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지고쿠데스
15.12.29
조회 수 287
추천 수 4
댓글 1








IMF, "한국 5년내 일본 추월"… 고맙긴한데 기술ㆍ내수차 커 “글쎄”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 한국 경제가 과연 일본을 추월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는 한국이 맹렬한 속도로 일본을 추격해 국제통화기금(IMF)이 앞으로 5년 후에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일본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까지 내놓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1980년대말~1990년대초 버블(거품)붕괴로 ‘잃어버린 20년’을 보낸 일본은 지난 수년 동안의 양적완화와 강력한 기술경쟁력으로 경제가 살아날 조짐을 보이는 반면 한국은 수출 등 성장동력을 상실하면서 본격적인 저성장 국면에 진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51105000314_0_99_20151105105004.jpg?t
더구나 일본은 1억2700만명의 인구에 GDP가 4조1162억달러로 막대한 내수시장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하고 저출산ㆍ고령화로 20년 전 일본이 겪었던 것과 같은 장기불황에 빠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이 강력한 구조개혁으로 경제체질을 바꾸고, 신성장동력을 발굴하지 못할 경우 일본 추월은 힘겨울 것으로 보인다.

5일 IMF 세계경제전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명목GDP는 지난해 2만7970달러에서 2020년 3만6750달러로 31.4% 증가하는 반면, 일본은 같은 기간 3만6222달러에서 3만8174달러로 6.0% 늘어나는데 그쳐 양국이 비슷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과거와 비교하면 격세지감이다. 1990년에만 해도 양국의 1인당 GDP는 일본이 2만5140달러, 한국이 5513달러로 5배에 달했다. 이후 일본이 불황에 빠지면서 급격히 축소돼 10년 전인 2005년에는 한국 1만8658달러, 일본 3만5785달러로 차이가 2배로 좁혀졌다.

두 나라의 경제규모 차이는 더욱 빠른 속도로 좁혀졌다. 1990년에만 해도 한국의 GDP가 2792억달러, 일본이 3조1037억달러로 11.1배의 차이가 났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한국이 1조4104억달러, 일본 4조6024억달러로 그 차이가 3.3배로 좁혀졌다.

IMF는 2020년에는 한국과 일본의 GDP가 각각 1조8988억달러와 4조7469억달러로 차이가 2.4배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이 20여년의 장기침체를 겪는 사이에 한국이 맹추격해 턱밑까지 온 것처럼 보이지만, 일본 경제는 무시할 수 없는 저력을 갖고 있다. 특히 바이오와 의료 정밀기기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막강한 경쟁력을 갖고 있고, 기초 과학기술의 저변도 튼튼하다.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일본은 6위, 한국은 26위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특히 혁신ㆍ고도화 부문에서는 일본이 5.8점(7점 만점)을 얻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이 부문에서 한국은 22위(4.8점)로 일본에 한참 떨어져 있다.

노벨상 수상 성적에서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일본 출신 노벨상 수상자는 24명으로 이 가운데 21명이 물라학과 생리의학 등 과학분야에서 나와 과학강국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한국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평화상을 수상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

일본 경제는 아직도 미약한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빠른 회복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과학기술력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엔화약세 정책이 결합해 가격경쟁력이 강화되면서 경제부문에서 ‘침몰’보다는 ‘재생’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타결하면서 글로벌 무역시장의 핵심플레이어로 등장했다. 특히 TPP 타결로 미국시장에서 한국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자동차 부문에서 일본 제품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반면에 한국은 고도성장의 후유증과 한계가 본격적으로 드러나면서 장기저성장 국면에 진입이 점차 현실화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성장엔진이었던 수출은 올들어 10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성장동력의 기능을 상실했다. 문제는 이러한 수출부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가격과 기술을 앞세운 중국의 추격과 한국 제품의 경쟁력 저하, 글로벌 교역환경의 변화 등이 결합하면서 나타나는 구조적인 현상이라는 점이다.

획기적인 돌파구를 마련하지 않는 한 수출이 예전의 명성을 되찾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성장잠재력이 급속도로 떨어지는 가운데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2030년부터는 전체 인구가 감소하면서 남아 있는 잠재력마저 고갈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일본은 20년전인 199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성장이 정체 또는 마이너스 상태에 빠져들었다. 고령화와 노후불안이 겹치면서 내수마저 침체할 경우 한국의 경제회복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IMF의 중기 경제전망은 지금까지의 성장경로를 반영한 측면이 강하다. 하지만 한일 양국의 경제현실과 그 토대를 보면 한국이 일본을 따라잡기가 결코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성장의 지속가능성과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셈이다.

[email protected]
?





  • 오렌지
    15.12.29
    요즘 매스미디어 보면 북한같은 느낌. 진실을 회피하려 하고 대중들이 불안해 할까봐 국뽕 사상을 애써 집어넣는 것 같음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1513 0 2015.09.21
4394 윤석열 찍은 20대 병신남들 2년 사이에 철 좀 들었을래나. 4 new John 210 1 2023.03.09
4393 80시간 되면 뭐 대구 병신들 일복 터지는거지 ㅋㅋㅋㅋㅋㅋ 2 new John 175 1 2023.03.09
4392 주 4일제의 장점 newfile 노인 162 0 2023.03.09
4391 아직도 1번2번이 뭐든지 해결해줄것처럼 생각하네 3 new 킹석열 154 1 2023.03.09
4390 비정규직 만든것도 좌파 6 new 킹석열 162 0 2023.03.09
4389 동학농민운동전개가 어떻게되든 청나라.일본군 개입은 필연적이었지 4 new 킹석열 174 0 2023.03.09
4388 결국 여기도 수구들 천지네 1 new 킹석열 178 1 2023.03.10
4387 전쟁은 화력이 중요한게 아니야 선방이지 new 킹석열 147 1 2023.03.10
4386 호남을 지킨다는건 그당시 가치가 큰거였지 2 new 킹석열 205 0 2023.03.10
4385 노무현이 만든 것은 비정규직 보호법이지 비정규직이 아니라고. 킹석열 병신새끼에 대한 우문현답이다. 이 ... 7 newfile John 154 0 2023.03.10
4384 아무튼 헬조선애들은 여전히 과거나 지금이나 3 new 킹석열 175 1 2023.03.10
4383 킹석열 버러지새끼는 이제부터 알밥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파문이다. 3 new John 180 1 2023.03.10
4382 이재명도 성남에서 존버했어야하는데 그러지 못했지 new 킹석열 141 0 2023.03.10
4381 1찍2찍 그게 뭐가 중요하노 2 new 킹석열 179 1 2023.03.10
4380 많은 사회적현안들도 1찍2찍 수구정치제일주의때문에 묻히는거야 3 new 킹석열 153 1 2023.03.10
4379 같은 말을 또하게 하는 것이 저지능의 상징이지. 노무현이 비정규직을 만든게 아니라 노무현대부터 저소득층... 4 newfile John 200 0 2023.03.10
4378 조중동, 한경, 매경, 국짐당 개자슥들의 신자유주의를 존나게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new John 153 1 2023.03.10
4377 요즘 한국 청소년과 직장인의 생활에 관해서 1 new 노인 156 1 2023.03.10
4376 한국에서 KBS 방송 수신료에 관해 청원 내는 것을 보면 3 newfile 노인 161 0 2023.03.10
4375 서울 사람들이 교통비 비싸다고 짜증내지 말아야 하는 이유 new 노인 148 0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