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적.png

 

안그래도 일본에 조센불체자,이민잔뜩가서 민폐주고있는데 해저터널까지 생기면 ㄷㄷ...






  • ㄴㄴㄴ
    16.06.03

    이거 일본은 이미10년도더전에 모든준비가 완료 된상태로  헬조선에 해저터널 제의 한걸로 알고있음  조센이 이제서야 수락했나봄  아마도 수출대비 물류비용 쪽이  일본에 더이득있으니까  제의 했을듯  ,  

  • 123
    16.06.03
  • 클로디아
    16.06.03

    해저터널 지으면 일본과 헬조선이 육로로 연결되고 좋은점이 많은데, 헬조선이 여지껏 극렬 반대해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아네요.

    실제로 비용문제(최소 20조+)와 안전상의 문제도 있어 반대하는 측의 주장도 나름대로 합리적인데다가, 해저터널에 수반되는 여러 문제들때문에 실제로는 지어질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는 게 좋을듯하네요.

    국적포기비율에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네요. 어차피 일본 가는 비행기표가 그렇게까지 비싸진 않기두하구, 일본으로 갈 사람들은 해저터널 없어도 다 가지요.

  • ``
    16.06.03
     터널로 센징이들 유입되면 일본만 손핸데..
  • 탈인간
    16.06.03
  • 클로디아
    16.06.03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64 0 2015.09.21
25408 우크라군 "남부서 진격…'전술적 성공' 거둬" new John 32 0 2023.06.17
25407 천안함 자폭론은 본좌가 원조인데, 각종 뉴스, 신문에서 인터뷰 요청 하나 안 오네. 헬조센 사이트가 부담스... new John 36 0 2023.06.17
25406 이번에 대구시에서 일어난 일 new 노인 14 0 2023.06.17
25405 이스라엘과 한국에서 밀어주는 포탄이 동나는 순간 우크라이나 버러지들은 전멸이다. new John 24 0 2023.06.17
25404 워런 버핏이 선지자라고 개구라 존나게 치지만. new John 21 0 2023.06.17
25403 지덜은 지 딸 요지랄 시키면서 미성년자랑 사진만 주고 받아도 강간했다고 개지랄하는 위선자 씨발 새끼덜. newfile John 32 1 2023.06.17
25402 뱀, 고양이 살처분하면 2천만원 내야 됨. 종부세보다 더 돈 냄. 미친 나라지 씨발. newfile John 13 0 2023.06.17
25401 똥푸산 국개의원 황보순이 불륜하고 남편한테 쳐 맞았다고 칸다. newfile John 46 0 2023.06.17
25400 여기도 어째 한국처럼 기성세대들이 장악해버린 거 같아 우려스럽네 104 new 감성팔이. 58 0 2023.06.17
25399 한국은 미국에 일자리를 공급하고, 미국은 한국에 보지를 공급한다. new John 29 0 2023.06.17
25398 지방은 자연이 좋고 시골이라는 잘못된 사고를 지닌 한국인들은 1 new 노인 24 0 2023.06.16
25397 반중과 반미 또한 세대 싸움이지. new John 26 0 2023.06.16
25396 조센 노동자들의 직장 특징 newfile 노인 16 0 2023.06.16
25395 MZ 병신새끼덜 정신박약아들 신천지에 낚여서 거지 많이 된다고 칸다. 8 new John 89 0 2023.06.16
25394 이재명이 싼 똥 이제서야 치우는 양당 new John 31 0 2023.06.15
25393 2차대전은 이퓨얼을 쓰자는 대안 에너지 세력과 석유만 쓰자는 것들의 싸움이었다고 칸다. new John 21 0 2023.06.15
25392 중국이 하루에 탄도탄 만발 정도 생산가능이라는 말도 있다. new John 26 0 2023.06.15
25391 조선족 외노자 100만명이 빠지면 미국새끼가 그 자리에서 일할 가능성은 0이다. new John 19 0 2023.06.15
25390 도쿄, 뉴욕, 런던 같은 도시에 산다는 것은 new 노인 23 0 2023.06.14
25389 한국인의 사고 2 : 지역에 대한 인식 new 노인 21 1 20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