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충박멸
16.01.03
조회 수 270
추천 수 9
댓글 1








출처:뉴시스

?
? ? ?
? 광고
?
?
【서울=뉴시스】황보현 윤다빈 기자= "회사가 구조조정을 계속하니까 일을 하고 있는데도 불안해요."?

김모(26·여)씨는 지난해 대형 조선소에 2년 계약직으로 입사했다.?

2년은 외주업체 소속으로 일하고, 2년은 본사 직원으로 일한 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마저도 쉽지 않게 됐다. 내년이면 외주업체와의 2년 계약이 끝나지만 본사는 조선업계 불황을 이유로 재계약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요즘 양질의 직업을 찾기가 어렵다 보니 일단은 계약연장을 기다리고 있다"며 "계약연장이 안 될 경우에 대비해 다른 직종의 채용공고도 틈틈이 찾고 있다"고 씁쓸해했다.?

◇직장인이 체감하는 고용불안 갈수록 높아져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고용불안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5.6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OECD?국가의 평균 근속연수는 10.5년으로 우리나라보다 약 2배가 높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직장인 1344명을 대상으로 '현재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69.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고용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로는 '회사의 경영실적이 좋지 않아서(43.2%)'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형태가 불안정해서(34.8%)', '회사의 근속연수가 짧아서’(17%)', '회사가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이라서(16%)'라는 답변이 이어졌다.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정년을 보장받지 못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75.2%에 이르렀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14년 10월 근로자 3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직장인이 느끼는 고용불안이 잘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직업선택 시 가장 중요시 하는 항목으로 '직업안정'을 꼽았다.?

2004년 같은 조사 때 '성취'가 1위를 차지한 것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인식이 변한 것이다. 당시 '직업안정'은 3위였다.?

이효남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계약직이 늘고 40~50대 조기퇴직이 증가하는 등 고용환경이 변하면서 안정된 직업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기업과 정부는 고용안정과 정년보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해석했다.?

◇어렵게 취업해도 불안한 청년층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15년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세~29세)의 실업률은 8.1%로 전체 실업률 3.1%보다 2.5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청년들이 느끼는 체감실업률 지표는 더욱 심각하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8월 청년층의 평균 체감실업률은 22.4%로 같은 기간 청년층 공식실업률 9.7%의 2.3배에 달했다.

체감 실업률은 공식 실업률 통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실업상태인 ▲취업자 중에서 실제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가능한 사람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가능한 사람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개념이다.?

이처럼 취업의 문턱이 높은 상황에서 어렵게 일자리를 얻은 청년들도 고용불안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통계청의 '2015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청년층 임금근로자가 첫 직장에서 일하는 기간은 평균적으로 1년 6개월에 불과했다.?

또 청년층 임금근로자 3명 중 2명꼴인 63.3%가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1년 2개월에 머물렀다.?

20대 이하 직장인 10명 중 8명이 입사 후 3년 이내에 회사를 떠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올해 10월 새정치민주연합 홍종학 의원실이 한국고용정보원의 자료를 토대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과 고용보험 자격을 잃은 사람의 비율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3년 미만으로 일한 20대 이하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고용보험을 상실한 경우는 전체의 83.5%에 달했다.

이는 사실상 은퇴 시기인 60대 이상 직장인의 고용보험 상실률 84.7%와 비슷한 수치인 것이다.?

홍종학 의원실 관계자는 "아르바이트생 대부분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하면 고용보험 가입자의 상당수는 규모 있는 기업에 종사하고 있을 것"이라며 "20대 이하의 경우 임시직, 계약직 비율이 높아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1720 0 2015.09.21
4538 사실상 세상에서 사람들이 잘 사는 나라 new 노인 191 0 2023.02.25
4537 서울의 부라는 것은 모조리 지방을 자본유출로 약탈해서는 키운 서비스업일 분이다. new John 191 0 2023.02.26
4536 대구 버러지새끼덜은 왜 윤석열을 찍은거냐. 이유를 말해보라고 이 개조까튼 새끼덜아. 5 new John 175 0 2023.02.26
4535 이재명 음해의 주체=현대 그룹 개자슥들. new John 140 0 2023.02.26
4534 현대그룹 버러지들 회사의 절반은 자동차 만든다는 범털, 절반은 금융업, 건설업 조폭신디케이트. 뭐하는 놈... 1 newfile John 204 0 2023.02.26
4533 40대의 결론. 주택담보대출은 노오답이다. new John 258 0 2023.02.26
4532 재벌 마피아 버러지새끼덜에게 금융서비스까지 맘대로 개방. 윤석열 이 조폭개돼지 새끼. 1 new John 216 1 2023.02.26
4531 imf는 슈킹이다. 미국 개자슥들 아니면 재벌 매국노새끼덜의 계획된 슈킹이다. new John 387 0 2023.02.26
4530 80퍼센트 국민성이 수구성향이 강해서 new 킹석열 170 0 2023.02.26
4529 정치적으로 수구성향에서 떨쳐내려면 new 킹석열 217 0 2023.02.26
4528 500년이상을 서울중심기득권이 집권해왔는데 new 킹석열 494 0 2023.02.26
4527 헬조선에서 만큼은 매국.애국기준이 없는것같더라 new 킹석열 155 0 2023.02.26
4526 남녀편가르기 하는것만큼 무모한짓도 없음 new 킹석열 162 0 2023.02.26
4525 자기의 계급을 갖고 투쟁해야 맞는거지 6 new 킹석열 154 0 2023.02.26
4524 윤석열정권은 부르주아 정권맞고 new 킹석열 155 0 2023.02.26
4523 imf도 fta도 tpp도 세계경제기득권들의 패권확장에 쓰인거뿐이지 new 킹석열 147 0 2023.02.26
4522 강남3구 정권은 결국 신자유주의가 답인걸 알지 new 킹석열 165 0 2023.02.26
4521 애초에 중앙집권체제를 고집하였기에 new 킹석열 531 0 2023.02.26
4520 결국 이재명의 정치력 한계도 온거지 5 new 킹석열 152 0 2023.02.26
4519 결국 젊은층까지 수구화되면서 2 new 킹석열 204 0 202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