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국뽕충박멸
16.01.03
조회 수 295
추천 수 9
댓글 1








출처:뉴시스

?
? ? ?
? 광고
?
?
【서울=뉴시스】황보현 윤다빈 기자= "회사가 구조조정을 계속하니까 일을 하고 있는데도 불안해요."?

김모(26·여)씨는 지난해 대형 조선소에 2년 계약직으로 입사했다.?

2년은 외주업체 소속으로 일하고, 2년은 본사 직원으로 일한 뒤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이마저도 쉽지 않게 됐다. 내년이면 외주업체와의 2년 계약이 끝나지만 본사는 조선업계 불황을 이유로 재계약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김씨는 "요즘 양질의 직업을 찾기가 어렵다 보니 일단은 계약연장을 기다리고 있다"며 "계약연장이 안 될 경우에 대비해 다른 직종의 채용공고도 틈틈이 찾고 있다"고 씁쓸해했다.?

◇직장인이 체감하는 고용불안 갈수록 높아져

직장을 다니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고용불안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근속연수는 5.6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OECD?국가의 평균 근속연수는 10.5년으로 우리나라보다 약 2배가 높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지난 8일부터 15일까지 직장인 1344명을 대상으로 '현재 고용상태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69.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고용 불안감을 느끼는 이유로는 '회사의 경영실적이 좋지 않아서(43.2%)'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형태가 불안정해서(34.8%)', '회사의 근속연수가 짧아서’(17%)', '회사가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이라서(16%)'라는 답변이 이어졌다.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정년을 보장받지 못할 것 같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75.2%에 이르렀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14년 10월 근로자 3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직장인이 느끼는 고용불안이 잘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들은 직업선택 시 가장 중요시 하는 항목으로 '직업안정'을 꼽았다.?

2004년 같은 조사 때 '성취'가 1위를 차지한 것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인식이 변한 것이다. 당시 '직업안정'은 3위였다.?

이효남 고용정보원 전임연구원은 "계약직이 늘고 40~50대 조기퇴직이 증가하는 등 고용환경이 변하면서 안정된 직업을 가지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기업과 정부는 고용안정과 정년보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해석했다.?

◇어렵게 취업해도 불안한 청년층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15년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세~29세)의 실업률은 8.1%로 전체 실업률 3.1%보다 2.5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청년들이 느끼는 체감실업률 지표는 더욱 심각하다.?

한국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1~8월 청년층의 평균 체감실업률은 22.4%로 같은 기간 청년층 공식실업률 9.7%의 2.3배에 달했다.

체감 실업률은 공식 실업률 통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사실상 실업상태인 ▲취업자 중에서 실제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가능한 사람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가능한 사람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했으나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개념이다.?

이처럼 취업의 문턱이 높은 상황에서 어렵게 일자리를 얻은 청년들도 고용불안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통계청의 '2015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청년층 임금근로자가 첫 직장에서 일하는 기간은 평균적으로 1년 6개월에 불과했다.?

또 청년층 임금근로자 3명 중 2명꼴인 63.3%가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들의 평균 근속기간은 1년 2개월에 머물렀다.?

20대 이하 직장인 10명 중 8명이 입사 후 3년 이내에 회사를 떠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올해 10월 새정치민주연합 홍종학 의원실이 한국고용정보원의 자료를 토대로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람과 고용보험 자격을 잃은 사람의 비율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3년 미만으로 일한 20대 이하의 고용보험 가입자가 고용보험을 상실한 경우는 전체의 83.5%에 달했다.

이는 사실상 은퇴 시기인 60대 이상 직장인의 고용보험 상실률 84.7%와 비슷한 수치인 것이다.?

홍종학 의원실 관계자는 "아르바이트생 대부분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하면 고용보험 가입자의 상당수는 규모 있는 기업에 종사하고 있을 것"이라며 "20대 이하의 경우 임시직, 계약직 비율이 높아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80261 0 2015.09.21
4529 윤석열은 강남3구를 대변하는거니까 1 new 킹석열 455 0 2023.03.01
4528 학폭문제를 해결못하는이유 new 킹석열 199 0 2023.03.01
4527 아베가 죽으면서 일본정치권도 좌파쪽으로 가면 다행인데 new 킹석열 198 0 2023.03.01
4526 일본정치력 공백 심각하지 new 킹석열 195 0 2023.03.01
4525 식비 아끼겠다고 회사 구내 식당 가는 한국인들보면 new 노인 170 0 2023.03.01
4524 누구는 호텔에서 명품받으면서 대기업 댕기는 놈에게 프로포즈 당하고, 누구는 노래방 도우미 뛰다가 웨이터... 3 new John 249 0 2023.03.01
4523 한국 사회 똥꼬충의 80프로는 서울 거주, 20프로는 대구 거주지 뭐. new John 231 0 2023.03.01
4522 지배층, 권력자들 마인드에 대해.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71 1 2023.03.02
4521 한국 학교폭력 문제 특징.txt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00 1 2023.03.02
4520 지금이라도 금리 올리고 물가 잡으면 되지만 의지가 없는 석열이 돼지새끼. newfile John 213 0 2023.03.02
4519 전주 사람이 전주 한옥 마을에 가지 않는 진짜 이유 중 하나 newfile 노인 207 0 2023.03.02
4518 삼성, 현대가 부실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대장동은 더 큰 차원에서의 싸움이다. 그 것도 모르는 헬쥬신 ... newfile John 173 0 2023.03.02
4517 대장동 사건의 본질. 허접한 한국의 엉터리 양아자본주의. 1 newfile John 175 0 2023.03.03
4516 한국의 물가가 내리지 않는 이유. 제조업 대기업 새끼덜의 나라라서. 1 new John 222 0 2023.03.03
4515 칼라일이 현대편인 증거. newfile John 199 0 2023.03.03
4514 미국의 개사기질. 금괴 씨발 다 팔아먹고는 있다고 개구라침. new John 193 0 2023.03.03
4513 임금적게 받는 헬조센 군인들 1 new 노인 167 0 2023.03.03
4512 미국의 금은 죄다 중공과 인도에 있다고도 칸다. 1 new John 144 0 2023.03.03
4511 항상 반달리즘이 일어나는 인어공주상 1 new 노인 629 0 2023.03.03
4510 러시아가 전쟁을 해야 미국의 채권국으로써의 최소한의 가오가 유지가 되는 것. newfile John 606 0 202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