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스타트업 취업 매칭 '활발'…전공 성역도 사라진 구직 열기


디캠프 '청년희망재단과 함께 하는 D.매치 글로벌'
[ 최유리 기자 ] "모바일쪽 개발 경험이 부족하지만, 필요한 부분은 오늘이라도 가서 배워오겠습니다!" "체력적으로 남자에게 뒤지지 않습니다! 야근도 문제없어요."

다부진 각오들이 오갔다. 각오를 넘어 절규에 가까운 외침도 들렸다.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에서 취업난의 돌파구를 찾으려는 구직자들의 목소리였다. 표정은 하나같이 진지했지만 반듯한 정장 차림은 보기 어려웠다. 호피무늬 운동화에 털모자, 백팩을 둘러맨 청년들은 대기업 간판보다 스타트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했다.

지난 3일 창업지원센터 디캠프는 '청년희망재단과 함께 하는 D.매치 글로벌'을 열었다. 취업준비생 200여명과 스타트업 20곳 사이의 '단체 맞선'을 주선한 셈이다.

맞선의 열기는 뜨거웠다. 회사와 개별 인터뷰가 진행되는 부스에는 지원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스타트업을 소개하는 순서에선 취준생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해외 명문대 졸업을 미루고 구직 중인 유학생부터 공공기관과 대기업에서 인턴 경험을 쌓은 고(高) 스펙 지원자들이 넘쳐났다.

대학 졸업을 앞둔 김정은 씨는 "대기업 취업문이 워낙 좁으니 학교에서도 창업지원센터를 만드는 등 창업을 권장하는 분위기"라며 "스펙에 목마른 취준생들은 연봉이 적어도 스타트업에서 경험을 쌓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디캠프 '청년희망재단과 함께 하는 D.매치 글로벌'
취업난이 스타트업을 찾는 이유의 전부는 아니었다. 안정적이지만 큰 조직의 일부가 돼야 하는 대기업보다 주도적으로 성장을 이끌 스타트업을 찾는 구직자들도 상당수였다. 스타트업이 대기업의 차선책은 아니라는 얘기다.

대형 게임사에서 인턴을 경험한 이인영 씨는 "아이디어가 있어도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어 부속품이 된 느낌이었다"며 "기획부터 개발, 판매 등을 모두 경험하면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회사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헬스케어 스타트업 '직토'의 이종윤 수석 디자이너는 회사 성장의 주인공을 꿰찼다. 디캠프의 취업 매칭을 통해 직토에 합류한 이후 1년 반 만에 수석 디자이너에 오른 것.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최근 웨어러블 기기 '직토워크'로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iF 디자인은 세계 3대 디자인상중 하나로 꼽힌다.

인재에 목이 마른 스타트업도 이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이놈들연구소'를 이끄는 최현철 대표는 "빠르게 기반을 닦아야 하는 스타트업은 속도가 생명인데 채용에 가장 많은 시간이 든다"며 "디캠프를 통해 구직자들을 직접 찾으러 온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놈들연구소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경험(UX)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서로의 부름에 응답하면서 채용자들의 스펙트럼은 넓어지는 추세다. 전공 성역이 사라진 것이 대표적이다. 공대생이 주를 이루던 것에서 인문·상경 계열까지 채용이 활발해졌다. 해외 진출을 준비하는 스타트업이 늘면서 기획, 마케팅 인력에 대한 니즈가 커졌다는 설명이다.

스타트업 '시어스랩'의 인턴 디자이너 노수정 씨는 "디자인을 전공했지만 마케팅부터 기획까지 다양한 경험을 했다"며 "대기업 인턴으로 한 줄의 스펙을 만드는 것보다 다양한 실무를 경험하면서 능력을 시험해볼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출처:네이버뉴스 검색도중...

 

 

스타트업이라는 벤처기업 창엄같은 걸로 헬조선 현상을 극복하겠단 젊은이들의 열의라면서 보도한 기사를 발견해 이렇게 또 올려드리게 됩니다..스펙보다 도전이 중요하단 식으로 또 선동하는 식의 기사던데..어이가 없고 황당할 따름입니다...아니 창업이란것도 아무나한다고 다 성공을 합니까?? 그것도 각자 재능이 있는 사람이 이루는것이고 그런것이지요..한마디로 헬조선 현상이란것은 없으니 니네가 알아서 잘들 창업해서 성공해봐라..도오오오전을 해라 이런걸 선동한거 아니겠습니까..더 어이가없는건 이런데도 생각없는 젊은층들이란 인간들이 저런것도 좋다고 달려드는것 보십시오..

