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aircraftcarrier
15.12.19
조회 수 454
추천 수 2
댓글 1








영국의 산업혁명도 과학이론보다 오히려 노동자들이 지닌 기술력이 기술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고 하던데..(예전의 어떤 책에서 봅니다.)

?

삼성의 성공도 노동자들이 큰 역할을 했군요...

?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172058525&code=990308

?

?

2015년을 보내며 마음이 스산하다. 이 땅에서 한해가 정말 힘들었던 이들을 손꼽아 세기 어렵다. 남북의 이산가족, 일본군위안부 피해 할머니, 일자리 없는 청년, 메르스 피해자, 표현의 자유를 빼앗긴 예술가와 시민, 세월호 실종자와 희생자 가족, 생존한 학생과 승객, 심신의 상처가 깊은 민간잠수사들…. 이들 중에 삼성전자 서초 사옥 앞에서 10월부터 농성 중인 반올림(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 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노동자의 희생을 상징하는 중대사이며, 한국 경제를 대표하는 기업의 미래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2010년에 출간된 삼성전자 40년사에 한 이사가 중국 공장을 방문한 일화가 나온다. 그는 이 공장의 높은 불량률을 고민하며 추석 연휴에 텅 빈 공장을 돌아보다가 더러운 화장실에 놀라 혼자 소매를 걷어붙이고 청소에 나선다. 나중에 노동자들이 이 소식에 감화되어 불량률이 80% 이상 줄었다고 한다. 세계적 기업의 공식 역사에 담긴 미담치고는 인용하기가 민망하다.

l_2015121801002464100216171.jpg

삼성전자의 눈부신 성공담을 다룬 책들이 노동자의 기여를 인정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병철-이건희 부자의 탁월한 비전과 결단, 그들을 뒷받침한 임원과 기술진의 헌신적 노력을 자랑하는 무용담만 화려하다. 우수하고 성실한 고교 졸업생들이 입사하여 자부심과 희생정신으로 땀 흘려 이룩한 공헌은 자취도 찾기 힘들다.

삼성전자의 역사에 밝은 분에게 들었다. 삼성전자의 성공은 결코 우연이나 행운이 아니었다. 삼사십년 전 미국과 일본이 선도하던 반도체 분야는 우리가 따라갈 엄두도 내기 어려웠는데, 미래를 내다본 삼성 수뇌부는 이 유망한 산업을 포기할 수 없어 절치부심하며 뛰어들 방안을 찾았다. 미국을 능가하던 일본 반도체 산업의 핵심 인력이 노쇠 기미를 보이는 데 비해 우리는 훨씬 젊어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정확히 판단했지만, 못지않게 중요한 요인은 노동자의 질이었다. 기술력을 포함한 모든 여건이 뒤졌음에도 우리 노동자가 미국이나 일본 노동자보다 뛰어나고 적극적이어서 현장에서 불량 등의 문제가 생기면 수동적 대처가 아닌 창의적 해결책을 내놓곤 했다. 따라서 저임금과 높은 생산성이 가져다준 원가 경쟁력으로 투자 초기에 다년간 겪었던 엄청난 적자를 상쇄했다는 것이다.

이 평가의 타당성을 문외한인 내가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심도 있는 취재를 통해 출간된 김성희의 <먼지없는 방>, 김수박의 <사람 냄새>를 읽어보라. 회사가 이윤 추구에만 바빠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외면했지만, 그들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화학물질을 다루는 현장에서 얼마나 헌신적으로 일했는지 알 수 있다. 그 결과 악성 직업병에 걸렸다고 의심되는 이는 반올림이 받은 제보에 따를 때 삼성 계열사만 300명(사망 100여명 포함)에 가깝다.

2007년부터 터져 나온 문제를 덮으려고만 들던 삼성은 작년 12월에 제3의 기구인 ‘조정위원회’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반년 만인 지난 7월 조정위원회의 권고안이 나오자 삼성은 1000억원의 기금을 약속하며 권고안을 따르는 듯했지만, 곧 ‘보상위원회’를 통한 해결 쪽으로 태도를 바꿨다. 문제의 당사자인 삼성이 주도하여 피해자를 심사하고 보상액을 결정하는 보상위원회 방식은 반올림이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었다.

