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감정원 "주택가격 최대 충격변수는 실업률"

"전세가격 비율 상승 원인은 집주인 손실 메우기"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서울에서 아파트를 사려면 7년 넘게 한 푼도 안 쓰고 돈을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에 가장 큰 충격을 주는 변수는 '실업률'이며 최근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 상승의 주된 원인은 저금리에 따른 집주인의 '손실 메우기'인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감정원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5년 상반기 동향 및 하반기전망 분석보고서를 28일 발표했다.

◇ 서울 아파트 사려면 7년 넘게 한 푼도 안써야 = 주택부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가운데 'PIR(Price to Income Ratio)'은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을 나타낸다.

연소득 전부를 주택 구입에 사용할 때 걸리는 시간을 뜻하며 PIR이 10이면 10년 동안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

세계적 주택시장 조사연구기관인 PUP(Performance Urban Planning)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PIR은 17, 호주 5.5, 뉴질랜드 5.2, 싱가포르와 영국 각 5.0, 일본 4.4, 한국 4.0, 캐나다 3.9, 미국 3.4, 아일랜드 3.0 순이다.

주요 도시별 비교에서 서울의 PIR은 6.4로 토론토(6.5)와 비슷한 수준이며 밴쿠버(10.6), 시드니(9.8), 런던 (8.5)보다는 낮은 중상위권에 속했다.

하지만 서울의 주요 주거형태인 아파트의 경우 PIR이 7.3으로 나타났다. 7년 넘게 소득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살 수 있다는 의미다.

PIR 3 이하는 '주택구입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 3.1∼4.0은 '조금 부담스러운 수준', 4.1∼5.0은 '주택구입이 어려운 수준', 5.1 이상은 '거의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구분된다.

감정원은 "한국 전체의 주택부담 수준은 국제적으로 높지 않지만, 지역별로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며 특히 서울의 아파트를 사기 위한 부담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 주택가격에 가장 큰 충격요인은 '실업률' = 감정원 분석결과 근로소득과 소비자물가, 주택가격 전망에 대한 소비자태도지수와 전세가격이 올라가면 주택가격이 오른다.

반면 실업률, 주택건설 착공 실적이 오르면 주택가격은 내린다.

특히 실업률 상승에 따른 주택가격 반응정도가 가장 크다.

실업률이 10% 상승하면 주택가격의 반응정도는 -0.12%이며, 실업률 상승 후 4개월 이후부터 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각 변수가 10% 상승할 때 주택가격의 반응정도를 보면 근로소득은 0.02%, 소비자물가는 0.07%, 주택가격 소비자태도지수는 0.05%, 전세가격은 0.08%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세가격 비율 상승은 집주인 손실 메우기 때문 = 감정원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의 전세가격 비율 상승은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전세가·매매가가 모두 올랐지만 전셋값 상승폭이 더 컸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의 전세가격 비율 상승은 전세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반면 매매가격의 하락 또는 보합 때문에 발생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감정원은 최근 전세가격의 상승은 임대주택의 내재가치 상승이 아닌 저금리에 따른 전세운용수익 손실분을 메우기 위한 집주인의 행태가 주된 원인이라고 봤다.

주택임대시장에서는 전세가격이 상승하는 반면 월세지수 하락, 전월세 전환율 감소 현상이 지속하고 있는데 이는 전세수익 감소에 따라 임대인이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기 때문이라고 감정원은 설명했다.

