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blazing
15.08.11
조회 수 802
추천 수 2
댓글 3








"잘 사는 집이 애도 많이 낳는다" 통계로 확인 본문

"잘 사는 집이 애도 많이 낳는다" 통계로 확인


-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1.72명, 500만원 이상 2.02명

[이데일리 이숙현 기자] 소득이 높고 재산이 많을 수록 아이를 많이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이 증가할 경우 한 자녀 비율은 감소하고 두 자녀 비율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19일 "소득과 자산에 따른 차별 출산력"을 발표하며 "현재 우리나라의 출산력이 매우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소득과 자산에 따른 가구별 출생아수의 편차가 작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983년 인구대체수준(2.1명) 이하로 하락했으며 2009년에는 1.15명으로 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이다.

2003~2009년 7개년 평균을 보면 출산이 완결되는 시점에 가까운 35~44세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우, 소득이 높은 가구의 평균 출생아수가 많았다. 소득별로 ▲100만원 미만 1.72명 ▲100~200만원 1.89명 ▲200~300만원 1.95명 ▲300~400만원 2.01명 ▲400~500만원 2.00명 ▲500만원 이상 2.02명 등으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으로만 보면 100만원 미만 1.79명, 200~300만원 1.97명, 500만원 이상 2.00명이었다.

하지만 2003년과 2009년의 평균 출생아수의 차이를 보면 소득 금액이 300~400만원(-0.11명)과 400~500만원(-0.09명) 구간에 있는 가구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의 소득 분위별로 보면 1분위 1.77명, 2분위 1.88명, 3분위 1.95명, 4분위 1.99명, 5분위 2.02명 등으로 소득 분위가 높을수록 출생아수가 많았다. 소득 분위간 출생아수 차이는 소득 1분위(1.77명)와 2분위(1.88명)간이 0.11명으로 가장 크고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줄어들었다. 하지만 최근(2008~2009년)에는 3분위에 비해 4분위에서의 평균 출생아수가 더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분위`란 소득에 따라 전체 가구를 20%씩 구분한 것으로 1분위가 소득이 가장 낮은 20% 가구며, 5분위가 가장 높은 20% 가구를 의미한다.

소득 분위별 자녀수 구성비는 2009년 기준 소득 증가에 따라 한자녀 비율은 감소하고, 두자녀 비율은 증가했으나 세 자녀 이상의 다자녀 가구 비율은 소득에 따른 뚜렷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가구의 총자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평균 출생아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5~44세 평균 출생아수는 1분위 1.78, 2분위 1.75, 3분위 1.84, 4분위 1.91, 5분위 2.00 등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 소득이 증가할수록 평균 출생아수가 증가했으나 여성 소득과 출생아수의 관계는 남성 소득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맛에 헬조선 삽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877 0 2015.09.21
858 한국이 먼저 망하냐, 미국이 먼저 망하냐가 아니라 이미 미국이 먼저 말아먹었음. newfile John 364 0 2024.06.07
857 일자리 다양성이 부실한 한국 일자리 new 노인 333 0 2024.06.07
856 국민연금을 아직도 믿냐? newfile John 303 0 2024.06.08
855 부동산이고 나발이고, 결론은 100대 기업 가문 개새끼덜 돈 쳐 벌게 해주겠다는 것이지. new John 291 1 2024.06.08
854 K-방산은 미국 용병국가 헬쥬신의 용병새끼덜 무기체계지 씨발. new John 417 0 2024.06.08
853 100대 가문이 문제가 아니다. 국민이 문제인 것이다. newfile John 352 1 2024.06.08
852 부동산으로 경기를 부양하고 싶으면 문재인마냥 임금을 올려야제. 1 newfile John 331 1 2024.06.09
851 세계 분쟁 특징 newfile 노인 364 0 2024.06.10
850 밀양 사건 당시 판사 근황 new 노인 335 0 2024.06.10
849 카라큘라가 본 밀양 사건 new 노인 326 0 2024.06.10
848 밀양 사건과 닮은꼴 사건인 부산 간강 사건 7 new 노인 300 0 2024.06.10
847 채상병 사건 보니까 new 노인 297 0 2024.06.11
846 누가 예측한 병무청의 미래 newfile 노인 268 0 2024.06.11
845 채상병 사건에 대해 음모론이 생기는 거 아닐까 의심된다 new 노인 303 0 2024.06.11
844 사람을 소모품으로 취급하냐? 3 newfile 노인 311 0 2024.06.11
843 중국경제는 튼튼하다. 미국 개새끼덜이 중국 주식 물량을 싸그리 매집하기 위해서 털어내는 중. 1 new John 344 0 2024.06.12
842 출산율은 낮은것은 맞지만 남녀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것은 개소리. new John 330 0 2024.06.12
841 페트로 달러 체제가 무너졌다고 칸다. 1 newfile John 293 1 2024.06.12
840 왜 대가 끊기면 영원한 사망인가? 2 new John 253 1 2024.06.12
839 헬쥬신에 전쟁이 일어나길 바라는 것은 일본과 미국이지. new John 876 0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