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오피스 육아'란 말까지…

식사 예절·인사법 등 신입사원 일일이 가르쳐

온라인 문화에 길들여져 대면 능력 떨어지기도

친구같은 부모 밑에서 제대로 교육 못 받은 탓

 

#1. LG그룹은 올해 신입 사원 교육 프로그램으로 '직장 예절'을 신설했다. 인사하는 법, 자동차·엘리베이터 탑승 시 상석(上席) 구분하는 법, 이메일 작성법 등을 가르친다. LG 관계자는 "'회사에서 예의범절까지 가르쳐야 하나' 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사원들 사이에서 '입사 후 예의범절을 잘 몰라 어려움을 겪었다'는 얘기가 많아 신입 사원 교육 과목에 포함시켰다"고 말했다.

 

 

 

#2. 민병철교육그룹은 지난 2007년 신입 사원 예절 교육 매뉴얼을 만들었다. 전화 받는 법, 상사에게 보고하는 법, 업무 관련해 지적받았을 때의 표정 관리 요령까지 포함시켰다. 4년 전부터는 입사 면접에서 예의범절과 인성(人性)을 최우선으로 본다. 홍지민 민병철교육그룹 부장은 "수직적 예의범절이 아니라 일할 때 지켜야 할 매너를 가르친다. 예의 없는 사람은 결국 팀워크를 해쳐 조직에 해가 되더라"고 했다.

 

 

 

2016021201572_0_99_20160213030210.jpg?ty김성규 기자

신입사원 예절 교육을 놓고 기업들이 고민에 빠졌다. 예전에는 가정 교육을 통해 자연스레 익히던 기본 예의를 갖추지 못하고 입사하는 20대 중반~30대 초반 신세대 직원들이 많아지면서다. 이른바 '오피스 예절 교육'. 아이 키우듯 하나부터 열까지 가르쳐야 한다는 의미에서 '오피스 육아'라는 말까지 나온다.

 

 

 

식사 예절 가르치는 회사

 

 

 

'오피스 예절 교육'의 가장 큰 이슈는 식사 예절이다. 식사자리란 신입 사원들이 회사 동료뿐 아니라 사외(社外) 인사를 접촉하게 되는 기회이며 비즈니스의 최전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차장급 회사원 김소영(37)씨는 얼마 전 신입 사원과 거래처 식사자리에 갔다가 난감한 일을 겪었다. 거래처 직원과 마주앉은 신입 사원이 수저를 놓거나 컵에 물을 채워주는 등의 일을 상대가 해줄 때까지 멀뚱멀뚱 앉아 있었기 때문. 김씨는 "아무리 신입이라지만 대외적인 자리에서는 우리 회사의 '얼굴'인데 예의없다는 얘기가 나올까 봐 낯뜨거웠다. 식사 예절쯤은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PR컨설팅업체 커뮤니크는 사원 교육용 식사 예절 매뉴얼을 두고 있다. 신명 커뮤니크 대표는 "비즈니스를 잘하려고 밥을 먹으러 나갔다가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해 오히려 망치는 경우가 많다. 가정에서의 '밥상머리 예절'이 사라지다 보니 회사에서라도 가르쳐야겠다 싶었다"고 했다.

 

 

 

그러나 여전히 직장 내 식사자리는 신·구 갈등의 현장이다. 중소기업 사장 이모(48)씨는 얼마 전부터 직원들과의 회식을 횟집에서만 한다. 그는 "고깃집에서 회식을 하면 '고기는 누가 굽나' '찌개는 누가 덜어 나누나' 등을 신경 쓰느라 골치 아픈데 식탁 세팅이 다 돼 있는 횟집에선 그런 문제가 없다"면서 "내가 신입일 땐 선배가 밥값을 내니까 고기 굽는 일쯤은 할 수 있다 생각했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그런 일들을 '배려'가 아니라 위계에 대한 '굴종'으로 여기는 것 같다"고 했다.

