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바나나
16.02.27
조회 수 229
추천 수 1
댓글 1








정의로운 뒷담화


직장 같은 데에서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에게 당하는 분들은
보통 성격이 순한 분들이죠. 착한 분들은 뒷담화를 잘 못해요.

 

그런데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는 이미 여러분의 뒷담화를
다른 사람들에게 수없이 했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들이 늘 지고 살다가 나중에 여러분에게 그런 사람들이
책임을 전가해서 험담을 해도 여러분의 말이 먹히지 않습니다.

 

이미 그 사람은 여러분에 대한 뒷담화로 주변을 도배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사람들 마음속에 당신은 어떤 사람이라고 음해를 다 해놓은 것이죠. 이것이 안타까운 부분인데,


 

진짜 보살이라면, 그리고 보살도를 하시려면,

 

내가 있는 곳에서 정의구현을 하시려면 뒷담화를 정말 잘 해야 돼요. 정의로운 뒷담화 말입니다.

 

 "저 사람이 남에게 분명히 피해를 주고있다."


 

내 일이 아니더라도, 그 사람에 대해 이런 부분을 끝없이 알려야 합니다.

 

상대방도 할 것이기 때문에 이쪽도 뭔가를 해놓지 않으면 안 됩니다.
 

사람들은 남의 일에 그렇게 관심이 없어요.

 

들리는 말만 듣고 쉽게 판단해버리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계속 알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내가 당한 일이든, 남이 당한 일이든, 부당한 일은 계속해서 알려야 됩니다.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ohd
-홍익학당 홈페이지
http://hihd.co.kr
-본 동영상의 외국어 번역 및 녹취작업 등 재능기부를 받습니다.
http://cafe.naver.com/hihdtr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53 0 2015.09.21
11159 버니 샌더스 "부자나라에 미군 주둔 재검토 필요" 1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140 1 2016.02.09
11158 헬조선에 유럽식 교육은 안맞음 1 new 꼰대아웃 242 1 2016.02.08
11157 안녕하세요 푸념이에요 1 new 캐치미캐치유 79 1 2016.02.08
11156 왕따문제는 과거부터 지금까지이어져오는 심각한 악습이었다. new 명성황후 169 1 2016.02.07
11155 헬조선에서 볼법한 일본국회모습 1 new 명성황후 223 1 2016.02.05
11154 비둘기야~ new 명성황후 112 1 2016.02.05
11153 헬조선은 '양심세력'이 사라졌다. 10 new 명성황후 283 1 2016.02.05
11152 한국 정당의 진짜 특징 7 newfile 노인 176 1 2017.09.25
11151 "우리"라는 단어에 대한 고찰... new 새로운삶을시작 148 1 2016.02.04
11150 헬조선에서 즐겨듣던노래 1 new 명성황후 139 1 2016.02.04
11149 헬조선에서 실용성도 없는 공부 잘해도 흙수저는 안되는 이유 2 new 지옥의체험판헬조선 293 1 2016.02.04
11148 일본이 군대보유하면 헬조선군대처럼 될까? 1 new 명성황후 184 1 2016.02.03
11147 헬조선에서 상대하지 말아야 할 사람은 2 new 사회정의 308 1 2016.02.02
11146 헬조선어를 쓰는흑형 new 명성황후 173 1 2016.02.02
11145 흔한 조센의 "막장(?) 드라마" 만들면서 타사 막장 드라마를 비판(?)하기 2 new 조선부침개 229 1 2016.02.02
11144 귀신이란 용어보단 암흑물질이란 용어를 씁시다 new 살게라스의화신 187 1 2016.02.01
11143 동북아시아 안보상황 (사드배치문제) 2 new 명성황후 171 1 2016.02.01
11142 만약 영혼,의식의 실체가 이런거라면? 3 new 플라즈마스타 224 1 2016.02.01
11141 사실 독도나 북한이나... 1 new 양송이스프 137 1 2016.01.31
11140 그동안 난민 안받아들인 일본 정부가 이번에는 우크라이나 난민을 많이 수용했다 1 new 노인 35 1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