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aircraftcarrier
15.12.19
조회 수 249
추천 수 2
댓글 1








영국의 산업혁명도 과학이론보다 오히려 노동자들이 지닌 기술력이 기술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하던데..(예전의 어떤 책에서 봅니다.)

?

삼성의 성공도 노동자들이 큰 역할을 했군요...

?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172058525&code=990308

?

?

2015년을 보내며 마음이 스산하다. 이 땅에서 한해가 정말 힘들었던 이들을 손꼽아 세기 어렵다. 남북의 이산가족,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 일자리 없는 청년, 메르스 피해자, 표현의 자유를 빼앗긴 예술가와 시민, 세월호 실종자와 희생자 가족, 생존한 학생과 승객, 심신의 상처가 깊은 민간잠수사들…. 이들 중에 삼성전자 서초 사옥 앞에서 10월부터 농성 중인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 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노동자의 희생을 상징하는 중대사이며, 한국 경제를 대표하는 기업의 미래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2010년에 출간된 삼성전자 40년사에 한 이사가 중국 공장을 방문한 일화가 나온다. 그는 이 공장의 높은 불량률을 고민하며 추석 연휴에 텅 빈 공장을 돌아보다가 더러운 화장실에 놀라 혼자 소매를 걷어붙이고 청소에 나선다. 나중에 노동자들이 이 소식에 감화되어 불량률이 80% 이상 줄었다고 한다. 세계적 기업의 공식 역사에 담긴 미담치고는 인용하기가 민망하다.

l_2015121801002464100216171.jpg

삼성전자의 눈부신 성공담을 다룬 책들이 노동자의 기여를 인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병철-이건희 부자의 탁월한 비전과 결단, 그들을 뒷받침한 임원과 기술진의 헌신적 노력을 자랑하는 무용담만 화려하다. 우수하고 성실한 고교 졸업생들이 입사하여 자부심과 희생정신으로 땀 흘려 이룩한 공헌은 자취도 찾기 힘들다.

삼성전자의 역사에 밝은 분에게 들었다. 삼성전자의 성공은 결코 우연이나 행운이 아니었다. 삼사십년 전 미국과 일본이 선도하던 반도체 분야는 우리가 따라갈 엄두도 내기 어려웠는데, 미래를 내다본 삼성 수뇌부는 이 유망한 산업을 포기할 수 없어 절치부심하며 뛰어들 방안을 찾았다. 미국을 능가하던 일본 반도체 산업의 핵심 인력이 노쇠 기미를 보이는 데 비해 우리는 훨씬 젊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정확히 판단했지만,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은 노동자의 질이었다. 기술력을 포함한 모든 여건이 뒤졌음에도 우리 노동자가 미국이나 일본 노동자보다 뛰어나고 적극적이어서 현장에서 불량 등의 문제가 생기면 수동적 대처가 아닌 창의적 해결책을 내놓곤 했다. 따라서 저임금과 높은 생산성이 가져다준 원가 경쟁력으로 투자 초기에 다년간 겪었던 엄청난 적자를 상쇄했다는 것이다.

이 평가의 타당성을 문외한인 내가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심도 있는 취재를 통해 출간된 김성희의 <먼지없는 방>, 김수박의 <사람 냄새>를 읽어보라. 회사가 이윤 추구에만 바빠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외면했지만, 그들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화학물질을 다루는 현장에서 얼마나 헌신적으로 일했는지 알 수 있다. 그 결과 악성 직업병에 걸렸다고 의심되는 이는 반올림이 받은 제보에 따를 때 삼성 계열사만 300명(사망 100여명 포함)에 가깝다.

2007년부터 터져 나온 문제를 덮으려고만 들던 삼성은 작년 12월에 제3의 기구인 ‘조정위원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반년 만인 지난 7월 조정위원회의 권고안이 나오자 삼성은 1000억원의 기금을 약속하며 권고안을 따르는 듯했지만, 곧 ‘보상위원회’를 통한 해결 쪽으로 태도를 바꿨다. 문제의 당사자인 삼성이 주도하여 피해자를 심사하고 보상액을 결정하는 보상위원회 방식은 반올림이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었다.

