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작년 2천124시간…OECD 평균보다 주당 6.8시간 많아

전문가 "버릇처럼 야근한다…생산성 굉장히 낮아"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지난해 한국인 취업자는 1인당 평균 2천124시간을 일해 2013년(2천79시간)보다 일터에서 45시간을 더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취업자들의 근로 시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1.2배였으며 근로 시간이 가장 적은 독일의 1.6배에 이르렀다.

2일 OECD의 '1인당 평균 실제 연간 근로시간' 통계에 따르면 2014년 국내 임금 근로자와 자영업자 등 전체 취업자의 1인 평균 근로시간은 2천124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가운데 멕시코(2천228시간) 다음으로 길었다. 이는 시간제 근로자까지 포함한 수치다.

◇ 한국 근로시간, 멕시코 다음으로 길어

한국인들은 OECD 회원국 평균(1천770시간)보다 연간 354시간 더 많이 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당 평균 6.8시간 더 일하는 셈이다.

한국은 2007년까지만 해도 OECD 회원국 가운데 1인당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길었지만 2008년 멕시코에 근로시간 최장 국가 자리를 넘겼다.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2000년 2천512시간에서 매년 꾸준히 줄어 2011년 2천90시간까지 내려갔다가 2012년(2천163시간)부터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는 독일로 1천371시간에 불과했다. 한국인이 8개월 일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한국인은 독일인보다 연간 4개월을 더 일하는 셈이다.

근로시간이 1천500시간 미만인 나라는 독일을 비롯해 네덜란드(1천425시간), 노르웨이(1천427시간), 덴마크(1천436시간), 프랑스(1천473시간) 등 5개국이었다.

일본(1천729시간)과 미국(1천789시간), 이탈리아(1천734시간) 등은 OECD 평균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영국은 1천677시간이었다.

한편, 지난해 자영업자 등까지 포함한 국내 전체 취업자의 평균 노동시간이 45시간 늘어났으나 임금 근로자가 일한 시간만 따지면 2013년(2천71시간)보다 14시간 감소한 2천57시간으로 집계됐다.

근로자 노동시간은 OECD에서 멕시코(2천327시간)와 칠레(2천64시간)에 이어 3번째로 길었다.

국내 근로자 노동시간은 통계치가 있는 2008년(2천120시간)부터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시간제 근로자의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근로자 노동시간이 짧은 나라는 1위 독일(1천302시간)을 비롯해 네덜란드(1천347시간), 프랑스(1천387시간), 벨기에(1천430시간), 오스트리아(1천440시간) 순이었다. 영국은 1천663시간이었으며 미국과 일본은 각각 1천796시간과 1천741시간이었다.

OECD 회원국 평균 근로자 노동시간은 집계된 데이터가 없다.

◇ "파트타임 근로자 적고 휴가 많이 못 써"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2013년 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에서 제출받은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장시간 근로 원인으로는 ▲미사용 휴가와 휴일이 너무 많다는 점 ▲장시간 근로의 동기를 제공하는 법제도와 근로문화 ▲중소기업의 인력부족으로 인한 상시적 초과근로 ▲근로기준법 적용에서 예외가 허용되는 특례업종의 범위가 과다하게 넓은 점 등이 지적됐다.

노동부의 2011년 근로시간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근로자는 전체 연차휴가일(11.4일) 가운데 61%인 7일을 평균적으로 쓰고 4.4일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주엽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전체 취업자 근로시간 증가에 대해 "자영업자의 근로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 것 같다"면서 "경기가 좋지 않으니 자영업자가 가게 문을 열어놓고 있는 시간이 늘어났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의 장시간 근로 이유로 3가지를 들었다. 그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제조업체 등 장시간 근로하는 회사가 많은데 심지어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기도 한다"면서 "파트타임 근로자 비중이 11% 정도로 굉장히 적은 것도 한 요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근로기준법에 1년을 근무하면 15일(3주)의 휴가를 주게 돼 있는데 이 제도가 적용 안 되는 곳도 많지만 적용되더라도 휴가를 다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법정 근로시간이 주당 48시간에서 40시간까지 줄면서 실제 근로시간은 감소해왔지만 여전히 길다"면서 "일을 많이 하는 것보다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오래 일하면 피로한데다 버릇처럼 야근하면 낮에 일을 다 할 필요가 없으니 생산성이 굉장히 낮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출산이나 육아, 전직 등을 준비할 때 파트타임(시간선택제) 근무로 전환하고 필요하면 풀타임 근무로 돌아갈 수 있는 시스템이 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처"네이버뉴스 연합뉴스...

?

?

