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201606092222_11150923560349_1_99_2016060구자관 삼구아이앤씨 책임대표사원이 지난 2일 서울 동작구 여의대방로 삼구빌딩 본사에서 가진 국민일보와 인터뷰에서 “회사의 주인은 내가 아닌 직원들”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창업자는 직원을 회사의 진짜 주인으로 여긴다. 많은 직원이 청소와 경비 업무를 담당하지만 입사하면 대부분 정직원으로 발령 내고 명함도 만들어준다. 회사 주식의 절반 정도를 직원들에게 나눠준 그의 명함은 ‘책임대표사원’으로 돼 있다. 그는 회장이나 사장 명칭은 맞지 않는다고 손사래를 친다. 다만 전체 사원을 대표하는 책임 있는 사원일 뿐이라는 것이다. 바로 삼구아이앤씨 구자관 창업자 이야기다. 지난 2일 서울 동작구 여의대방로 삼구빌딩 본사에서 그를 만났다.

-삼구아이앤씨는 어떤 회사인가.

“청소, 경비, 시설관리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누구나 쉽게 하려고 하진 않지만 없으면 안 되는 이 세상의 빛과 공기와 같은 일이다. 우리가 살면서 절대 없으면 안 되는 일을 우리 회사의 소중한 가족들이 하고 계신다. 만약 다니던 회사 사장님이 오늘부터 청소부를 쓰지 않는다고 하면서 청소부에게 주던 월급을 직원들에게 더 줄 테니 청소하면서 근무하라고 하면 다 도망갈 것이다. 필요한 일이지만 그런 일은 내가 직접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우리 직원들은 남들이 돈을 받고도 안 하겠다는 일을 한다. 사원들 연령층은 2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하다.”

-사람들이 청소부나 경비직 등을 하대하고 인격적으로 모욕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우리 회사에서는 청소하는 남자직원은 ‘선생님’, 여자직원은 ‘여사님’이라고 호칭한다. 남들이 꺼리는 일을 하지만 그분들도 집에 가면 사랑하는 가족의 가장이며, 자식들로부터 존경받는 어머니 아버지다. 내가 돈을 받고도 안 하겠다는 일을 그분들이 적은 돈을 받고 해주는데 얼마나 감사한가. 하지만 그분들에게 고맙다고 인사하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있을까. 정말 별로 없다. 그런 분들이 우리 삶을 편하게 해주는 사람들이다. 험한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무시할 게 아니라 존중해줘야 한다. 나는 호텔에 묵으면 반드시 손편지를 쓴다. 깨끗하고 편안하게 치워주셔서 감사했다고. 그리고 1만원을 놓고 나온다.”

-예상과 달리 대부분 직원이 정규직이라고 들었다. 직원들에 대한 대우는.

“청소, 경비, 식당 설거지를 하는 사람 등 그 어떤 분이든 우리 회사에 입사하면 대부분 정직원 발령과 동시에 명함을 만들어준다. 대다수는 평생 명함을 써본 일이 없는 분이다. 가끔 친인척을 만나면 누구 엄마 전화번호 묻고, 종이에다 자기 전화번호를 써주곤 했다. 하지만 이제 명함을 건넨다. 그만큼 자신감과 자부심을 갖고 열심히 일한다. 언젠가 은행에서 전화가 왔다. 청소하는 분이 대출받으러 와서 그 회사 정직원이라고 말하고 명함도 갖고 있는데, 맞느냐는 문의였다. 긴급 생활비에 쓰겠다며 겨우 몇 백만원 융자받으려던 그분이 명함도 없고 정직원이 아니었다면 가능했겠는가. 우리는 사람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회사다. 그분들의 가치를 높게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우리 직원들은 4대 보험에 가입돼 있으며, 6개월만 지나도 퇴직금을 지급한다. 일부 못된 사업주들이 직원 퇴직금을 안 주려고 11개월29일이 되면 자르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다. 그런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직원들에게 특별히 그렇게 신경 쓰는 이유가 있나.

