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억만장자, 세계는 '자수성가'…한국은 '상속의 나라'

상속부자 비율 74% '세계 6위'…"자수성가는 척박한 환경"
입력 : 2016-03-14 14:33:27 수정 : 2016-03-14 14:34:04

 
 
한국의 억만장자 중 상속으로 부를 일군 사람의 비율이 전세계 78개국 중 6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흐름과는 역행되는 현상으로, 우리사회에 만연한 부의 대물림을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다.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가 최근 발간한 '슈퍼리치의 근원: 억만장자의 성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자산 10억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보유자 중 74.1%가 '상속형(inherited) 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 평균치인 30.4%는 물론 중국(2%), 일본(18.5%), 미국(28.9%), 프랑스(51.2%) 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상속형 부자 비율이 높은 곳은 아랍에미리트(75%), 아르헨티나(80%), 덴마크(83.3%), 핀란드(100%), 쿠웨이트(100%) 정도였다. 다만 이들 국가의 억만장자 비율은 전체의 0.2~0.4%에 불과해 1%가 넘는 국가 중에서는 한국의 상속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PIIE가 1996년부터 2015년까지 20년에 걸친 포브스의 억만장자 리스트를 기반으로 분석했다. PIIE는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의 평균 소득 증가율은 둔화되고 있지만 막대한 부를 축적한 사람의 수는 매우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15년 말 기준 전세계 억만장자 수는 1826명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규모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선진국보다 신흥국에서 억만장자의 수가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천연자원이나 정치적 연줄을 기반으로 부를 축적했던 과거와 달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IT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포착한 부호가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도 이와 무관치 않다. 40세 이하의 젊은 부호·자수성가형 부호·여성 부호 등이 크게 늘어난 것도 같은 맥락이다.
 
PIIE에 따르면 자수성가형(self-made) 부호의 비율은 1996년 44.7%에서 2001년 58.1%, 2014년 69.6%로 꾸준하게 늘었다. 반대로 상속형 부호는 1996년 55.3%에서 2014년 30.4%로 줄었다.
 
전세계 억만장자들의 부의 원천 비율 변화. 자료/PIIE
이는 선진국과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보편적 추세였다. 미국과 유럽 등을 포함한 선진국에서 자수성가 부호의 비율은 2001년 56.4%에서 2014년 79.1%로 늘었다. 같은 기간 신흥국에서는 58.4%에서 62.7%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가장 많은 억만장자가 살고 있는 미국에서의 자수성가 비율이 71.1%로 나타났다. 창업(32%)과 금융 분야(26.8%)를 통한 부의 축적이 비슷했다. 대표적 인물로는 마크 주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이 있다.
 
최근 10년 사이 억만장자의 수가 2명에서 213명으로 폭증한 중국에서는 자수성가형 비율이 무려 98%에 달했다. 이중 절반 가까이가 창업을 통해 부를 쌓았다. 리옌훙 바이두 창업자,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등이 대표적이다.
 
포브스 선정 3년 연속 세계 최대 부호에 이름을 올린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부자다. 사진/뉴시스·AP
 
반면 한국은 자수성가형 부자 비율이 25.9%에 그쳤다. 지난 20년간 억만장자 수는 7명에서 30명으로 늘었지만 자신의 힘으로 부를 일군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해 홍라희 리움미술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삼성가의 억만장자들만 해도 모두 상속형 부호로 분류된다. 삼성을 비롯해 재벌가는 물론 중소기업, 일반 시민까지 부의 규모와 상관없이 상속을 당연시하는 기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와 자본시장 미성숙,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분위기 등이 종합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했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책팀장은 "한국은 선진국보다 세금을 비롯한 각종 규제의 틀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재벌들의 부의 대물림을 끊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개인이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려 해도 독과점 구도가 형성돼 있는 곳이 적지 않는 등 진입장벽도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자수성가형 부자가 나오기에는 제반 환경이 비교적 척박하다는 설명이다. PIIE 역시 "한국의 부호들은 과거 산업화를 통해 경제가 급속 발전하던 때와 무관치 않다"고 평했다.
 
김진양 기자 [email protected]
 
 
남조선 북조선 모두 세습제 ㅋㅋㅋ





  • 교착상태
    16.03.16
    전문가들이 사실을 말해주지를 않는군, 세금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로 신흥부자가 나오지 않는게 아니라
    갑질과 대기업 하청과 쥐어짜기로 신흥부자가 나올수 없는 구조라고 말해야 하지 않나?

    상속세 같은 이야기 따위만 나오는 수준하고는... 지들도 사실을 말하면 좆될까봐 두려운거겠지..
  • 고속탈출
    16.03.18
    심지어 러시아 만도 못하죠- 러시아야뭐... 비리사업(?)으로 빨리 재벌된게 함정이지만요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004 0 2015.09.21
5939 한국경제에게 : 일본 자동차 산업의 진실 new 노인 483 0 2022.09.25
5938 일본 버러지새끼덜이 쳐 뒤져야 하는 이유와 재벌개새끼덜을 모두 쳐 죽여야 하는 이유. 2 new John 328 0 2022.09.26
5937 달러 1430원 돌파 달달하다 ㅋㅋㅋ 7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480 0 2022.09.26
5936 한국인들은 의무 완료보다 일의 질을 좀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new 노인 271 0 2022.09.26
5935 푸틴의 요리사가 하는 또 다른 사업 1 new 노인 199 0 2022.09.26
5934 윤석열 버러지새끼가 말하는 자유 그딴건 없다. 2 new John 241 2 2022.09.26
5933 러시아 예비군들에게 지급된 총은? 2 new 노인 541 0 2022.09.27
5932 전제주의와 봉건제의 가장 더러운 것들만 모아놓은 헬쥬신 자본주의 3 newfile John 595 2 2022.09.27
5931 유럽식 봉건계급을 지향하는 양당제야 말로 악질적 개새끼들의 시스템이다. 1 newfile John 307 1 2022.09.28
5930 환율 1440 달다달아 5 new 40대진보대학생병신존 224 0 2022.09.28
5929 한국에서 마약 산업이 판치는 것을 보면 new 노인 198 0 2022.09.28
5928 과연 윤석열의 한일 외교 정책이 뜻대로 해결될지 참 의문이다 new 노인 214 0 2022.09.28
5927 조르자 멜로니 어록 3 newfile 노인 418 1 2022.09.28
5926 윤석열의 문제점 : 변명 new 노인 174 0 2022.09.29
5925 과연 저런 법을 통해 기업 독점이나 애플 문제 해결할지 참 궁금히다 new 노인 208 0 2022.09.29
5924 주휴수당 폐지론자에게 : 최저시급 15000원 이상이나 올리고 저런 짓 해라 new 노인 273 0 2022.09.30
5923 캐치뉴스에서 제시한 자료 중에 엉터리들이 많다 newfile 노인 243 0 2022.09.30
5922 대구 똥꼬충 관종새끼덜에게 사료를 주지말자. new John 189 1 2022.09.30
5921 한화 버러지덜 같이 쳐 망하려고 대우조선해양 인수. new John 265 0 2022.09.30
5920 한국의 전기료, 가스비 인상을 보고 new 노인 298 0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