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1&aid=0007908672&sid1=001

?

?

'요지부동' 비은행권 고금리에 서민들은 혜택 못 봐

'지지부진' 중금리 시장 활성화 방안 찾아야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지만 신용도가 낮은 서민들에겐 먼나라 얘기일 뿐이다.

이처럼 서민들이 저금리 시대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것은 저축은행, 상호금융권 등 비은행권 대출 금리가 요지부동이기 때문이다.

금리 양극화 해소를 위해 중금리 시장을 활성화하려면 금융기관별 신용평가 제도를 갖추는 게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11일 김기식(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의 '상위 10개 저축은행 신용등급별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상위 10개 저축은행의 평균 금리는 7월 말 기준으로 28.6%다.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 대출은 상대적으로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서민들이 주로 이용한다.

한국은행이 작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사장 최저 수준인 1.5%까지 내린 영향으로 시중은행 평균 대출금리가 2%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저축은행 등을 이용하는 서민들은 기준금리 추세와 동떨어져 움직이는 고금리를 감수할 수밖에 없어 통화완화 정책의 혜택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금리 양극화에 대응해 정부는 연 10%대 중금리 대출 활성화를 독려하고 있지만 해당 업계가 외면해 효과가 신통치 않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7월 지방은행을 포함한 12개 시중은행의 중금리 대출 실적은 1만5천888계좌, 914억7천만원으로 전체 신용대출(115조원)의 0.3% 수준에 불과했다.

29개 저축은행이 판매하는 56개 중금리 상품의 대출 잔액 역시 3천921억원으로 저축은행 가계대출 잔액 121조1천억원의 3.2%에 그쳤다.

은행들은 저신용 고객에 대한 정보와 노하우가 부족해 중금리 대출 상품 출시로 위험을 떠안게 될까봐 우려하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역시 부실 위험 때문에 금리를 내릴 여지가 없다고 난색을 표하고 있다.

2000년대 일부 시중은행이 저신용 서민들을 위해 10%대 중금리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했으나 실적이 저조하고 부실율이 높았다는 점도 금융기관들이 중금리 상품 출시를 고심하게 하는 점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로 조달금리는 2∼3%대로 떨어졌지만 부실 가능성이 큰 고객들을 상대하다 보니 대손율은 여전히 10∼15% 수준"이라며 "대손율이 낮아지지 않는 이상 대출금리에 큰 변화를 주기 어렵다"고 말한다.

이 관계자는 "여론과 금융당국의 압박에 이미지 전환을 위해 중금리 상품 출시를 고심하고 있지만 시중은행도 어려움을 겪는 시장인데 하물며 이름값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저축은행은 어떻겠느냐"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금융기관의 팔만 비틀어서는 대출 양극화를 없앨 수 없다고 지적한다.

각 금융기관이 대출자의 신용도를 평가해 담보에 의존하지 않고도 낮은 금리로 대출해줄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환경을 만드는 게 근본 해결책이라고 말한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우리나라는 금융기관들이 신용평가를 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없어서 10%대 중금리 시장이 형성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금융기관이 예대마진과 수수료에 의존하고 금융기관들끼리 과점하는 경향도 있어 스스로 신용평가 능력을 키워나갈 필요가 없는 상황"이라며 "당국이 계좌이동제 같은 사례처럼 완전 경쟁을 이끌어 예대마진, 수수료 수입에 의존만 해서는 생존하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porque@yna.co.kr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얘들은 언제쯤 깨달을까요? ㅎㅎ

?

금리 낮추는건 결국 대기업, 금수저 새끼들을 위해서일 뿐이지, 가진거 없고 힘없고 백없는 흙수저 똥수저들을 위한게 아니에요.
?






  • 예전처럼 서민들이 예금만으로도 인플레를 쫓아가고 재산을 불릴 수 있던 시대는 지났는데, 대출이자는 요지부동이니 그야말로 생지옥이죠.
  • John
    15.10.11
    대한민국경제의 약탈적 근성을 보여주는 예시지 뭐. 대책? 갈아엎기. 역사적으로 1000년을 집권해온 그 새끼들 모조리 도륙해버리기.
    누차 말하지만, 저 강남아새끼들은 지나치게 그 수가 많고, 뭐 이잡듯이 죽여도 2,3세대면 쪽수 회복하겠지.
    저새끼들이 만주족지배계급같은 앙시앵레짐새끼들인데, 쟈들 때문에 국방이고 국가경제고 개판된게 역사가 좀 오래됐다.
    1170년에 무신들이 들고 일어날때, 그 이전부터 씨발 저 지랄했다는거다.

