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개같은조선
16.06.16
조회 수 396
추천 수 5
댓글 5








KakaoTalk_20160616_112716260.jpg

 

KakaoTalk_20160616_112715475.jpg

 

KakaoTalk_20160616_112714720.jpg

 

착한것과 우울한것이 뭔상관인가?
사회생활인지 좀비생활인지






  • 이민가고싶다Best
    16.06.16
    그래서 구라는 자기마누라한테 통수맞아전재산 뻇겼제..
  • 위천하계Best
    16.06.16

    본질을 파악해서, (겉으로는 어떻게 살든지간에) 절대 본질을 잃지않는 현명한 사람들과

    본질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그냥 저게 자기자신의 모습이 되어버리는.. 헬센진들

     

    점점 거리가 멀어질것 같네요.  어쩔 수 없는 일인지.

  • 그래서 구라는 자기마누라한테 통수맞아전재산 뻇겼제..
  • 맞는말이긴함. 하지만 극단적인 상황이 아님. 얘내들은 이걸 겉으로 드러냄. 많은 사람들이 소셜네트워크 를 통해 정보를 수집, 그것들을 자신의 모습으로 변화,적용시킴. 현명한 사람들은 그것들을 판단함. 거리를 멀리함. 매우 큰 부작용.

  • 위천하계
    16.06.16

    본질을 파악해서, (겉으로는 어떻게 살든지간에) 절대 본질을 잃지않는 현명한 사람들과

    본질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그냥 저게 자기자신의 모습이 되어버리는.. 헬센진들

     

    점점 거리가 멀어질것 같네요.  어쩔 수 없는 일인지.

  • VOLK
    16.06.16
    내가 정글에서 사는 건지 사회에서 사는 건지 원
  • 갈로우
    16.06.16
    구라는 결국 밖에서는 호랑이였지만 집에서는 호구였다는거지 ㅋㅋ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7 0 2015.09.21
3606 국가보안법은 반드시 지켜져야만 한다. 9 new 블레이징 141 2 2017.08.08
3605 국가몰락 부르는 5대 한국병 4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201 1 2018.03.06
3604 국가막장테그 new 심영의짜씩 209 2 2016.01.17
3603 국가를 위해 희생 할 필요가 없는 이유 1 newfile 노인 60 1 2021.09.15
3602 국가를 시장논리대로 운영하면 어찌되냐고? 29 new 블레이징 337 8 2017.01.04
3601 국가를 비판하면 "빨갱이"가 되지만, 3 new AndyDufresne 238 2 2015.09.24
3600 국가라는게 없으면 좋겠다는 생각 해봤음. 7 new 노호호호력 245 9 2016.01.19
3599 국가라는 존재 2 new 구원자 253 8 2015.10.14
3598 국가들을 상징하는 원소기호... 헬조센 클라스 ㅋㅋㅋ 2 new 개방서 379 2 2016.01.07
3597 국가도 브랜드(헬짱깨국의 동생 헬조센) 1 newfile UnleashHell 388 3 2016.07.30
3596 국가대표 출신도 헬조선에서는.. 2 new 헬조선 610 1 2015.07.13
3595 국가는 무엇인가.avi new 조선임파서블 70 0 2016.12.07
3594 국가기관에 의한 사찰 저는 이것을 막는 방법으로 위정보를 생각합니다 2 new 탈죠센선봉장 179 3 2016.03.06
3593 국가가 통계를 조작하는 날조와 조작의 나라 '일본' 1 new 프리글루텐 236 7 2019.01.29
3592 국가가 우리에게 말하는것 5 new 헬조선탈출 176 4 2017.03.02
3591 국가가 에이즈 환자에게 혜택 준다고 비방하는 자들에게 new 노인 28 0 2018.07.04
3590 국가가 애국적 국민에게는 상을 주고 민족 배반자나 범죄자에게는 벌을 주어야만 비로서 국민을 단결 시킬수... new 지옥불조선 51 2 2016.07.25
3589 국가 자격증의 문제점 2 new 노인 172 0 2017.06.21
3588 국가 보안법의 모순 4 newfile 노인 136 6 2017.06.08
3587 국가 보안법으로 인한 피해 사례(퍼옴) 1 new 노인 42 1 2018.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