 

 

 

"'대면 스킬'이 아쉽다"

 

 

 

'디지털 온라인 세대'인 신입 사원들의 '대면(對面)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도 관리자 입장에선 고민이다. 대기업 차장 정민주(38)씨는 얼마 전 회사에서 잠시 자리를 비웠다가 1년 차 신입 사원으로부터 이런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부장님이 급하게 찾으십니다." 정씨는 "일 때문에 급하게 찾으면 전화를 해야 하는 것 아닌가. 문자메시지는 상대가 즉각 확인한다는 보장이 없어 자칫하면 업무 진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데 왜 전화를 안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2년 차 신입 사원 김진완(30)씨는 직장 내 대면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씨는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인터넷을 사용했다. 친구들과의 대화는 주로 카카오톡으로 한다. 그는 "사람과 얼굴을 보고 1대1로 이야기하는 게 부담스럽다. 문자메시지는 시작하는 말과 끝내는 말이 없어도 되니 편한데 전화 통화는 시작과 끝맺음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힘들다"면서 "보고를 문자메시지로 한다고 회사에서 지적을 받았는데 그게 예의에 어긋난다는 사실도 그때 처음 알았다"고 말했다.

 

 

 

'대면 스킬'의 부족은 직장 내 대인 관계 문제로도 이어진다. 양문영 롯데주류 부장은 "요즘 신입 사원들의 가장 큰 약점은 사람을 대하는 데 서투르다 보니 '센스'가 없다는 거다. 예전 후배들은 '태도가 잘못됐다'고 하면 알아들었는데 요즘엔 구체적으로 지적해야만 고친다. 그런데 지적 사항 외의 '플러스알파'가 없다 보니 관리자 눈엔 무성의하게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

 

 

 

"가정교육부터 문제"

 

 

 

기업 관계자들은 "결국은 가정교육이 제대로 안 돼 생기는 문제"라고 입을 모았다. 친구 같은 부모 밑에서 떠받들려 자란 젊은이들이 직장에서 부모 아닌 어른과의 관계를 난생처음 쌓아가다 보니 갈등이 생긴다는 것이다. 대기업 부장 박모(45)씨는 "직장 상사와 부하 직원이 한 인간으로서는 평등하지만 조직원으로서는 평등하지 않다는 걸 신입 사원들이 모른다. 회사 입장에서는 회사와 더 오랜 기간 신뢰 관계를 쌓았고 업무 능력이 뛰어난 상사에게 권한을 더 많이 주는 게 당연한데 요즘 신입 사원들은 부모와 자기가 평등한 것처럼 자기와 상사도 동등한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했다.

 

 

 

개념없는 일부 부모가 자녀의 직장 생활을 망치기도 한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업무가 미숙한 신입 사원을 꾸짖었더니 부모가 전화해 '왜 우리 애를 야단치느냐'며 항의했다. '우리 애 내일부터 회사 안 나간다'며 전화로 퇴사를 통보하는 부모도 봤다"면서 "부모가 타인에 대한 예의나 배려가 없으니 자식도 그런 걸 배우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젊은이들 탓만 할 게 아니라 사회구조 자체의 문제를 짚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전상진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는 "해고도 문자로 통보하는 무자비한 기업이 등장하는 사회에서 사표를 문자로 제출하는 청춘이 생겨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일 아닌가"라면서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시대를 견뎌내고 있는 요즘 젊은이들의 특성에 맞게 기업 문화가 변하고 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했다.