“처음 2명으로 사업을 시작했는데 지금은 직원이 2만3000여명이다. 우리 회사 고객사가 335개, 현장이 1100곳 넘는다. SK 등 5대 그룹과 다 거래한다. 20년 넘게 거래한 회사도 적지 않다. 소중한 인연이 귀중한 인연으로 오래도록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너무나 감사한 일이다. 누가 그렇게 했느냐. 나는 거래를 위해 어디를 찾아간 일도 없다. 전부 우리 회사 현장 직원들의 노력 덕분이다. 우리 회사와 거래하는 것은 내가 예뻐서가 절대 아니다. 현장에 계신 분들이 성실하게 최선을 다해서 일해주기 때문이다. 우리 회사(본사)가 직원들에게 월급을 주는 게 아니다. 직원들의 노력으로 회사가 커지고, 내 월급도 주는 것이다. 어떤 회사든 사장이 부하직원들 월급을 챙겨준다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된다. 직원들이 사장 월급을 주는 것이고 회사를 발전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업하면 남는 게 있나.

“작년에 매출이 6100억원이었는데 48억원 이익을 남겼다. 우리 같은 기업은 사업을 해서 돈을 벌겠다고 하면 시작부터가 잘못이다. 이익은 거의 생각 안 하고 있다. 자선 봉사하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그건 아니다. 이익은 직원들에게 나눠주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해서 회사가 발전하면 나중에 회사 자산가치도 높아지는 것 아닌가. 현재 우리 회사 주식 47%는 직원들이 갖고 있다. 직원들에게 나눠줬다. 단 한 주도 딸이나 아들이나 집사람 등 일가친척에게 주지 않았다. 회사 중역이 40명인데 일가친척, 지인 단 한 명도 없다.”

-요즘 청소년들이 취업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헬조선’이란 얘기가 나오고 자포자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정말 어려운 가정 형편에서 오뚝이처럼 극복해 성공한 기업인이 됐는데, 이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요즘 청소년들이 너무 빨리 포기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우선 젊은이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봐 줬으면 좋겠다. 나는 국민학교, 현재 말하면 초등학교 때 꿈이 실업자(당시 ‘실업가’라는 단어를 몰라)였다(웃음). 젊은이들이 일거리 없다고 할 게 아니라 희망을 갖고 더 찾아보고 계속 노력했으면 좋겠다. 세상엔 할 일이 아주 많고, 창조할 것도 넘쳐흐른다. 젊은이들은 끊임없이 미래 변화를 예측해 준비하고, 도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요즘 금수저, 흙수저 얘기 많이 하는데, 철저히 흙수저였던 나도 새로운 도전에 목숨을 걸고 대들지 않았다면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을 것이다.”

■ 구자관 대표의 ‘도전 인생’

예순 넘어 대학생 되고 일흔에 수상스키 배우고…

구자관(72) 삼구아이앤씨 책임대표사원은 지독하게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입에 풀칠하기도 힘든 탓에 결석을 밥 먹듯 하며 가까스로 국민학교(초등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낮에는 아이스케키통과 구두통, 메밀묵통을 멘 채 서울 청계천에서 보냈고 밤에는 야학을 했다. 고등학교 들어갈 나이에도 낮에는 걸레와 빗자루를 만드는 공장에 나가고 밤에는 고교 야간부에 다녔다.

군에서 전역한 뒤 부인과 함께 건물 청소를 다니며 일하다 여사님 두 분을 모시고 1968년 작은 청소 업체를 설립했다. 청소용 왁스를 제조하겠다고 나선 공장에 불이 나 온몸의 절반 이상이 3도 화상을 입고 빚더미에 앉는 등 고난은 계속됐다. 두 차례나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절망에 빠졌지만 그는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섰다. 꼼꼼하고 성실하게 청소를 잘한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회사는 성장을 거듭했다. 지금은 직원 2만3000여명, 매출 6100억원(2015년), 15개 계열사를 거느린 중견기업이 됐다.

어떤 역경도 극복하지 못할 게 없다는 그는 63세에 번지점프를 하고, 64세에 대학에 들어가고, 70세에 수상스키를 배우는 등 인생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출처:국민일보 인터넷판...

 

 

구자관이라는 분이 청소 업체를 설립해서 중견 기업을 이끌게 되었다는데 한마디로 자신도 흙수저였고 세상은 넓으니 젊은이들이 헬조선 소리를 하지 말고 도전하고 노오오오오오오력을 하면 못할게 없다는 식의 그야말로 전형적 성공담 스토리를 늘어놓은 기사를 발견해서 이렇게 올리게 됩니다..물론 저 분이 힘들게 살았고 노력해서 성공한거 인정합니다..그런데 저런 분들의 특징은 자꾸 지금 현재 시대를 자신들이 겪어왔던 시대의 흐름하고 똑같이만 여긴다는거에요..과거에는 더 힘들고 못살았는데 지금은 풍요롭다,그러니 노오오오오력하면 된다...도전하라...이런 소리밖에 안합니다..지금하고 과거는 전혀 시대가 다르고 과정도 다른데 단순히 자신의 성공 스토리를 남들에게 그렇게하면 성공한다,헬조선 소리를 하지 말라는 이런 소리가 가당키나 한가요?

