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지옥의불반도헬조센
15.08.12
조회 수 474
추천 수 1
댓글 4








가족 75%가 월소득 200만원 미만

본인보다 자녀·손자녀·증손자녀가

월소득 200만원 미만 비율 더 높아

독립유공자 3대인 한상조씨가 10일 서울 고척동 자신의 구멍가게 벽에 걸린 조부 한태석 선생의 훈포장과 독립유공자 증서를 바라보고 있다. 독립군 후손에게 '벌'처럼 남겨진 밥벌이의 무서움을 평생 겪어야 했던 한씨는 지난 1월 광복 70년 만에 처음으로 유공자 보상금을 받았다.


인천 남동구 반지하방에 사는 최정선(76)씨는 1920년 봉오동전투에서 독립군 사령관을 맡은 최진동 장군의 손녀다. 독립운동가 3대인 그의 월 수입은 기초노령연금 20만원과 기초생활급여 30만원이 전부다. 겨울 난방비는 2만원, 여름 전기료는 900원을 넘지 않는다. 서울 고척동에서 10㎡(3평) 크기 가게를 하며 팔십 평생을 바람 잘 날 없이 산 한상조(79)씨의 조부는 독립운동가 한태석 선생이다. 역시 독립운동가 3세대인 그에게 남은 건 보증금 3,000만원에 월 30만원짜리 월세방과 구멍가게, 뒤늦게 올해 1월부터 처음 받기 시작한 독립유공자 후손 연금 156만 8,000원이 전부다. 근근이 꾸려 오던 구멍가게는 지난해 길 건너 편의점이 들어서면서 매달 적자다. 그래도 두 사람의 고단한 삶에서 버팀목이 된 건 독립유공자 후손이란 자부심 하나였다.

본보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최초로 독립운동가와 후손들 모임인 광복회 회원 6,831명 전원을 대상으로 한국리서치와 함께 생활실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에는 생존 독립유공자 26명을 비롯해 배우자 32명, 자녀(2대) 469명, 손자녀(3대) 509명, 증손자녀(4대) 53명 등 모두 1,115명이 참여했다. 조사결과 한씨나 최씨처럼 평생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는 이들이 대다수였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우리 사회의 부끄러운 치부가 실제로 확인된 것이다.

독립유공자 가족들의 경제적 어려움은 상당했다. 월 개인 소득을 분석한 결과 200만원 미만 구간에 전체 75.2%가 몰려 있었다. 1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이 43.0%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20.9%, 심지어 50만원 미만도 10.3%였다. 더욱이 3대를 넘어 4대 후손들로까지 가난은 대물림 되고 있었다. 월 개인 소득을 세대별로 보면 200만원 미만 구간에 독립유공자 본인(38.4%)보다 자녀(72.2%)와 손자녀(79.2%), 증손자녀(62.2%) 비율이 더 높았다. 100만원 이하 구간으로 나눠봐도 독립유공자 본인(23%)보다 자녀(25.3%), 손자녀(37.9%), 증손자녀(24.5%)의 비율이 더 높았다. 설문에 참여한 많은 응답자들이 연금생활자란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소득수준은 올해 우리나라 4인 가구 최저생계비(166만 8,329원)와 비슷하거나 이 보다 못한 셈이다. 후손들이 받는 연금(52만~188만원)을 빼면 순소득은 올해 1인당 최저생계비 (61만 7,281원)에도 못 미치는 빈곤층이 대다수라 할 수 있다.

개인 총 재산 역시 국민 평균을 한참 밑돌았다. 5,000만원 미만이 28.3%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21.1%,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이 20.9% 순이었다. 이는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2013년 국민대차대조표 작성 결과'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가구당(2.61인 기준) 순자산(3억 3,085만원)에도 훨씬 못 미치는 수치다. 이 같은 결과는 주관적 계층인식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응답자 중 자신이 '하층'에 속한다고 답한 비율이 73.7%를 차지했다.

