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억만장자, 세계는 '자수성가'…한국은 '상속의 나라'

상속부자 비율 74% '세계 6위'…"자수성가는 척박한 환경"
입력 : 2016-03-14 14:33:27 수정 : 2016-03-14 14:34:04

 
 
한국의 억만장자 중 상속으로 부를 일군 사람의 비율이 전세계 78개국 중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흐름과는 역행되는 현상으로, 우리사회에 만연한 부의 대물림을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다.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최근 발간한 '슈퍼리치의 근원: 억만장자의 성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자산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보유자 중 74.1%가 '상속형(inherited) 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평균치인 30.4%는 물론 중국(2%), 일본(18.5%), 미국(28.9%), 프랑스(51.2%)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상속형 부자 비율이 높은 곳은 아랍에미리트(75%), 아르헨티나(80%), 덴마크(83.3%), 핀란드(100%), 쿠웨이트(100%) 정도였다. 다만 이들 국가의 억만장자 비율은 전체의 0.2~0.4%에 불과해 1%가 넘는 국가 중에서는 한국의 상속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PIIE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년에 걸친 포브스의 억만장자 리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PIIE는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지만 막대한 부를 축적한 사람의 수는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15년 말 기준 전세계 억만장자 수는 1826명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규모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억만장자의 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천연자원이나 정치적 연줄을 기반으로 부를 축적했던 과거와 달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IT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한 부호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와 무관치 않다. 40세 이하의 젊은 부호·자수성가형 부호·여성 부호 등이 크게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PIIE에 따르면 자수성가형(self-made) 부호의 비율은 1996년 44.7%에서 2001년 58.1%, 2014년 69.6%로 꾸준하게 늘었다. 반대로 상속형 부호는 1996년 55.3%에서 2014년 30.4%로 줄었다.
 
전세계 억만장자들의 부의 원천 비율 변화. 자료/PIIE
이는 선진국과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보편적 추세였다. 미국과 유럽 등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자수성가 부호의 비율은 2001년 56.4%에서 2014년 79.1%로 늘었다. 같은 기간 신흥국에서는 58.4%에서 62.7%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가장 많은 억만장자가 살고 있는 미국에서의 자수성가 비율이 71.1%로 나타났다. 창업(32%)과 금융 분야(26.8%)를 통한 부의 축적이 비슷했다. 대표적 인물로는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이 있다.
 
최근 10년 사이 억만장자의 수가 2명에서 213명으로 폭증한 중국에서는 자수성가형 비율이 무려 98%에 달했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창업을 통해 부를 쌓았다.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등이 대표적이다.
 
포브스 선정 3년 연속 세계 최대 부호에 이름을 올린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부자다. 사진/뉴시스·AP
 
반면 한국은 자수성가형 부자 비율이 25.9%에 그쳤다. 지난 20년간 억만장자 수는 7명에서 30명으로 늘었지만 자신의 힘으로 부를 일군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홍라희 리움미술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삼성가의 억만장자들만 해도 모두 상속형 부호로 분류된다. 삼성을 비롯해 재벌가는 물론 중소기업, 일반 시민까지 부의 규모와 상관없이 상속을 당연시하는 기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와 자본시장 미성숙,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한국은 선진국보다 세금을 비롯한 각종 규제의 틀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재벌들의 부의 대물림을 끊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개인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려 해도 독과점 구도가 형성돼 있는 곳이 적지 않는 등 진입장벽도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자수성가형 부자가 나오기에는 제반 환경이 비교적 척박하다는 설명이다. PIIE 역시 "한국의 부호들은 과거 산업화를 통해 경제가 급속 발전하던 때와 무관치 않다"고 평했다.
 
김진양 기자 [email protected]
 
 
남조선 북조선 모두 세습제 ㅋㅋㅋ





  • 교착상태
    16.03.16
    전문가들이 사실을 말해주지를 않는군, 세금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로 신흥부자가 나오지 않는게 아니라
    갑질과 대기업 하청과 쥐어짜기로 신흥부자가 나올수 없는 구조라고 말해야 하지 않나?

    상속세 같은 이야기 따위만 나오는 수준하고는... 지들도 사실을 말하면 좆될까봐 두려운거겠지..
  • 고속탈출
    16.03.18
    심지어 러시아 만도 못하죠- 러시아야뭐... 비리사업(?)으로 빨리 재벌된게 함정이지만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80723 0 2015.09.21
5930 한국인 특징 1 new 노인 197 0 2022.09.17
5929 무대적 장치라는 것도 죄다 기만이 될 수 있지. 왜 안 되겠냐고. newfile John 512 1 2022.09.17
5928 서울의 사다리치우기는 룸살롱에서부터 시작된다.(2) newfile John 360 1 2022.09.18
5927 스웨덴에서 하루 생활한다면 newfile 노인 167 0 2022.09.18
5926 미래 한국의 이상한 분석 new 노인 259 0 2022.09.18
5925 한국 경제의 엉터리 분석 new 노인 210 0 2022.09.18
5924 앞으로는 구룡마을이 뜰 것이다. 지금의 몰락 40대들로 인해서 새로운 피가 유입될 것. new John 466 0 2022.09.18
5923 imf는 단순한 것. newfile John 194 1 2022.09.19
5922 이미 일어난 화폐전쟁. 2차대전. 2 new John 205 1 2022.09.19
5921 이미 일어난 화폐전쟁. 2차대전.(2) -스페인 내전과 영국항공전 newfile John 158 1 2022.09.19
5920 윤석열 버러지새끼 이재명과 당수회담 거부. 1 new John 205 1 2022.09.20
5919 공무원 시험 준비하는 자가 바보인 이유 2 new 노인 173 0 2022.09.20
5918 내 예상대로 교사 임금 삭감할 준비 왔다 new 노인 179 0 2022.09.20
5917 멍청한 노력충 아시아인들 1 new 노인 213 0 2022.09.20
5916 그래서 사우디 아람코는 에너지 장사하고 싶냐? new 노인 213 0 2022.09.20
5915 한국 버러지새끼덜은 이미 1948년에 죄다 미국의 노오예가 된 것들. newfile John 268 0 2022.09.20
5914 이란 상황을 통해 알 수 있는 복장 규제의 문제점 1 newfile 노인 378 0 2022.09.20
5913 정권 바뀌기 전까지 본투표는 국힘이 이기고 사전투표는 더불당 압승 이 패턴이 여러 중요선거들에서 공통... 5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19 1 2022.09.20
5912 조센 부유층 청년들만 할 수 있는 문화 : 골프팅, 와인팅 new 노인 196 0 2022.09.21
5911 헬조센에서 재수생이 존재하는 이유 new 노인 236 0 2022.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