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히로토
15.08.12
조회 수 687
추천 수 2
댓글 8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8092126385&code=990100

?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있는 이 시점에 질문을 하나 던져보자. 과연 세상의 모든 나쁜 것들은 다 ‘일제 잔재’이며, ‘우리 고유의 것’들은 모두 옳았는가? 역사학자 도면회 교수는 바로 그러한 통념에 도전했다. <한국 근대 형사재판제도사>를 인용해본다. “예를 들어 기존 연구 성과에서는 식민지 무단통치의 상징적 사례로 조선인에게만 태형을 실시했다는 사실을 지적해왔다. 심지어는 태형이 갑오개혁기에 폐지되었다가 일제 통치하에서 부활했다고 서술한 개설서나 교과서도 많다.”

‘일제시대’에 대한 이미지가 대체로 이런 식이다. 악은 일본에서 왔고, 설령 일제가 ‘우리’에게 뭔가 좋은 것을 선사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더 많은 수탈을 하기 위한 투자였으므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식의 사고방식 말이다. 하지만 조선과 대한제국은, 망국으로 치닫고 있던 그 시점, 문제가 많은 나라였다. “태형은 갑오개혁기에 폐지되기는커녕 중앙과 지방에서 법적 한도를 넘어 인명 살상에 이를 만큼 남용”되었으며, 그에 따라 일본은 “한국인들이 오랫동안 학정에 시달려 왔으므로 국정을 개선하면 한국인의 민심도 쉽게 수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국인들의 일본에 대한 저항을 잠재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애석하게도 그들의 예상은 옳았다. 관군이 무너지고 있을 때 의병이 일어나 전세를 역전시켰던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은 이미 아득한 옛일이 되어버린 지 오래였다. “대한제국의 황제와 고위 관료, 한때 2만여명에 달했던 한국군은 어찌하여 총 한 방 제대로 쏘지도 못한 채 권력을 빼앗기거나 무장해제를 당했단 말인가? 국가의 멸망을 앞에 두고 어찌하여 양반 유생층 일부만이 의병 투쟁에 나섰을까? 전국적 항쟁은 왜 일어나지 않았을까?” 조선의 뒤를 이은 대한제국의 백성들에게, 그 나라는 목숨을 걸고 지킬 가치가 없는 나라였기 때문이다. 조선왕조는 그렇게 몰락했다.

그리고 대한민국이 태어났다. 대한민국은 출발부터 조선왕조와는 단호히 선을 그었다. 헌법 전문을 펼쳐보자.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는 나라다. 물론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는 고조선부터 대한제국까지의 모든 과거가 포함되겠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이 민주공화국은 조선왕조가 아니라 그 지배층이 지켜주지 못한 망국의 백성들의 저항에서 시작한 나라인 것이다.

광복을 맞이한 지 벌써 70년이 다 되어서 그런지, 대한민국을 부수고 조선왕조를 건설하려는 이상한 움직임이 눈에 띈다. 종로도서관과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을 철거하고 사직단을 ‘복원’하겠다는 발상만큼이나, 태릉선수촌을 헐고 태릉과 의릉을 ‘복원’한다는 계획은, 조선왕조가 아닌 대한민국의 국민인 내게 모욕적으로 느껴진다. 망한 왕조의 귀신 모시는 자리가 민주공화국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도서관이나 그 시민들을 대신해 국제무대에 서기 위해 훈련했던 운동선수들의 피땀 어린 공간을 밀어낼 수 있다는 발상이 과연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이러한 퇴행적인 문화재 ‘복원’ 시도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처해 있는 정체성의 위기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듯하다. 대한민국의 가치라 믿었던 것들이 부정당하고, 대신 조선왕조 시대에나 통용되었을 법한 사고방식이 복귀하고 있는 것이다. 헌법 제11조는 법 앞에서의 평등을 선포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대대적인 8·15 특사가 이루어질 것이며 ‘경제인’에 대한 사면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고한다.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이 말이 이토록 공허하게 들릴 수가 없다.

“황제의 전제권이 확립된 이후에는 사면 조칙이 더욱 빈번하게 반포되어 재판기관의 존재를 무색하게 할 정도가 되었다.” 대한제국이 그랬다. 대한민국은 망국의 역사를 되풀이하려는 듯하다. 경제적 격차는 신분제의 부활처럼 무겁다. 젊은이들은 ‘헬조센’에서 탈출하는 것을 인생의 목표로 삼기 시작했다. 지옥을 뜻하는 ‘헬’과 조선의 일본식 발음 ‘조센’을 합친 말이다. 해방 70년, 조선왕조를 이겨내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

?

