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韓 잠재성장 이미 2%대…6년뒤 제로성장

11

구조개혁 미적대면 성장률 0%대 추락…더 앞당겨질 수도
"경쟁실종 사회가 투자효율성 떨어뜨렸다"



서울대 경제硏 경고

20160701_2530560_1467285271_99_201606302
지난 20년 동안 한국 경제성장의 장기(잠재)성장률이 5년마다 1%포인트씩 하락하면서 현재 2%대로 추락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차기 대통령 임기 말쯤인 6~7년 후에는 장기성장률이 0%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잠재성장률은 인플레이션 등 부작용 없이 이뤄낼 수 있는 성장률을 뜻하는데 결과적으로는 추세적인 장기 성장률과 비슷한 값을 보인다.

김세직 서울대 교수는 1일 발간된 서울대 경제연구소 '경제논집'에 발표한 '한국경제:성장위기와 구조개혁' 정책 논문을 통해 "구조개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강력한 내·외부 충격이 온다면 0%대 추락 시점이 더 앞당겨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며 이같이 경고했다.

김 교수는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불거진 최근의 위기 상황을 '성장위기'라고 규정했다. 지난 20년 동안 구조개혁 없이 경기 부양에만 의존한 결과 과잉 투자의 부작용이 '성장률 추락 현상'으로 마침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김 교수가 10년 이동평균으로 한국의 장기성장률 추세를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중반 장기성장률이 7%대 밑으로 떨어진 이후 성장률이 5년마다 약 1%포인트씩 규칙적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매년 0.2%포인트씩 선형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선으로 잘 수렴될 정도로 매우 강력한 추세에 따라 하락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장기성장률 5년 1%포인트'의 법칙은 보수정부나 진보정부에 관계없이 진행됐다"며 "박근혜정부에서도 이 추세는 지속돼 현재 2%대를 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성장률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추락하는 경우 이것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뒤에야 국민이 위기를 인지하게 된다. 최근 성장률이 2%대를 맴돌고 있는 가운데 한계기업, 청년실업 문제가 부각되면서 위기가 피부에 와닿기 시작했지만 정작 위기의 원인은 20년 전부터 작동해왔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장기성장률이 0%대에 근접하면 1998년 같은 매우 고통스러운 총체적 경제·금융위기에 처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그간의 추세가 지속되면 2~3%대 저성장에 머물러 있기보다 '제로성장'에 빠질 가능성이 보다 높다"고 우려했다. 미국과 같이 장기성장률이 100년 이상 2%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유지되는 경제는 재정·통화정책을 동원한 일반적 총수요 부양 정책이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처럼 생산 측면의 제약 요인으로 인한 장기성장 추락 상황에서 이런 정책은 오히려 과잉 투자를 초래해 금융위기 가능성만 높인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지난 20년 동안 구조개혁이 이뤄진 시기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2년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봤다. 당시 생산성 낮은 기업·은행이 퇴출되고 이들에 배분됐던 자원이 생산성이 높은 부문으로 재배분됐지만 2000년부터는 경기 부양책만 다양한 형태로 추진돼왔다는 것이다. 그는 최근 높아지는 구조개혁 목소리에 대해서도 "정확한 진단에 근거하지 않은 지엽말단적이거나 잘못된 해결책을 구조개혁으로 착각하지 말아야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김 교수가 진단한 성장 추락의 원인은 투자효율성 급락이고 이를 위해서는 창의성과 경쟁 인프라스트럭처를 살리는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자본, 기술,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를 합한 한국의 총투자는 국내총생산(GDP)의 40% 선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효율성은 극히 낮다.

김 교수가 성장률을 투자율로 나눈 투자효율성을 계산한 결과 1995년 0.25를 기록한 이후 외환위기 이후 반등해 1999년 0.37까지 높아졌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00년 0.27, 2014년에는 0.11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효율성이 이렇게 떨어진 이유에 대해 김 교수는 인적자본의 정체와 경쟁 인프라 약화를 꼽았다. 한국 경제는 1980년대까지 로버트 루커스 미국 시카고대 교수 등이 주장한 '내생적 성장이론'에 따라 교육을 통한 인적자본 축적과 투자를 통한 물적자본 축적으로 연 7% 이상의 고도 성장을 달성했다.

당시에는 기존 지식·기술을 습득한 모방형 인적자본이 주요 성장동력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한국은 로버트 솔로 MIT 교수의 신고전파 성장이론에 따른 경제구조로 바뀌었고 기업이 독자적인 기술로 승부해야 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아직도 교육제도나 노동시장의 보상 시스템은 과거의 구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다.

20160701_2995655_1467285280_99_201606302김세직 교수
그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의 효율성과 역동성의 핵심인 '경쟁'도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는 비판이다. 2000년대 이후 이미 대기업으로 성장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기업들이 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강화함에 따라 경쟁 기업의 풀(pool)이 제한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새로운 창업 기업가가 출현해 대기업으로 성장하기 점점 더 용이하지 않은 환경이 조성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루커스 교수 아래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한 거시경제이론 전문가다.