 

특히 위에 굵은 글씨로 표시했지만 야근도 문제 없습니다..이게 할수있는 말입니까! 아니 정말로 어쩔수없이 일이 너무 많을때 야근을 하는거 그것도 정당한 수당을 주고 이럴수는 있다쳐도 한국에선 제대로 수당도 주지않고 야근을 시키고 이런 경우가 굉장히 많잖아요..중국이나 일본도 그런 경우들이 많다곤 하지만 중국이야 발전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개발도상국이고 일본같은 경우도 인구대비해선 우리보단 적다고도 많이 들었습니다..서구권들은 약점도 많고 그렇겠지만 한국하고 비교가 안될것이라 보고요..오히려 개발도상국들중에 한국보다 노동자에 대한 대우가 좋은 경우도 적지않으니...이런데도 불구하고..참나..

 

정말 문제를 개선하려 생각하고 어떻게하면 좋아질까를 생각하는게 아니라 그저 무조건 나약하니까 도전을 해라..맨날 이제 말씀드리기조차 지겨운 아프리카,이북,개발도상국,이슬람 극단권 이따위 망발이나 늘어놓고..헬조선 현상이 비단 경제적 문제로 인해서 생기는게 아닌데..참담하단 생각만 자꾸 몰려오네요...1등이 있으면 꼴찌도있고 그런게 세상인데..이놈의 나라는...아 진짜 답이없는 헬조선이 자꾸 되어간단 생각이 몰려들고 참담할 따름입니다...이런 말씀드리기도 민망하지만 그래도 다들 화이팅하시고 참담한 소식이지만 씁쓸한 세테여서 말씀드렸네요..수고들 하시고..화이팅하셔요..그래도 다들..휴우!!






  • ㅉㅉ
    16.02.04
    일반 중소기업은 가기싫으니 그럴싸함에 취해 불나방처럼 달려드는구나...
  • 헬쌩쇼
    16.02.04
    솔직히 스타트업 기업 이 성행한다면 최소 청년층 에게는 헬조선이 아닌 걍 숨통트인 조선이 되는거임 하지만 대기업 밥줄 위협하는 스타트 기업 가만놔둘리 없겟죠?? ㅋㅋㅋㅋ 걍 쑈하는거일수도있다고 봅니다 선진국 위상은살려야겠으니 , 대기업 밥줄빼앗기는 일은 절대로 용납안되는 헬조선 인데요 ㅎㅎㅎ
  • 스타트업기업이 요구하는것이 멀티플레이어 열정 먼훗날보상 동반성장 수당없는 야근.
  • 둠가이
    16.02.05
    헬조선 스타트업 열정페이 보면 저게 탈출구란 소리 못함.
    미국등의 선진국 스타트업처럼
    법정임금은 확실히 챙겨주면서 일 시키면 몰라도 헬조선에선 아님.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2058 0 2015.09.21
5199 가족상도례의 실체 new 노인 179 0 2022.12.15
5198 한국 대가족의 실체 new 노인 214 0 2022.12.15
5197 바이든 그 개새끼가 제주도 앞바다 아마게돈(=이어도)으로 전세계의 해군을 모으게 되는데. 5 newfile John 485 1 2022.12.15
5196 이제 한국은 20대때부터 존나게 벌어야 되고, 게임따위 할 시간은 없지. 1 new John 213 1 2022.12.15
5195 경기도도 서울에 비하면 교통이 매우 불편하다 1 new 노인 204 0 2022.12.15
5194 최저시급 받으면 저축 가능하다고 헛소리 하는 유튜버 new 노인 410 0 2022.12.15
5193 채식인들이 아주 싫어해하는 영상 new 노인 170 0 2022.12.15
5192 장애인이 된 헬조센 징병노예 newfile 노인 220 0 2022.12.15
5191 시사적격이 보는 연애 영상 보고 어처구니 없었다 new 노인 145 0 2022.12.15
5190 역시 내 예상대로 주휴수당 폐지하려고 하네 1 new 노인 204 0 2022.12.15
5189 영끌족이 망한 이유 2 new 노인 148 0 2022.12.15
5188 입만 뻥긋하면 거짓말 치는 사회. 한국 부동산의 실상. 5 new John 442 1 2022.12.15
5187 상업용 부동산의 관점에는 강남은 아무 것도 아니라고. 1 newfile John 283 1 2022.12.15
5186 인공지능 판사 도입으로 법률 혁명. TXT 1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40 1 2022.12.15
5185 학교 강제야자 = 노예화 정신개조. 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35 1 2022.12.16
5184 회사가 망해가는 것에 대해 단지 노조탓으로 돌리는 롯데마트 newfile 노인 198 0 2022.12.16
5183 homeless(노숙자)들의 도시 로스 앤젤레스 new 노인 199 0 2022.12.16
5182 유럽 국가들은 공공요금과 물가 폭증으로 인해 살기 힘든건 물론이고 new 노인 200 0 2022.12.16
5181 사실 서울의 월세집값은 도쿄, 취리히, 뉴욕보다 훨씬 저렴하다? 2 new 노인 168 1 2022.12.16
5180 유령도시 세종 new 노인 209 0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