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edison.jpg

?

진짜로 무에서 유를 창조한 창업주 에디슨(GE 설립)

?

서민들의 피와 땀이라는 준비물로 사업한 국내 재벌이 어떻게해서 무냐

?

값싼 노동력 착취 +?외국 기술제휴라는 유가 이미 다 마련되있었고?빡세게 굴리기만 하면 됐었지

?

재벌 창업주가 한게 뭐냐 여기저기 다니면서 관리감독하고 손짓 몇번 한게 전부지

?

성공했다 싶으면 좋게 포장하고 좋은것만 기억하고 싶겠지






  • АД
    15.11.28
    테슬라가 참 고생 많이했지 ㅋㅋㅋ
  • -
    15.11.28

    어떤 사이트에서 봤는데. 82cook라고 그래도 수준 낮은 사람들은 드문 아줌마 사이트..;
    '한국에서 천재란 어떤 사람일까요..?'라는 글에 달린 리플들...
    하나같이 공부 잘하고 취업 잘한 공신들만 나옴..ㅋㅋㅋㅋㅋ 아니면 피아노 잘치는 사람 혹은 운동선수 ㅋㅋㅋ
    진짜 노답이죠.
    천재란 저렇게 무에서 유를 창조했거나, 어느 분야에 한 획을 그어 그것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꾼 사람들인데 말이죠.
    한국에서는 그저 암기딸딸과 기존에 누가 만들어 놓은 것을?남보다 잘할 경우 천재라고 한다니.

    예를 들어 피아노는 협주곡을 만든 베토벤이나?모짜르트 등을 천재로 떠올려야 하는데, 한국아짐들은 그저 협주곡을 잘 연주한 사람을 천재로 여기고 세상을 다 가진 기쁨을?느낍니다. 창시자 따위한테 감사함을 느끼지도 않고요. 이런 사고방식으로 앞으로도 교육환경이 정상이 될리가 없죠. 기업도 마찬가지.
    의외로 뭐 한국기업가는 안나왔습니다.... 그것도 웃기죠. 공부 잘해 수석으로 취업 잘한 사람을 천재라 하면서 그들이 일하게 될 곳은 후졌다는 걸 아는 게.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086 0 2015.09.21
3517 서유럽 개자슥들이 개지랄하는 온갖 버러지같은 것들의 실체. newfile John 324 0 2023.07.20
3516 한국녀는 전세계에 널린 보지지만 한국남은 꽤나 위대한 축이지. new John 509 1 2023.07.20
3515 국민보유 부동산시가총액,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new John 278 0 2023.07.20
3514 서이초에 뭐 남자교사가 없으니 보지새끼덜끼리 쳐 묻어도 아무도 모르지 뭐. 3 new John 226 2 2023.07.21
3513 한국 정부라는 버러지를 나누려면 한국은행부터 둘로 나누어야 한다. new John 289 0 2023.07.21
3512 진짜 기름값이 비싼 나라는? new 노인 498 0 2023.07.22
3511 조선일보의 개소리 new 노인 419 0 2023.07.22
3510 일본의 수도요금은 new 노인 793 0 2023.07.22
3509 우리 한국 사람들은 부지런하다는 게 장점이지만 칭찬에 인색하다는 게 가장 큰 단점인 듯 2 new 감성팔이. 241 0 2023.07.22
3508 전광훈 버러지새끼가 이 만화를 상대로 소송을 했다고 칸다. newfile John 244 0 2023.07.22
3507 41개월째 인구감소라고 칸다. 멸망 가즈아. new John 219 1 2023.07.22
3506 니트족과 캥거루족이 생겨나니 new 노인 181 0 2023.07.22
3505 서울의 택시요금과 집 값 보면 new 노인 231 0 2023.07.22
3504 청년들이 서울 일자리를 선호하는 이유 new 노인 252 0 2023.07.22
3503 헬조선은 망해야 산다. newfile John 258 0 2023.07.22
3502 헬조선에서 결혼하려면 1 new 노인 264 0 2023.07.22
3501 아베가 생전에 추진했던 정책중에서 new 킹석열 501 0 2023.07.22
3500 헬조선의 경제발전은 제한적일수밖에 new 킹석열 241 0 2023.07.22
3499 전쟁 일어날가능성 높다더라 new 킹석열 236 0 2023.07.22
3498 인구부족할수록 외국인이민을 더 개방적이고 확대할가능성 높지 1 new 킹석열 197 0 2023.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