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꼰대박멸
15.09.26
조회 수 593
추천 수 4
댓글 3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1. 미국에서 박사 과정을 1년도 채 남기지 않은 A(39)씨. 한국에서 강사 자리라도 알아보려 했지만 석사 때 지도교수님도 은퇴해 마땅치 않고, 일반 기업이나 연구원에 취직하려니 이 역시 빈자리가 보이지 않는다. A씨는 “이럴거면 차라리 유학보단 전문직 시험을 준비할 걸 그랬다”며 “주변엔 독일에서 박사 따가지고 와서 다시 세무사 공부하는 친구도 있다”고 말했다.

#2. 서울의 유명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Ph.D) 코스를 밝고 있는 B(40)씨. 논문 통과까지 2년 정도 남았지만 한 공공기관의 정규직 채용 공고를 보고 마음이 흔들린다. 현 상태에서 지원하면 석사학위자가 돼 그동안 공부했던 게 아깝고, 박사를 마무리하려니 오히려 취업이 더 힘들것 같아 망설여진다. B씨는 “일단 취업하면 박사는 물 건너가게 될 것”이라며 “공부가 재밌어 박사까지 왔는데 지금은 약간 후회가 된다”고 했다.

20150925000350_0_99_20150926100215.jpg?t
취업난과 학력 인플레가 겹치면서 우리는 박사도 백수가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한때는 ‘지식인의 대명사’로 불리던 박사가 요즘은 수가 크게 늘어 희소가치가 과거에 비해 많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매년 1만명이 넘는 박사가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비해 고학력 인력 수요는 그에 따라가 주지 못하는 실정이다.

예전처럼 박사만 되면 원하는 일자리를 골라가던 시대는 지나갔고, 오히려 좋은 직장을 위해 선택한 박사의 길이 취업에 걸림돌이 되기도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 것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지난해 2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국내 대학에서 신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전수를 대상으로 벌인 ‘2014 박사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8959명 중 미취업자(21.3%)와 비경제활동자(3.2%) 등 직업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 25%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사 10명 중 3명 가까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비경제활동 분류 박사 중 구직 계획이 없는 이유를 묻자 유학준비 때문이라고 답한 사람이 25.9%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론 ▷육아·가사(21.2%) ▷취업준비(12.4%) ▷창업준비(6.2%) ▷연로·심신장애(4.4%) 순으로 나타났다.

일을 하고 있는 박사 중에서도 정규직 비중은 64%밖에 되지 않았다. 나머지는 비정규직인데 그중에서도 파트타임의 비율이 3분의 1 이상이었다.

재직 중인 직장은 대학이 35.9%로 가장 많았고 민간기업이 20.3%, 민간연구소·공기업이 5% 미만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현재 직장에서 받는 연봉을 조사한 결과 48.3%가 5000만원 이상이라고 답했지만, 4000만원대(11.3%)와 3000만원대(13.6%)도 적지 않았다.

2000만원대 연봉을 받는 사람도 12.6%나 됐고 2000만원도 못 받는 사람은 이보다 높은 14.2%를 기록했다.

서울대에서 박사를 받아도 취업 환경은 녹록지 않다.

서울대 ‘2014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 2013년 8월과 지난해 2월에 졸업한 1228명의 박사 중 작년 6월 현재 취업자 수는 717명에 그쳤다. 나머지 중 336명은 취업하지 못했거나 취업 의사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전체 실업자 중에서도 고학력 인구의 비중이 늘고 있다.

이달 초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대졸 이상 실업자 수는 전년대비 6.7%(2만5000명) 증가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직업능력개발원 관계자는 “박사를 필요로 하는 일자리 수에 비해 고급인력이 과잉 공급되고 있다”며 “대학이 신규 박사 인력을 줄임과 동시에 국가도 핵심 고급인재를 선별적으로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






  • ㅏㅇ
    15.09.26
    몸이 병약하거나 헉은 손재주가 천성적으로 약해 기술 배우기 힘든 경우엔 ㅇ떤 기술을 배우는게 좋을지...
    요리,미용,플로리스트외엔 떠오르지 않는군...
  • 위천하계
    15.09.29
    머리쓰는거 해요.
    프로그래밍, 웹디자인.
  • AndyDufresne
    15.09.27
    도대체

    아직도

    학벌, 대기업

    타령하는 새끼들은

    뭐냐?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8436 0 2015.09.21
1915 일본은 마음만 먹으면 손쉽게 피한방울 안흘리고 헬조선 먹을수있음 new 킹석열 124 0 2023.11.27
1914 서울의봄 영화가 개봉됐는데 new 킹석열 175 0 2023.11.28
1913 양반동네 대구에서 시아버지가 며느리 살해 후 자수. new John 156 1 2023.11.28
1912 로스엔젤레스의 창년들. 4 newfile John 217 0 2023.11.28
1911 [북언더스탠딩] 전세계의 검은 돈은 영국으로 흐른다, 삼성의 돈도 시티로 흐른다. 1 newfile John 545 0 2023.11.28
1910 이스마일 하니예와 베냐민 네타나후의 공통점 new 노인 159 0 2023.11.28
1909 2024년부터 부동산 떡락 new John 228 0 2023.11.28
1908 요꼬라지를 보면 고구려가 확실히 경쟁력이 있지. new John 208 1 2023.11.28
1907 바가지가 심한 지방 도시 사례 1 new 노인 152 0 2023.11.28
1906 윤석열의 엉터리 긴축. 선거까지 패하면서도 긴축 모양새 거짓부름 개지랄. KF-21 초도물량이나 똑바로 하자... new John 252 1 2023.11.28
1905 kbs에게 1 new 노인 264 0 2023.11.28
1904 상호확증파괴 그딴건 없다. 상호확증파괴(X), 원한확증파괴(O) new John 136 1 2023.11.29
1903 2030 사우디 엑스포를 보고 new 노인 488 0 2023.11.29
1902 구찌 사례를 보면 new 노인 139 0 2023.11.29
1901 2030년에 엑스포는 사우디에서 열리면 한일전쟁 확률 조금이라도 높아지지. 1 new John 188 1 2023.11.30
1900 미국의 대중국 제제가 무소용인 이유. newfile John 173 0 2023.11.30
1899 윤석열 버러지새끼의 노골적인 꽌시 갱제 정책. 내가 진 빚을 남이 갚게 하라. 부동산 PF는 국민이 갚게 한다. new John 151 1 2023.11.30
1898 다음 엑스포 유치획득은 2095년쯤에나 되겠군. 2 new John 179 1 2023.11.30
1897 솔직히 베트남녀 보다는 한국년이 아주 찔끔 더 낫지. newfile John 155 0 2023.11.30
1896 일본에서는 연봉 5000만원 벌어도 돈 아끼기 힘들다 new 노인 216 0 2023.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