[정의현 기자]





  • outshineBest
    16.07.01
    걍 지금도 빛으로 돈풀어서 지표만 성장하는거처럼 보이게 할 뿐이지 말기암환자 사채끌어다 살리려하는거랑 똑같다고봄
  • 다프Best
    16.07.01

    기업 수준에서는 경쟁이 없는 게 맞죠. 노동자/학생 수준에서만 경쟁이 넘쳐나고요

  • outshine
    16.07.01
    걍 지금도 빛으로 돈풀어서 지표만 성장하는거처럼 보이게 할 뿐이지 말기암환자 사채끌어다 살리려하는거랑 똑같다고봄
  • 블레이징
    16.07.01
    제가 이미 글로 올렸지만, 인풋이 없어졌는데 아웃풋이 나온다는게 가능할까요...? ㅋㅋㅋ
  • 맞는 말이죠. 재벌, 정치권, 정부가 헬노비들 수탈만 하지, 뭐 제품이나 서비스로 경쟁할 필요가 없었고, 결국 국제 경쟁력도 당연히 바닥. 경쟁은 흙수저 노비들끼리만 피 터지게 하면 되는 거죠. 뭐.
  • 어차피 여기서 더 망해도 윗대가리들은 나라 팔고 뜨면 그만이라는 마인드라 죽어나는건 흙수저뿐
  • 다프
    16.07.01

    기업 수준에서는 경쟁이 없는 게 맞죠. 노동자/학생 수준에서만 경쟁이 넘쳐나고요

  • 그들은 담합하고
    경쟁은 노비들이나

  • 국밥천국
    16.07.02
    맞는 말이네요 교수말. 기업차원 경쟁은 사라졌고, 노동자/학생 경쟁만 늘어났고. 그리고 그 경쟁이 매우 소모적인 토익, 자격증, 수능, 사내정치 이런데에서 에너지 쏟는거니 노벨상이나 블루오션을 개척할 천재도 나오지 않구요. 결국 기업 도태, 개인 마저 도태.
  • 국밥천국
    16.07.02
    제목 정정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쓰레기논조의 기사는 아닌데 오해가 있을 수 있겠네요
  • 여기서 말하는 경쟁인프라는 민주주의 개념에서 말하면 기회의 평등이예요.

    기회가 평등하지 않다는 소리이죠. 정규법상에서의 개념이 소멸되고 돈으로 좌지우지 되는 관습법상의 개념이 우선시되는 나라인데...

    교육에서조차 자본의 투입으로 인해 교육성과의 호불호가 갈리고

    대학원을 가고 박사과정을 밟는것조차 논문대필이나 논문표절 및 온갖 로비로 질척대며

    박사과정 밟은 사람들도 자신이 밟아온 학연지연혈연으로 공공기업이든 사기업이든 자신들만의 이익구성에만 골몰하게 되고

    기술력과 관련해서 일본과 같이 근로자의 아이디어나 중소기업의 아이디어의 특허가 보존되는 환경이 아니라서

    힘들어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8928 0 2015.09.21
7157 존 이병신새끼 또 조현병 도져서 알바타령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308 0 2022.05.11
7156 이미 국회는 지방분권법까지 다 통과시켰는데, 윤석열만 데마고그 짓으로 당선될 것일 뿐. new John 157 1 2022.05.11
7155 지방분권법 통과시켜 준 것도 다 돈 있는 서울자산가들임. 3 newfile John 241 1 2022.05.11
7154 사실 윤석열, 김건희가 된 것도 죄다 서울 하류 새끼덜 중에서 막장새끼덜의 뜻이 많이 반영된 것. 1 newfile John 176 0 2022.05.11
7153 이준석이 병신새끼도 샴페인만 존나게 일찍 터뜨려서는 곧 사라질 운명인 것. 1 new John 577 1 2022.05.11
7152 폴 권말대로 윤석열 마저 한국 물가 문제, 양극화 해소하지 못한다 new 노인 220 0 2022.05.11
7151 탈아입구가 아니라 탈구입아하는 러시아 새끼덜. ㅋㅋㅋㅋㅋㅋ 1 newfile John 468 0 2022.05.11
7150 이준석이랑 존이랑 5살정도 차이날텐데 인생 다른거봐라 ㅋㅋㅋㅋㅋ 1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192 0 2022.05.11
7149 똥푸산 하나 탈출 못한 버러지새끼가 러시아 걱정ㅋㅋㅋㅋㅋ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586 0 2022.05.11
7148 한국이 얼마나 표현의 자유가 개판인지 알 수 있는 영상 new 노인 221 0 2022.05.12
7147 서울이 절대로 유럽이 될 수 없는 이유. 2 new John 174 1 2022.05.12
7146 똥푸산 어촌 저학력 미개도시 사는 촌놈새끼가 서울 날씨 운운하네 ㅋㅋㅋㅋ 3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182 0 2022.05.12
7145 똥푸산 좆병신 어저미 새끼들은 대하이햄 좆이나 빨아라 ㅋㅋㅋ 2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169 0 2022.05.12
7144 더불어 만진당 하루동안 터진일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 4 newfile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366 0 2022.05.12
7143 북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발생했다 new 노인 209 0 2022.05.12
7142 달러 패권 아직 안 끝났음. 물가 올린다는 것들도 죄다 헬쥬신 새끼덜 한철장사. new John 200 0 2022.05.12
7141 이 와중에 추경하는 윤석열 집단은 아마추어리즘 병신들일 뿐이고. new John 149 0 2022.05.12
7140 이 와중에 추경하는 윤석열 집단은 아마추어리즘 병신들일 뿐이고. 국짐당이 버러지인 이유들. new John 153 0 2022.05.12
7139 민주당은 언제까지 성에 휘둘릴 것인가? 2 newfile John 442 1 2022.05.13
7138 공짜로 준 권력은 그래서 문제. 2 new John 186 1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