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복지

 

소련 성립 당시 초기의 연당 평균 실업률은 0.7 ~ 1.3% 였으며, 1950년대 후반부터는 0.1% 미만의 실업률을 기록했다. 노동 복지는 당시 자본주의 선진국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일례로, 1918년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세계 최초로 외국인노동자차별금지법, 아동노동금지법, 양성평등고용법 등을 명문화하는 동시에 이러한 법들이 실질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국가가 책임을 지고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을 명문화 했다. 또한 법적으로 지정된 공휴일과는 별도로 각 산업지마다 약 연평균 25일의 휴일을 주었다. 1917년 11월 11일 소비에트 러시아 정부는 유럽 최초로 일 8시간, 주 48시간 근무제를 채택했다. 이러한 정책은 당시 일 10시간 내지는 일 14시간 근무제를 채택했던 유럽 국가들의 노동 정책에 영향을 주기도 했지만, 내전기에서 1930년대 후반까지 이러한 것들이 소련 내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1961년 흐루쇼프 집권기에는 주 41시간 근무제로 노동법이 수정되었으며,[9] 1968년에는 주 35시간 근로제로 바뀌었다. 또한 해고 과정이 매우 까다로워, 해고율이 매우 낮았다.[10]

 

1920년대 후반부터 고성장을 해온 소련 경제로 인해 1950년대 후반에 들어선 본격적인 복지 제도가 실시된 것이다. 브레즈네프 집권 시기엔 지식·문화·예술에 관련된 복지 정책이 성과를 거두었다. 각 공동체엔 문화예술 시설과 도서 시설이 들어섰다. 이 당시 소련은 서적 출판율이 세계 1위에 달할 만큼 높았으며, 독서량은 1960년대에 들어서 세계 최고를 기록했다. 빈부의 차 없이 거의 모든 계층이 문화·예술 활동을 하거나 또는 감상할 수 있었다. 소규모 교육 제도도 발달하여, 추가 교육을 받고싶은 노동계급은 여유 시간을 내서 학점을 이수해 추가적인 학력증진활동을 전개할 수 있었으며, 이는 모두 무상이었다. 또한 이러한 복지는 소련이 붕괴하기 직전인 1990년까지 대부분 이어졌다.[11]

 

교육, 의료, 주거 등 여러가지를 보장해주는 사회적 임금이 매우 높은 편에 속했다. 주거 복지의 경우는 1950년대 후반부터 짓기 시작한 호당 평균 18평 짜리 5 ~ 7층(층당 평균 8호) 패널형 아파트인 흐루쇼프카로 해결했으며[12] 이 아파트들은 무상배당되었다. 식량의 경우는 러시아 소비에트 시절인 1918년부터 각 소행정단위마다 존재하는 식량 배급소에서 일정 식량을 배급했다. 이러한 배급은 1921년 신경제정책을 도입하면서부터 다시 폐지되었고, 1929년에는 식량배급제가 다시 부활했다. 1935년에는 식량 분배 수위를 국가가 조절할 필요가 사라지면서 다시 폐지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다시 부활하여 1940년대 후반까지 시행되었다. 소련은 1947년부터 배급제를 공식적으로 내걸지 않았지만, 의류, 옥수수, 비누와 같은 생필품의 경우는 배급으로 분배하는 경우가 잦았으며, 이러한 정책은 소련이 붕괴하는 1991년까지 지속되었다.[13]

 

1988년까지는 이러한 복지 시스템이 어느정도 유지가 되었지만, 몰타 회담 이후 소련은 자본주의 제도를 급진적으로 받아들임으로 여러가지 사회적 복지 혜택이 많이 줄어들기 시작했고 1990년에는 사회주의적 요소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형태의 국가가 되었다.[14][15]

 

교육

 

러시아 제국의 교육은 무료가 아니었으며, 하층 계급의 자녀들은 교육을 받기 힘들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1910년대 러시아 제국의 문맹률은 75% 이상 85% 이하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소련의 교육 위원회 초대 위원장인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는 문맹 퇴치를 위하여 글을 아는 사람들을 채용하여 글을 가르쳤다. 짧은 기간 동안 문맹률을 낮추어 1940년에는 문맹률이 1% 미만으로 낮아졌다.