반올림은 ‘배제 없는 보상, 내용 있는 사과, 실효 있는 예방대책’의 원칙 위에 활동해왔지만, 배제 없는 보상의 절실한 필요 때문에 거듭 양보해왔다. 반면에 삼성은 신속한 피해자 구제라는 명분을 내세워 공익법인 설립을 통한 사회적 해결이 아닌 불투명한 길을 고집하고 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보상신청을 올해 말로 마감할 예정이며 총 보상인원은 90여명으로 예상된다. 이는 SK하이닉스가 동일한 문제를 독립적인 산업보건검증위원회에 맡기고 지난 11월의 위원회 보고서 발표를 수용함으로써 반올림의 환영을 받은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의 주인공인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를 비롯한 수많은 반올림 식구는 또 해를 넘겨 거리에서 싸우게 되었다. 공장에서 몸 바쳐 일한 노동자가 없었다면 삼성은 세계 굴지의 기업이 되기 어려웠다. 이 엄연한 사실을 끝내 외면하면서 내일도 최고의 기업으로 번영할 수 있을까?

?

사실상 그룹을 승계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자신의 시대를 열고 싶다면 어서 결단해야 한다.

?

?






  • 임병화
    15.12.19
    마치 박정희가 대한민국의 신적인 존재인것 마냥

    무용담 전하기식...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신격화와 다른거 없네. 조금 세련된 정도??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21 0 2015.09.21
4203 국뽕충들 진정한 애국은 이런것입니다!~!~ 1 new 후진국헬조선 188 4 2015.12.22
4202 고용불안성을 해소하려면 1 new oldberry1800 92 0 2015.12.22
4201 헬좆센 국민연금 60시간 미만 단기근로자도 가입가능 여부 검토중..... new 탈좃센 282 0 2015.12.22
4200 일본국민들의 선진국의 흔한 마인드~ 2 new 후진국헬조선 282 4 2015.12.22
4199 오늘자 박근혜 어법 (답답 주의) 7 new Genday 365 7 2015.12.22
4198 제가 받는 급여는 150입니다 9 new 기행의나라=헬조선 579 6 2015.12.22
4197 12·21개각서도 자리 지킨 尹외교 `오병세` 현실화되나?... 3 new 진정한애국이란 178 3 2015.12.22
4196 韓 고용안정성·노동시간·소득분배 OECD '바닥.... 2 new 진정한애국이란 156 6 2015.12.22
4195 이런 나라를 헬조선이라고 하는건 조선한테 너무 미안한 처사 아님? 9 new ㅃㅃ 246 4 2015.12.22
4194 국민들한테 애국심따위 요구하지마라 5 new rockmuse 254 6 2015.12.22
4193 다른 나라에서 적극적으로 센징티 좀 내면 어떰? 오히려 더 적극적으로 센징티 팍팍 내야됨 new levatein 107 0 2015.12.22
4192 그런데 이제 흙수저 이하는 탈조선 루트 전부 다 싹 막힌거 아님? 2 new levatein 303 3 2015.12.22
4191 헬조선 곧츄회손 시키는 문화 2 new 폴리스 285 4 2015.12.22
4190 헬조선 데스노트 7 newfile rob 415 7 2015.12.22
4189 탈조선하려면 어떻게 하죠 2 new 후진국헬조선 188 2 2015.12.22
4188 조센징 특징..............realfact 3 newfile 탈좃센 680 6 2015.12.22
4187 신문지 팔아서 애들한테 돈까스 해주신 분 있잖아요 10 new 익숙한절망 392 8 2015.12.22
4186 정말의문점이 있습니다 정말 어이가 없습니다 3 new 후진국헬조선 181 7 2015.12.22
4185 정말 흔한 헬조선 초등학생의 하루일과표 극혐주의 9 newfile 후진국헬조선 519 7 2015.12.22
4184 중국 마카오 현지에서도 어디가든 헬조선티를 냄 2 new 후진국헬조선 257 6 2015.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