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처단
16.04.05
조회 수 211
추천 수 1
댓글 0








출처:세계일보

빨간불 켜진 나라살림… 문제는 부채 증가 '속도'

 

신문에 게재되었으며 A8면의 1단기사입니다.A8면1단| 기사입력 2016-04-05 18:54 | 최종수정 2016-04-05 22:18 

 

세수 2조 늘어도… '메르스 추경'에 재정적자 눈덩이

20160405003000_0_99_20160405221809.jpg?t
'

나라살림에 빨간불이 켜졌다. 국가부채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재정 적자폭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로 커졌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중이나 적자액 규모 자체만 따지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에 비해 아직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문제는 부채 증가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다. 이 추세로 국가부채와 재정적자가 늘어난다면 수년 내 우리도 재정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경고가 끊이지 않는다. 복지 등 쓸 곳은 많은데 경기침체 여파로 세수여건은 날로 나빠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강도 높은 재정개혁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20160405002977_0_99_20160405221809.jpg?t

5일 정부가 발표한 ‘2015회계연도 국가결산’에 따르면 지난해 관리재정수지는 38조원 적자를 냈다. 적자 규모가 1년 새 8조5000억원 늘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쌓아 둬야 하는 국민연금·고용보험 등 사회보장성기금의 흑자를 뺀 것으로, 정부 살림살이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 지표다.
 

20160405003426_0_99_20160405221809.jpg?t

지난해 관리재정수지 적자 폭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43조2000억원) 이후 6년 만에 가장 크다. 재정적자는 2010년 13조원으로 줄었다가 2012년 17조5000억원, 2013년 21조1000억원, 2014년 29조5000억원 등 5년 연속 증가했다.

재정적자를 나라경제 규모(GDP)에 견줘 보면 -2.4%를 차지한다. 보통 재정적자 비율이 GDP 대비 ±0.5% 이내이면 균형 재정 수준으로 본다. 작년에는 통합재정수지도 2009년 이후 6년 만에 처음 적자를 냈다. 2014년 8조5000억원이던 적자 규모가 2000억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재정적자가 쌓여 부족한 재원을 국채 발행 등으로 메우면서 국가채무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국가채무는 590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57조3000억원 늘었다.

2014년까진 세금이 잘 걷히지 않는 게 재정적자 증가의 큰 이유였다. 그러나 작년엔 세수가 예상보다 2조2000억원 늘었는데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로 11조6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적자 규모가 오히려 커졌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이 아직까지는 양호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OECD 가입국 가운데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2014년 기준)는 27개국 중 5번째로 낮다. 에스토니아(10%), 룩셈부르크(23%), 뉴질랜드(31%) 등 한국보다 인구와 경제 규모가 작은 나라를 제외하면 멕시코(36%) 정도만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더 낮다.

OECD 통계 기준으로 2014년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는 41.8%였지만OECD 평균치는 115.2%에 달했다. 하지만 최근 부채 증가 속도가 점점 가팔라지고 있다. OECD 국가들과 달리 복지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어 안심하고 있을 처지가 아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의 ‘정부 재정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명목 GDP가 1997∼2015년 연평균 3.2배 증가할 동안 국가채무는 9.5배 늘었다. 2007년과 2015년 사이 우리나라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9.2%포인트 증가했다. 현재 복지 예산 규모는 전체 예산의 3분의 1 수준인 120조원 규모인데 고령화로 점점 비중이 늘어나는 것이 불가피하다.

정부도 재정건전성의 고삐를 바짝 죄기로 했다. 내년에 각 부처가 재량지출(정부 의지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예산)을 10% 줄여 일자리 창출 사업에 투자하도록 요구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정부는 지출 구조조정과 함께 사회보험 개혁, 지방·교육재정 관리 강화도 예고한 상태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재정건전성을 강화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나라살림을 운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9650 0 2015.09.21
6120 한국 머기업 다니고 있었는데 석열이 형때문에 탈조선한다 ㅋㅋ 1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279 0 2022.07.26
6119 헬조선은 지금이 역사상 제일 전성기가 맞고 2 new 킹석열 185 0 2022.07.26
6118 수구세력 . 신자유주의세력들이 문제다 new 킹석열 227 0 2022.07.26
6117 헬조선 리스크 new 킹석열 215 0 2022.07.26
6116 2025년부터는 마이너스성장도 가능할듯싶다 new 킹석열 159 0 2022.07.26
6115 세계경기 안좋은건 바이든탓이 크지 2 new 킹석열 495 0 2022.07.26
6114 난 경찰국도 반대하지만 지금 현재 경찰관련제도도 반대임 1 new 킹석열 232 1 2022.07.26
6113 탄핵이야기 나오는데 1 new 킹석열 191 1 2022.07.27
6112 아베 죽음의 의미 new 킹석열 195 1 2022.07.27
6111 원래 윤석열 진짜 똑똑한데 3 new 킹석열 181 1 2022.07.27
6110 이상한나라 변호사 우영우가 new 킹석열 153 1 2022.07.27
6109 한동훈도 진짜 똑똑하더만 new 킹석열 164 1 2022.07.27
6108 '김혜경 법카 의혹' 조사받은 40대 사망…극단 선택 추정 new 킹석열 151 1 2022.07.27
6107 원화 박살나니까 기분이 조크든요 ㅋㅋㅋ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181 1 2022.07.28
6106 호봉제와 직무 성과급제의 실상 new 노인 170 1 2022.07.28
6105 한국의 인구 감소 new 노인 477 1 2022.07.28
6104 이러다가 한국 경찰들 노조 만들어 파업 일어나겠네 1 new 노인 445 1 2022.07.28
6103 항후 한국의 일자리 상황 new 노인 153 1 2022.07.28
6102 원화가치가 지금은 높은편인데 new 킹석열 199 1 2022.07.28
6101 이재명 기축통화국 발언 일리있긴함 new 킹석열 177 1 2022.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