 

소련의 의무교육은 11년제(초등학교 4년, 중학교 7년)를 채택하고 있었으며, 종합대학은 5년제, 단과대학은 4 ~ 6년제였다. 교육비는 무료였고 모든 학교는 정부가 관리하였다. 1960년에는 모든 소련 청소년들이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대학 과정도 무료였다.

 

의료

모든 국민은 건강 보호를 요구할 자격이 있으며 소련의 모든 의료 기관에 무료로 입장할 권리가 있다.

 

— 1977년 소련 헌법 제42조

 

러시아 제국의 의료 서비스와 국민 건강 상태는 매우 뒤쳐진 상태였다. 혁명 이후 1918년에 정부는 "의료는 국가의 관리 하에 둘 것이고, 의료는 무료로 시민들에게 제공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혁명 이후 소련의 평균 수명은 증가하였다. 소련의 평균 수명 증가율은 자본주의 국가들의 평균 수명 증가율보다 높았다. 

 

https://ko.m.wikipedia.org/wiki/%EC%86%8C%EB%A0%A8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0993 0 2015.09.21
6240 헬조선기업의 문제 3 newfile 양송이스프 402 5 2016.04.20
6239 여러분 허리띠 정말 졸라 매시기 바랍니다 6 newfile 후진국헬조선 585 7 2016.04.20
6238 마산에서 광주까지 4 new 지옥을노래하는시인 483 7 2016.04.19
6237 거미 2 new 지옥을노래하는시인 194 2 2016.04.19
6236 와 이런 단체도 있었다니... 6 newfile blazing 554 7 2016.04.19
6235 "짐 올리던 승무원이 머리 건드려" 사무장에 보복폭행.... 4 new 진정한애국이란 467 4 2016.04.19
6234 요즘 경력자한테도 까다롭게 구는 헬한사회 4 new oldberry1800 388 2 2016.04.19
6233 건강보험료 13만원 인상 ㅋㅋㅋ 역시 헬조선 노예들이 만만하지 6 new 헬반도ㅎ 448 8 2016.04.19
6232 진짜 이 장면이 드라마에 나왔다구요? 2 newfile blazing 482 4 2016.04.19
6231 위플래쉬 헬조선 버젼 I'll cue you 시발 ㅋㅋㅋㅋㅋㅋㅋㅋㅋ 3 new 당신은NERD 683 9 2016.04.19
6230 조폭 결혼식장 입구 모습 5 newfile 당신은NERD 617 9 2016.04.19
6229 음.. 역시 이런 나라는 빨리 떠나야해. 4 new 교착상태 589 7 2016.04.18
6228 최저임금이 올라가면 무슨 일이 생길까? 4 new framtid 395 2 2016.04.18
6227 한국을 위해 목숨을 걸을 필요 없는 이유 5 new 레임드 557 9 2016.04.18
6226 적응안되는 헬조선 나일리즘에 대한 사뭇 진지한 고찰 6 new 샹그리라 551 4 2016.04.18
6225 엎조선 조건 검색해 보았다! 8 new 시대와의불화 464 4 2016.04.18
6224 한국에서 대기업임금만큼은 일본보다 높다는것도 다 유사인류의 날조 4 newfile 다이쪽본시대 363 5 2016.04.18
6223 국뽕 둠센징들의 가장큰 착각"uri나라 정도면 살만한거지" 8 newfile 다이쪽본시대 481 7 2016.04.18
6222 헬조센=원조 헬조센 좆본제국 황국문화=블리자드 개띠껍인성 new 13Crusader13 355 0 2016.04.18
6221 싸이코패스 민족 헬센징!! 5 new 진정한애국이란 539 5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