noanoa@yna.co.kr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7759433&isYeonhapFlash=Y&m_view=1&m_url=%2Fcomment%2Fall.nhn%3FserviceId%3Dnews%26gno%3Dnews001%2C0007759433%26sort%3Dlikability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7759433&isYeonhapFlash=Y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7759433&isYeonhapFlash=Y&m_view=1&m_url=%2Fcomment%2Fall.nhn%3FserviceId%3Dnews%26gno%3Dnews001%2C0007759433%26sort%3Dlikability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7759433&isYeonhapFlash=Y
  • 의약판검사3시패스미만잡노예
    15.07.29
    저것도 기준을 졸라 높게 잡은것 같다. 명문대 졸업. 이름들으면 아는 대기업취직. 사원 3년차. 연봉 4천. 평달인지 성과급달인지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월 실수령액 270정도. 회사근처 살만한 도시가 이천인데..말만 이천시고 논밭뿐인 이 시골에 살만한 집값이 3억이 넘는다. 아무리 앞을 생각해봐도 답이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 내가 서울에 집을 사려면 7년가지고 되겄냐 ㅋㅋㅋ 신문이 개소리하는거지. 솔직히 나정도면 노예중에서 노예장급은 되는것 같은데...개노답 헬조선. 대체 7년만에 서울 집살려면 연봉이 얼마여야 되는거야 ㅋㅋㅋ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70 0 2015.09.21
350 (복원글)성문제과 기성세대의 법관념. 엿이나 먹어라 페미니즘 꼰대세대 개년들아. 2 new DireK 152 4 2018.03.23
349 (밑에글에대한 반박) 인간이 무에서 유를 창조 못한다고?? 2 new 국뽕애국자 107 2 2017.10.11
348 (밑에 글 보고 씁니다) 아베 노부유키의 예언?? ㅋㅋ 전세계가 비웃습니다... 센징이들의 광우병 이상의 병... 8 new ghjjbv 379 7 2016.08.13
347 (미제스 연구소 글펌) 현대화폐이론 지지자들은 바스티아를 읽을 필요가 있다 1 new 아나코자본주의 22 0 2024.02.26
346 (또) 헬조선 여중생 학교폭력으로 인해 자살 9 newfile 엘리엇 290 5 2017.09.25
345 (댓글수준,상대방이 화해의 손길을 내미는대도 빼액거리며 거부하는 조선인)"한·일 멀어지게 간계 꾸미... 3 newfile 썩어빠진조선에천벌을내려 132 1 2017.06.12
(단독) 불지옥반도에선 노예가 집 사려면 한푼도 안쓰고 7년 넘게 모아야.. 2 new 다이나믹헬조선 793 1 2015.07.29
343 (니들이 믿고싶지 않는사실) 헬조선은 안망한다 . 12 new 유신 270 7 2017.08.10
342 (뉴스 링크) 대한민국은 지옥, '헬조선'에 대해 물었더니… 5 new 헬조선노답 521 6 2015.10.20
341 (논평) 헬조선은 노오력을 해도 노오력을 안해도 답이 없다 4 new 평등 295 7 2016.10.16
340 (논평) 이것은 과연 진정한 민주주의인가? 2 new 평등 130 3 2016.05.22
339 (넌센스?퀴즈) 조상님께 제사를 올려야 하는 이유는? new outshine 138 0 2016.07.13
338 (내용수정-링크 달았습니다.) 유투브에 외국인이 한국 싫어하는 이유 쳐보면 쫙 나오네요 ㅋㅋ 46 newfile 쿠아타스08 692 9 2017.10.26
337 (기사) 한국 민주주의 '완전'에서 '미흡'으로 밀려나 1 new 무정부주의 190 6 2016.01.21
336 (기사) 민간인 사찰 new 바나나 291 1 2016.03.06
335 (급제안)탈조센 정보 커뮤니티가 필요하다! 11 new 전생에지은죄 522 0 2015.07.20
334 (국뽕주의)스티브 밀러라는 사람이 한국에 대해서 일본인에게 설명하는 영상 3 new 조선임파서블 619 2 2016.03.17
333 (광복절 특집)일본의 식민지배에 관한 오해 txt. 16 new 탈죠센선봉장 488 9 2016.08.15
332 (공유) 한국사회의 문제점을 말하다. 6 new blazing 371 2 2016.05.08
331 (공유) 다단계 하청구조는 왜 생기나? 5 new 블레이징 221 4 2017.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