  • 수저 물통 가까이 있는 사람이 꺼내던가 각자 알아서 꺼내 처 먹으면 될 걸, ㅋㅋㅋ 갑질에 환장한 집승 새끼들, ㅋㅋㅋㅋ. 완전 침팬치 사회 ㅋㅋ
  • 진짜 저런 예절이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고 그냥 자기들 편해질려고 하는 게 예절이냐
  • 아진짜 수저 물컵 그딴거 챙겨주는게 도대체 왜 예절인지 모르겠다 그게 상대방에 대한 존중인가? 세팅 안해주면 상대방에 대한 모욕인가? 진심 이해를 할 수가 없다 자동차 상석도 마찬가지 그냥 덩치 큰사람이 앞에 앉고 아무렇게나 앉아서 가면되지 뭔 얼어죽을 5명일땐 어디가 상석이네 4명일땐 3명일땐..아주 ㅈㄹ들을 하고 앉아있다 ㅅㅂ
  • 갈로우
    16.02.14
    시발 ㅋㅋㅋㅋㅋㅋㅋㅋ
  • KAOS
    16.02.14
    합리적이지 못한 인간들 쯧쯧... 시대에 따라 예의범절은 변한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네요
  • 머슴
    16.02.14
    젓가락필요한사람이 수저통에서 꺼내면되고 물마시고싶은사람이 물따라마시는게 상식아닌가? 예전에 이런걸로 외국친구들하고 얘기나눈는데 다들 이해못하겠다하더라 ㅡㅡ
  • 불량중년
    16.02.18
    딱 맞는 말이네. 회사가 해고 통보를 문자로 하는 건 당연한거고, 사표를 문자로 보내는 건 싸가지 없는거? 이 미친 나라는 태어날 때부터 나이 순으로 줄을 세우더니 학교는 물론, 군대와 직장까지 줄을 세우네.
    부장이라는 놈이 말도 안 되는 이야기 해도 앞에서는 '네, 부장님이 옳습니다' 굽신굽신 하다가 나중에 기회 생기면 '사실은 부장님,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렇게 물어야 하는게 21세기 한국사회 조직문화 예절이다. 21세기 창조경제? 미친소리 하고 있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455 0 2015.09.21
21832 한국의 운전 문화 15 newfile 템트스 279 7 2017.03.25
21831 헬조선인들의 쌀에 대한 집착 4 new 노인 279 5 2017.03.23
21830 배울건 배우자 드립 6 newfile 이거레알 279 8 2017.03.22
21829 한국 사람들이 뒤에서 누가 쫓아오는 것처럼 치열하게 달리는 이유 알려준다 5 new 불타오른다 279 4 2017.02.27
21828 한국인 진골인 친구들은 유학 갔다온애랑 항상 상극이더라 2 new 한국보다한인타운이더무시무시함 279 5 2017.02.05
21827 역갤 일뽕종자새끼들 신천지냐 하는짓거리가 신천지같냐 ㅋㅋ 9 newfile 갈로우 279 1 2017.01.13
21826 시위한 개돼지가 웃기다고? ㅋㅋㅋ 10 new 블레이징 279 8 2016.11.14
21825 문자쓰고 싶은 헬조선의 병신들 과 "Paradigm" 1 new Ninja 279 1 2016.10.07
21824 한국인들의 민족주의를 철저히 쳐부수기 위한 나의 주장 7 new Uriginal 279 3 2016.11.15
21823 꼰대 : 도전하라 젊은이! 3 new 일본프리타족 279 9 2016.09.07
21822 (분노주의) 무질서로 얼룩진 사과 축제 1 new KBS6시내고환 279 2 2016.09.01
21821 헬조선 직장에서 절대로 갖지 말아야 할 세가지 보람,성취감,자부심 3 new 살려주세요 279 7 2016.08.12
21820 다른나라군대도 이럴까? 4 new 꼰대탈출넘버원 279 6 2016.08.12
21819 2015년 프랑스 일본 한국 국가 만족도 5 new 시대와의불화 279 5 2016.08.06
21818 대통령을 암살해야한다(쫄리면들어오지마 10 new 생각하고살자 279 9 2016.08.11
21817 수많은 사회적응자 들에게 장난감,가축이 된 러시아인 2 newfile 플라즈마스타 279 3 2016.07.29
21816 재미로 헬조선 막장테크 그려봄 2 new 10의아해 279 7 2016.07.25
21815 일본어 독학으로 배우는데 돌겟다. 6 new 루디스 279 1 2016.07.25
21814 씨발 진짜 이나라 하루빨리 뜨고싶다 3 new 씹개돼지분쇄기 279 5 2016.07.22
21813 세상은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4 new 당신은NERD 279 5 2016.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