경제적 어려움은 교육 수준으로 연결됐다. 응답자 중 고졸이 25.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초졸(22.8%), 중졸(12.8%), 무학(4.7%)의 순이었다. 교육기회 박탈이 이들을 우리 사회 하층으로 내모는 주된 요인이었던 것이다. 보훈정책 중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서는 보훈 연금 및 대상 확대가 63.1%로 최다였고, 이어 의료서비스(14.3%)와 주거(10.0%), 교육(3.1%) 지원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직접 독립운동을 전개한 생존 독립유공자가 현재 83명이고 평균 나이는 91세로 나타났다. 이들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정부가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처우에 속도를 내야 할 필요성이 커지는 이유다.

방학진 민족문제연구소 사무국장은 "독립유공자 후손의 경제적 어려움은 해방 직후부터 실시돼야 할 보훈 정책이 1962년까지 미뤄진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며 "그 때부터 시작된 가난의 고리가 아직까지 이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본보가 지난달 6일부터 31일까지 광복회 회원 전원에게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보내, 이중 회신한 1,115명의 답변 분석을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이뤄졌다.

?

?

괴즐나사!






  • 친일부역하면 3대가 잘사는 나라^^
  • 시발 좆같은 헬조선
  • 이런 주제에 태극기 걸고 애국심 운운하는 나라라니 참...
  • 왕족 귀족들의 합의와 반도인 백만명의 청원으로 일본과 통일된 상황에서 독립운동가의 의미란 반역도당 내지는 반동분자 정도.
    반역에 성공하면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으니 자칭 독립운동가들은 자기들끼리 끝없는 세력다툼을 벌였는데, 종래는 미소를 등에 엎을 수 있었던 이승만패와 김일성패가 자리 잡은 것. 이 패거리에 들지 못한 반역도당의 처지가 잘 풀리긴 어렵지..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1239 0 2015.09.21
931 가계부채 리스크가 터지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나? 이재용과 정의선이다. newfile John 200 1 2024.04.08
930 [세비라] “세력균형이 벌어질 때, 약소국의 주권이 발휘된다."(Allen Tayler) new John 166 0 2024.04.08
929 어쨌든 민주나 국힘이나 수구집권세력으로 내버려둔건 청년들때문이지 new 킹석열 157 0 2024.04.08
928 사담후세인 안죽었음 이라크 gdp4위됐지 new 킹석열 138 0 2024.04.08
927 가계부채는 장기적으론 미국탓이 맞고 new 킹석열 185 0 2024.04.08
926 출산율 0.6 당연하게 받아들임 new 킹석열 150 0 2024.04.08
925 이준석이 화성에서 야당후보 많이 따라잡았다고한다 .. 1 new 킹석열 434 0 2024.04.08
924 외국인보다 더 조까튼 역차별 받는 한국 1 newfile John 155 1 2024.04.09
923 한국의 학교폭력 원인? new 노인 142 0 2024.04.09
922 아르헨티나 중고 F-15 전투기 구매 new 노인 215 0 2024.04.09
921 [이 시각 세계] 에콰도르, 멕시코 대사관 강제진입 후폭풍. 현대판 아관파천. 1 new John 395 0 2024.04.09
920 한국 망사용료에 대한 기사 newfile 노인 126 0 2024.04.09
919 한국의 귀농 정책이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 3 new 노인 155 0 2024.04.09
918 지금도 소리소문없는 50대 숙청은 자행중이다. newfile John 181 0 2024.04.09
917 야 씨발 서울에 가서 살고 싶은 지방새끼 없으니까 개소리나 하라고 노인 개새끼야. new John 259 1 2024.04.09
916 한국인들은 서울에 서비스업이 주류이고 제조업이 많이 없는 줄 착각한다 2 new 노인 135 0 2024.04.09
915 한국의 민영화에 관해서 1 new 노인 143 0 2024.04.09
914 한국전쟁은 애초에 다른 종족주의에 의해서 일어난 전쟁이다. 1 newfile John 165 1 2024.04.09
913 미국이 중국에 대해서 이길 수 밖에 없는 이유. newfile John 172 1 2024.04.10
912 헬조선은 아직도 씹호황이다. 서민과 청년들만 죽어나갈 뿌~운. newfile John 171 1 202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