    그런 새끼들이 대한민국 중부지방의 앙시앵레짐새끼들이다. 소위 양반이라는 것들의 후예지. 다르게는 사대문안팍의 특수한 residence(거주구)에 살던 새끼들이고, 지금은 갸들의 거주구는 강남으로 바뀐거다. 그런데, 강남의 서초구 인구가 유권자만 190만이다. 씨발 돌안거야. 그렇게 광범위한 특권계급을 머리에 이고, 나라가 잘 될리가 없다.

    뭐 그 190만에는 갸들한테 영합해서 먹고살려는 연애인, 연애인지망생, 종교인, 무속인 하여간 별의 별 새끼들 다 포함이다.

    내가 아는 한 그 솔루션은 핵으로 싹 조져버리는게 답이다. 그리고, 강북의 양심있는 종자들은 엑소더스, 서울을 버리고 수도를 다시금 금강가로 이전한뒤 기층계급의 선조들의 진짜 고향으로 돌아가야한다.
  • 지나가다
    15.10.11
    강남에 안살아도 거기 부화뇌동하는 자발적 노예까지 합치면 전국민의 51.6퍼센테이지 정도가 나오는게 헬조센입니다.
    월200만원도 못받는 노동자가 940만명이라는데.
    이들 대부분이 강남3구 주인들의 자발적 노예가 되어서 움직이는 나라가 헬조선 시스템.
    봉건사회보다 얼마나 더 진화한건지 궁금할정도.
  • 허경영
    15.10.12
    으..그켬;;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63 0 2015.09.21
2268 여러분들같은 분들이 많이 없는걸까요...이 나라에.. 8 new 진정한애국이란 342 6 2015.10.12
2267 헬조선에서 투표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개인적인 이유 3 new keither 246 4 2015.10.12
2266 또 하나의 헬조선 증거 8 new 족구하라 486 0 2015.10.12
2265 헬조선 연구소의 면피 방법 3 new 갈로우 415 3 2015.10.12
2264 국정교과서를 체택한 이유 1 new 할랄라야 185 2 2015.10.12
2263 헬조선을 예측한 게임.. 1 newfile 허경영 297 6 2015.10.12
2262 헬조선 역사학자 전우용의 일침.. 3 newfile 허경영 286 5 2015.10.12
2261 헬조선에서 열화된 스카우트 1 newfile 허경영 283 6 2015.10.12
2260 어메이징 헬조선 newfile 허경영 211 6 2015.10.12
2259 강제입대 당하는 처자.. 3 newfile 허경영 366 6 2015.10.12
2258 노인 독감 신청 수량의 60% 만 배급되는 이유가???? 7 new 헬조선탈조선 256 0 2015.10.12
2257 "이것은 나라가 아니다! 우리에게 나라는 없다!" 3 newfile 열심히발버둥 305 1 2015.10.12
2256 투표가 의미없는 이유.. 11 new 양송이스프 250 3 2015.10.12
2255 투표할 사람이 없다고 투표안한다는 분들 보셈 9 new 무터뷰안 189 0 2015.10.12
2254 헬조선식 온정주의에 대한 헬센징들의 생각 8 new 슬픈 243 5 2015.10.12
2253 글들 쭉 읽어보니 여기 회원들의 최대의 불만은 이런 것인듯, 5 new 헬탈출하고싶다 293 6 2015.10.12
2252 탈꼰대화 라는게 실제로는 매우 어려워요 항상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습관이 필요함 6 new 탈죠센선봉장 277 4 2015.10.12
2251 헬조선 진주시의 창희산성 new 헬.썩.재 310 2 2015.10.12
2250 최근 인터넷에 유행하는 '우리집 수저 자랑' 7 newfile 싸다코 557 7 2015.10.11
2249 이제는 개천에서 용이 나도 다시 개천으로 곤두박질치는 세상... 7 new 나는미개한조선놈이다 347 4 201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