 좋다.

청년 상인들은 모두 고교 또는 대학을 졸업하고 창업을 꿈꾸던 이들이다. 구로구가 나서 3억6,400만원을 투입, 공개모집을 통해 입주 상인을 결정하고 이들에게 가게 보증금과 임차료 일부, 홍보 등을 지원했다. 구로시장 청년사업단 관계자는 “경제적 부담을 허덕이는 청년 창업자들에게 영프라쟈는 기회의 공간”이라며 “지원 없이 매력적인 공간으로 남아서 시장과 오랫동안 상생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입소문을 타면서 가게들도 서서히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영국식 패스트푸드점 ‘포티앤샌디’의 이순예 사장은 “옛 시장 분위기에 젊은 감각이 더해져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시장의 매력”이라며 “피클 하나도 손수 정성을 다해 만들다 보니 일부러 찾아와주시는 손님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아기자기한 소품으로 무장한 연남동의 동진시장도 눈길을 끈다. 오래 전 시장으로 쓰다가 방치돼 얼핏 창고처럼 보였던 공간이 다시 꽃을 피우기 시작한 것은 청년들의 유입 덕분이다. 수공예 생산자들이 주말마다 좌판을 깔면서 몇 년 만에 관광객들이 일부러 찾아올 정도로 명소가 됐다.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서는 장은 매번 다른 상인이 좌판을 열어 다양한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청년시장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구로시장 영프라쟈 홈페이지(guroyoungplaza.org), 동진시장 페이스북(facebook.com/makedongj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사는 저렇게 청년들이 들어와 좋아졌다라고 써놨지만 나중되면 건물주들의 종특인 갑질과 횡포질이 예상됨.ㅋㅋㅋ

 

저곳이 핫 플레이스가 되는 순간 땅값과 건물값이 오를거고

 

그에 따라 건물주는 월세를 점점 올릴테고 월세 못내면 청년들 쫓아낼테고

 

결국은 건물주 배만 불리는 게 아닌가 싶네여.ㅋㅋㅋ

 

하여간 헬은 장사하기 겁나게 힘든 나라입니다.ㅋㅋㅋ

 

역시 건물주 배만 쳐불리게 하는 곳. 헬조선입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48 0 2015.09.21
8623 한국 군머 선전의 거짓말 new 노인 10 0 2023.08.22
8622 경기도, 인천 사람들이 서울에 있는 장소를 싫어하는 거 보면 new 노인 13 0 2023.08.22
8621 아시아에서 이혼율 가장 높은 대한민국 new 노인 14 0 2023.08.22
8620 아르헨티나 상황 new 노인 9 0 2023.08.22
8619 덮어놓고 싸지르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는 진리지 씨발. new John 19 0 2023.08.22
8618 파리 올림픽 때 국뽕들 만행 newfile 노인 17 0 2023.08.21
8617 피프티피프티 이야기 보면 new 노인 16 0 2023.08.21
8616 한국 대기업 식사 수준 보면 new 노인 14 0 2023.08.21
8615 이번에 백강현 어린이 학폭 사건 일어났다 new 노인 15 0 2023.08.21
8614 신림동 사건 프로파일링 newfile 노인 21 0 2023.08.22
8613 한국의 폭염 갑질을 보면 new 노인 18 0 2023.08.21
8612 돈많은 가정과 화목한 가정 중 뭐가 좋냐고 비교하는 것은 new 노인 11 0 2023.08.22
8611 미국이 중국의 안보를 시험할 수록 중국은 더욱 강해진다. 2 newfile John 28 0 2023.08.20
8610 중국이 안 되는 이유는 미국의 식량안보 패권에 도전하지 못하기 때문이지. new John 30 0 2023.08.20
8609 현실에 순응하는세대가 2030세대라 1 new 킹석열 34 0 2023.08.20
8608 중국의 경제저하는 주변국의 리스크를 해결못한것에 있음 new 킹석열 7 0 2023.08.20
8607 아시아의 당나라가 되어가는 일본 new 킹석열 14 0 2023.08.20
8606 마을버스 변천사 2 newfile 노인 19 0 2024.01.25
8605 신림동 병신새끼 강간치사가 되었네 개불쌍. new John 39 0 2023.08.19
8604 애초에 운동권 정당이 집권한 적이 없는데 민주화 개지랄. newfile John 31 0 2024.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