 

아니 막말로 진짜 어떻게 사람들이 다 똑같이 살수가 있습니까..마약 중독자나 도박 중독자등 이렇게 답없는 경우가 아니면,인륜적으로 심각한 잘못을 저지르거나 이런게 아니라면 사람마다 다 각자 추구하는게 다르고 소소한 행복이라도 추구할수있는건데....어떤 분이 올려주셨지만 아프리카나 이북,이슬람 극단권,기타 못사는 국가들에 비하면 한국은 천국이고 행복하다라고 어렸을때부터 세뇌시키는것도 웃기는거죠! 아니 우리보다 못한 곳이 많다고 우리가 가진 문제점이 사라집니까?? 완벽하진 않더라도 선진국들을 보고 그렇게 할려고 경제 발전도 한건데..이렇게 따지면 말씀들 하시는 국뽕들은 스스로 자가당착에 빠지는거라 봅니다..아프리카나 이런 국가들보다만 나으면 OECD 가입도 필요가 없었던건데...지금 다수가 불행하고 삶의 질이 낮은건 엄연한 현실인데..저런 소리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많으니 도전,노오오오오오오력하면 다 된다고 그런 사람들이 많으니 이 사회가 이모양이란 생각도 강하게 들고...그래도 화이팅들 하십시오...휴우!






  • 육노삼
    16.06.10
    지옥의 온도를 낮추시는 분이군요......
  • blazing
    16.06.10
    이런 사례는 그때 그 시절에나 있던 사례지, 저희가 처한 현실과는 많이 다릅니다. 물론 혁명의 그날, 이런분들은 응징대상에서 당연히 제외해드려야겠지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62 0 2015.09.21
6903 헬조선식 서울 캐릭터 '서울이' 5 new 서울이 291 9 2016.06.14
6902 헬조선 현인분들께 이건 꼭 읽어야 된다는 도서에 관하여 질문합니다 1 new 열심히발버둥 194 3 2016.06.14
6901 다시 수능준비를 할까 합니다. 여러분의 탈조선계획을 듣고싶습니다. 2 new 플라톤의향연 250 4 2016.06.14
6900 어떤 분이 책 추천해줬는데 혹시 미스테리 소설도 추천가능합니까? new 이민가고싶다 85 0 2016.06.14
6899 헬조센 직장동료 1 new 탈조선해서모히또한잔? 281 4 2016.06.13
6898 무슬림 헬조선테러 실패 5 newfile 허리케인조 365 1 2016.06.13
6897 ??? : 역시 경제를 살리려면!!!!! 2 newfile fuckingkorea 150 5 2016.06.13
6896 IMF나 OECD에서 발표하는 것중에서 한국과 관련된 사회경제지표는 절대 믿지 마셈. 9 new aircraftcarrier 311 7 2016.06.13
6895 돈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2 new fck123 267 4 2016.06.13
6894 올림픽 개최? 안됩니다. 아직은 때가 아니죠. 3 newfile 이민가고싶다 179 4 2016.06.13
6893 ‘불법·무질서’ 시민의식 사라진 한강공원... 3 new 진정한애국이란 249 4 2016.06.13
6892 헬조선의 시민의식 수준... 1 new 평등 370 5 2016.06.13
6891 이야~ 일본 사람이랑 문자하면서 노는데 정말 미쳐죽겠어요. 5 new 이민가고싶다 561 6 2016.06.13
6890 다시보는 박중양 센세의 어록 1 new 헬조선군대답이없다해 357 4 2016.06.13
6889 한밤의 회의론 2 new 평화주의자 131 4 2016.06.13
6888 가까운 미래에 징병거부운동이 실제로 일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요? 10 new 스페인제2공화국 280 3 2016.06.12
6887 징병거부운동은 꼭 필요하지 않나요? 17 new 스페인제2공화국 297 7 2016.06.12
6886 [세상 속으로] 힘겹게 들어온 첫 직장...그들은 왜 떠나는가... 1 new 진정한애국이란 307 5 2016.06.12
6885 금수저 되물림 new hellokori 207 4 2016.06.12
6884 헬조선 게시판에서 무슨일있었나요? 4 new kakarin 227 2 2016.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