뉴스 검색을 하다보니 한국의 노동시간이 여전히 OECD 2위 수준인것을 보고 참으로 개탄스럽단 생각이 들었습니다..줄어들 생각을 안하는군요!! 시장주의자란 자들은 한국의 노동시간이 빠르게 줄어든다는데 그것이 말도 안되는 새빨간 거짓말임이 드러났지요!! 아니 경총같은데선 자꾸 노도앵산성 운운하면서 노동시간을 줄이면 안된단 헛소리를 하면서 그리고 우리 노동자들의 휴식권이 충분하다고 공휴일까지 줄이자 징징대는데.이걸 보고도 느끼는게 없는건지 참으로 분노가 치밀었습니다!! 노동생산성이 낮은거 당연한거지요! 성과도 없는데 억지로 잡아두기만 하면 성과가 나옵니까? 지들이 그렇게도 좋아하는 효율적인것하곤 전혀 거리가 먼데도!! 정말 저 자들이 제대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고 노동자들의 권리를 위해줬으면 반기업정서,반부유층 이런 정서도 안생겼을겁니다!

?

근데 저런 현실을 외면하고 뭐 해달라고만 징징거리고..자신들이 국가와 사회를 위해 뭘 하겠다 이러진 않고 그저 자신들의 탐욕만 체우니 헬조선 현상도 나타난것이겠지요! 국민들도 답답합니다! 이게 정말 문제라고 생각하면 공론화를 시키고 대책을 마련해야지..정부도 그렇고요! 그냥 남들 다 하는거 왜 못하냐,노력이 부족한 사회부적응자..이따위 망발이나 내뱉는 경우도 많고 그런가보다하고 말씀들 많이하시는 노예화에 젖어있기에 한국 사회가 개선이 안된단 생각이 듭니다..일 그렇게많이한다는 이웃 일본도 우리보다 훨씬 적네요..노동시간이..참나..어이가 없고 분노만 치밉니다! 그래도 다들 화이팅하시고 우리들만이라도 서로 용기를 북돋아줘야 된단 소망을 해보고요...휴우!






  • toe2head
    15.11.02
    음.. 이건 무쉰 소리지? 8시간 칼퇴근*5일 * 52주= 2,080시간 여름휴가 3일에 주말 2일 붙여서 가는게 대부분 연차사용분일텐데 ㅋㅋ 그리고 누가 8시간 칼퇴근하나.. 최소 10시간은 평균일텐데 그럼 10시간*5일*52=2,600시간(휴가일수 계산제외)로 멕시코 따위는 저 멀리 밀어버리고 당당히 세계 1위인데.. 그나마 이 마저도 주 5일 기준이고 주6일, 격주 토요일 휴무나 주말도 계속 근무하는 사람들은 3,000시간도 훌쩍 넘겨버릴텐데 어디 감히 멕시코 따위가 헬조선 앞에서 명함을 내밀어??

    이런거라도 1등해야 속이 후련하지? 이.맛.헬.
  • 이게 핵심이죠....
  • 로만
    15.11.02
    근데 이건 국제 기준이고 다른나라들도 이런 시간은 뺀거 아닌가요?
  • CH.SD
    15.11.02
    조사기준이 뭔지...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추천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51 0 2015.09.21
22452 이번엔 국민을 위하는 지도자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15 new oldberry1800 255 4 2016.12.09
22451 한국인이 일본인의 조상이라는 주장을 반박하면 한국 새끼들 격노하지 않나 10 new Uriginal 275 4 2016.12.09
22450 또 통수의 이야기가 들려오는 8 new 安倍晴明 208 4 2016.12.09
22449 김기춘 "노무현 대통령은 사이코다" newfile 허경영 174 4 2016.12.09
22448 한국고등학교의 장점과 단점 11 newfile 캐나다로유학후이민 546 4 2016.12.08
22447 도덕에 대한 집착과 도덕에 대한 혐오의 사이 3 new 앵그리 148 4 2016.12.06
22446 구한말 역사에 대한 진실은 ? 3 new 볼온한개인주의자 194 4 2016.12.06
22445 회식에 대한 고찰? 6 new 인생한번뿐이다. 323 4 2016.12.05
22444 자살이 나쁘기만 할까 new 오딘 127 4 2016.12.29
22443 [국정공백에 고립된 한국외교] 中은 사드 보복...日은 스와프 중단 뒤통수...'국제 샌드백'된 한국 4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172 4 2016.12.04
22442 김치는 세계적으로 금지되어야 할 불량식품입니다 3 new 선조헬 204 4 2016.12.04
22441 타케시마가 어느 땅이냐 논쟁이 의미가 없는게 new 선조헬 91 4 2016.12.04
22440 스팸전화차단방법 2 new 군대공식노예 158 4 2016.12.03
22439 나는 이 정권들어서 제일 한심한 일중 하나가... 3 new 기행의나라=헬조선 202 4 2016.12.02
22438 현재 유럽에서 파시스트들이 득세하게 된 원인은 바로 진보좌파라는 정신병자들에게 있습니다. 1 new 볼온한개인주의자 192 4 2016.12.02
22437 향신료 이야기들이 좀 나와서 추천좀 해 줄까 하는데... 2 newfile 블레이징 215 4 2016.12.01
22436 박근혜 지지율 2 new 서호 140 4 2016.12.01
22435 "이럴려고 뭐뭐햇나 자괴감이 들어" 에 대한 문제점 6 new Countryboy 233 4 2016.12.02
22434 간철수당 이제 꼴통당으로 정의되는 듯 7 new john 291 4 2016.12.02
22433 어떤 대물림 4 newfile 토파즈 153 4 201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