반올림은 ‘배제 없는 보상, 내용 있는 사과, 실효 있는 예방대책’의 원칙 위에 활동해왔지만, 배제 없는 보상의 절실한 필요 때문에 거듭 양보해왔다. 반면에 삼성은 신속한 피해자 구제라는 명분을 내세워 공익법인 설립을 통한 사회적 해결이 아닌 불투명한 길을 고집하고 있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보상신청을 올해 말로 마감할 예정이며 총 보상인원은 90여명으로 예상된다. 이는 SK하이닉스가 동일한 문제를 독립적인 산업보건검증위원회에 맡기고 지난 11월의 위원회 보고서 발표를 수용함으로써 반올림의 환영을 받은 것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의 주인공인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를 비롯한 수많은 반올림 식구는 또 해를 넘겨 거리에서 싸우게 되었다. 공장에서 몸 바쳐 일한 노동자가 없었다면 삼성은 세계 굴지의 기업이 되기 어려웠다. 이 엄연한 사실을 끝내 외면하면서 내일도 최고의 기업으로 번영할 수 있을까?

?

사실상 그룹을 승계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자신의 시대를 열고 싶다면 어서 결단해야 한다.

?

?






  • 임병화
    15.12.19
    마치 박정희가 대한민국의 신적인 존재인것 마냥

    무용담 전하기식...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신격화와 다른거 없네. 조금 세련된 정도??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750 0 2015.09.21
4128 제3지대를 열려면 닥치고 PK이지. new John 219 0 2023.05.06
4127 공공서비스 차원에서는 팔당댐 물을 평택으로 돌리면 한강 수질개선 사업은 조금 해줘야 함. new John 257 0 2023.05.06
4126 가마우지 버러지새끼 대굴빡 깨지는거 보니 속이 시원하네. newfile John 459 0 2023.05.06
4125 해외에서는 직장 내 음주 문화에 대해 비판이 많다 new 노인 194 0 2023.05.06
4124 수단 버러지들 때문에 미국은 또 골칫덩어리만 생겼음. new John 209 0 2023.05.06
4123 모든 장사의 기본은 싸게 맹글어서 비싸게 팔아서 오지게 남겨먹는다가 기본이지. new John 759 0 2023.05.06
4122 에어소프트건으로 가마우지 한 마리 못 잡게 만드는 남성성 거세하는 조까튼 나라. new John 205 0 2023.05.07
4121 중국은 현재 양쯔강의 석유화학단지를 싸그리 철거했다고 한다. new John 322 0 2023.05.07
4120 한국의 저질 선전물 1 new 노인 190 0 2023.05.07
4119 한국인들 왜 서울이 비싸다고 착각할까? 1 new 노인 236 0 2023.05.07
4118 한국 정부는 공무원 겸업을 허용해라 2 new 노인 245 0 2023.05.07
4117 부모의 재력이 높을 수록 날씬하다는 증거 1 new 노인 217 0 2023.05.07
4116 한국의 갱제학자들 왈가왈부지만 아직 진정한 개구라 터부가 남아있지. 본질을 못 보는 그들. new John 407 1 2023.05.08
4115 머리 매일 감는 한국인과 일주일에 한번씩 머리 감는 서양인 new 노인 189 0 2023.05.08
4114 바이든 씹버러지새끼가 한국에 태클을 거는 이유. 이제 미국은 부자감세는 어렵기 때문. new John 198 1 2023.05.09
4113 짱개 버러지새끼덜도 요지랄하는 꼬라지 보니까 씹노답. 저출산으로 결국 쳐 망할 것 1 new John 287 0 2023.05.09
4112 짱개국이나 한국이나 돈이 없어서 안 낳는 것은 아니지. new John 237 0 2023.05.09
4111 현재 아이티 상황을 알 수 있는 글 new 노인 204 0 2023.05.09
4110 노키즈존 vs 노시니어존 new 노인 487 0 2023.05.09
4109 중국 문화대혁명의 문제점 new 노인 172 0 202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