?






  • 헬조선 노예
    15.08.12
    히로토님 헬포인트 20 획득하셨습니다. 헬조선에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 히로토
    15.08.12
    어째 ㄹ혜 잡고 나서는 조선시대로 회귀하는 듯 하다. 어쩌면 조선말기나 지금이 너무 혼란스러운게 비슷하여
    어떻게든 나라 껍데기만이라도 지켜보고자 그러는 거 같기도 하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이나 지금 개한민국은 둘다
    좀비 국가 상태임..
  • 반일을 너무나 강조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이조가 미화되는 것.
    지금같은 반일주의는 노비통치술의 일환이지.. 정신차려야함.
  • 히로토
    15.08.12
    관군이 무너지고 있을 때 의병이 일어나 전세를 역전시켰던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은 이미 아득한 옛일이 되어버린 지 오래였다. “대한제국의 황제와 고위 관료, 한때 2만여명에 달했던 한국군은 어찌하여 총 한 방 제대로 쏘지도 못한 채 권력을 빼앗기거나 무장해제를 당했단 말인가? 국가의 멸망을 앞에 두고 어찌하여 양반 유생층 일부만이 의병 투쟁에 나섰을까? 전국적 항쟁은 왜 일어나지 않았을까?” 조선의 뒤를 이은 대한제국의 백성들에게, 그 나라는 목숨을 걸고 지킬 가치가 없는 나라였기 때문이다. 조선왕조는 그렇게 몰락했다.
  • ㅉㅉ
    15.08.12
    20세기판 북한인 일본이나 19세기판 북한인 조선이나 둘다 똑같은 쓰레기국가인데 뭔 통념을 재평가한다는거야?
  • 노정태 글은 빨지말자. 씹극꼴페미새끼임. 진중권도 포기한 새끼.
  • 박멸장인세스코
    15.08.13
    노정태 글임?
  • 박멸장인세스코
    15.08.13
    그렇네 ㅋㅋㅋㅋ 이새끼가 씹극꼴페미? ㄷㄷ.. 씨발새끼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516 0 2015.09.21
1010 '용감한 아빠' 늘었다..남성 육아휴직자 비율 5% 돌파 4 new 지옥의불반도헬조센 465 0 2015.08.18
1009 헬조선 척추전문 병원의 실체 1 new 헬조선탈조선 530 3 2015.08.18
1008 헬남조선의 통일에 대한 생각 9 new 도시락 649 1 2015.08.18
1007 군 복무중에 올렸던 민원 전문. 7 new blazing 815 2 2015.08.18
1006 헬조선 게시판에 '잭잭'님의 글을 읽고... 2 new 왓더뻑킹헬조선 641 4 2015.08.17
1005 시장 자본주의는 곧 망한다. 1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521 2 2015.08.17
1004 헬조선의 군대와 갓스라엘 군대의 결정적 차이 1 new 므키타리안 630 3 2015.08.17
1003 여기서 뭐가 낮아지면 가장 좋겠는가.. 8 new 도시락 547 2 2015.08.17
1002 헬조선에게 가장 어울리는 속담 1 new 악령 529 2 2015.08.17
1001 헬센징들이 불행한 이유 3 new 악령 545 1 2015.08.17
1000 대륙은 말로만 끝나지 않는다.. 2 new 잭잭 533 2 2015.08.17
999 일본의 현실.. 10 new 잭잭 788 6 2015.08.17
998 헬조선과 비교되는 천조국 대통령의 유머 new 잭잭 580 0 2015.08.17
997 헬조선..엑스트라 버진 참기름.. 1 new 잭잭 516 2 2015.08.17
996 이쯤에서 다시 읽는 세계 명작 - "젊은 예술가의 초상" 1 new 영의정 603 3 2015.08.17
995 랜덤으로 다시태어난다면? 14 new 잭잭 781 0 2015.08.17
994 헬반도식...........경제활성화.........대책........ 1 new Hell-Peninsula 553 0 2015.08.17
993 재판끝났으니 합의금 다시 내놔라 1 new 헬조선탈조선 545 3 2015.08.17
992 헬조선의 흔한 사이버 정치질. 2 new blazing 552 0 2015.08.17
991 헬조선을 연구하는 학자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인터뷰(스압주의) 4 new 애국가5절 1631 1 2015.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