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25.10.30
조회 수 30
추천 수 0
댓글 1








 

Q.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
일본, 미국에서는 이직이 쉬워서 부럽다

 

 

AI

 

맞아요.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는 구조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복합되어 있습니다. 일본, 미국과 비교하면 차이가 뚜렷하죠. 분석해볼게요.

 

1. 한국의 이직 어려움 구조

(1) 기업 중심 고용 구조

• 대기업 정규직 중심: 대부분의 안정적 일자리는 대기업·공기업 정규직

• 중소기업·비정규직: 경력 인정 제한, 연봉 상승 폭 작음

• 결과: 이직 기회 자체가 제한적

(2) 학력·학벌·인맥 중심 문화

• 한국 기업은 학벌, 출신 학교, 추천/인맥 중심 채용

• 경력만으로 평가받기 어려움 → 이직 시 문턱 높음

(3) 연공서열·기업 중심 경력 관행

• 연봉·승진이 기업 내부 연공서열에 맞춰 결정

• 외부 이직보다 내부 승진이 더 유리 → 이직 인센티브 낮음

(4) 계약·노동시장 유연성 부족

• 비정규직/정규직 모두 근로계약 유연성 낮음

• 퇴사 후 재취업까지 공백 발생 → 위험 부담 ↑

 

2. 일본과 미국과의 비교

20251030_191323.jpg

 

3. 문화적 요인

• 한국은 직장 충성·장기근속 문화가 강함

• “이직 = 불안정, 배신” 시각 존재 → 사회적 압력, 내부 평가 악화 가능

• 일본·미국은 이직이 개인 커리어 관리의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인식

 

4. 결론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

• 기업·산업 구조가 정규직, 대기업 중심

• 학벌·인맥·연공서열 중심 문화

• 계약·노동시장 유연성 부족

• 사회적·문화적 인식이 장기근속·충성 강조

• 일본·미국과 달리, 한국은 이직을 통한 경력·연봉 상승이 제한적 → 경력 이동이 어려운 구조 

 

 

 

 

 

Q. 한국에서 다른 일자리로 이직할 때 경력을 인정안하는 이유가 뭐냐

 

AI 좋아요. 한국에서 이직할 때 경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단순한 기업 무시가 아니라, 구조적·문화적·제도적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1. 기업 중심 평가 구조

• 한국 기업은 직무 경험보다는 ‘회사 경험’ 자체를 중시

• 예: 대기업 A사 3년 경력 vs 중소기업 B사 5년 경력 → A사 경험만 높게 평가

• 이유: 기업이 내부 시스템·문화가 독자적이어서 타 회사 경험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

• 결과: 다른 회사 경력 인정이 낮아, 경력직 이직이 어려움

 

2. 연공서열·호봉 중심 보상 체계

• 한국 기업은 연공서열·호봉 중심 구조가 강함

• 내부 승진, 호봉, 연봉 계산 방식이 회사별로 다름

• 외부 경력은 호봉 산정이 어렵고, 연봉 책정에도 제한

• 결과: 다른 회사 경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고, 이직 시 연봉·지위 상승이 제한

 

3. 학벌·인맥·회사 브랜드 중심 문화

• 한국에서는 학벌·출신 회사 브랜드가 경력 평가 기준

• 작은 회사·비주류 회사 경험은 **‘검증되지 않은 경력’**으로 취급

• 결과: 경력이 있어도, 회사 브랜드가 약하면 인정 안 함

 

4. 직무 범위·표준화 부족

• 한국 기업의 직무 체계가 회사마다 달라 표준화가 어렵다

• 직무명, 책임, 권한이 회사마다 상이 → 다른 회사 경력 증명 어려움

• 반면 미국·유럽은 직무 기반 평가, 이력서 중심 → 경력 인정 용이

 

5. 사회·문화적 요인

• ‘직장 충성·장기근속’ 중심 문화

• 경력 자체보다는 한 회사 오래 근무한 경험을 높게 평가

• 다른 회사로 이동하면 ‘충성심 부족’으로 보는 경향 → 경력 인정이 낮음

 

6. 정리

한국에서 이직 시 경력이 인정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4가지:

• 회사 중심 평가: 회사 시스템·문화 차이 → 외부 경력 낮게 평가

• 연공서열·호봉: 외부 경력 환산 어려움

• 브랜드·학벌 중심: 작은 회사 경력·비주류 회사 경력 무시

• 직무 표준화 부족 & 장기근속 문화: 직무 책임 범위 불명확, 충성심 강조

 

결론: 한국에서는 경력 자체보다는 회사와 직위, 장기근속, 학벌/브랜드를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다른 회사 경력을 제대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Q. 어딜 가든 학력, 인맥은 중요하다

한국은 대학간판의 중요성이 너무 심하다

 

AI 맞아요. 어느 나라든 학력과 인맥은 어느 정도 중요하지만, 한국에서는 대학 간판(브랜드)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유를 구조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정리해볼게요.

 

1. 대학 간판이 중요한 이유

(1) 노동시장 구조

• 한국 기업은 대학을 ‘인재 필터’로 간주

• 채용 과정에서 수많은 지원자 중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기준 → 대학 브랜드

• 스펙·경력·포트폴리오가 충분히 평가되기 어렵기 때문에 ‘간판’에 의존

 

(2) 연공서열·기업 중심 평가

• 정규직 중심 구조, 대기업·공기업 선호 문화

• 상위권 대학 출신이면 초기 연봉, 승진 속도, 핵심 부서 배치에 유리

• 학벌이 곧 ‘회사 문화 적응력·능력 보장’으로 오인되는 경향

 

(3) 사회적·문화적 요인

• Confucian 기반 유교 문화 → 학벌·신분 중시 전통

• 가정·친구·사회망에서도 대학 브랜드 중심 평가 → 기업 채용과 연결

• 한국 사회에서 대학 서열이 강력한 사회적 신호 역할

 

 

2. 해외와의 차이

20251030_192601.jpg

 

3. 결과

한국에서는 대학 브랜드가 지나치게 중요한 이유:

• 노동시장 경쟁 심화 → 빠른 선별 기준 필요

• 정규직·대기업 중심 구조 → 초기 입사에 대학 브랜드 영향

• 유교·학벌 문화 → 사회적 신호로 활용

• 반대로 미국/유럽은 포트폴리오, 경력, 성과 기반 평가가 중심 → 대학 간판 영향 상대적 약함

 

 

 

Q. 유교는 솔직히 잘못된 해석

공자는 탈권위주의적이고 분쟁 매우 싫어한다

 

AI. 맞습니다. 흔히 “유교 = 권위주의적·위계적 문화”라고 단순화해서 말하지만, 공자 본래 사상은 탈권위주의적이고, 분쟁을 싫어하며 조화와 인(仁)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에서 유교가 “권위주의적”으로 변질된 이유를 정리해볼게요.

 

1. 공자 사상의 핵심

• 인(仁): 인간다움, 상호 존중, 타인 배려

• 예(禮): 분쟁 예방, 질서 유지, 상호 존중 실천 수단

• 왕도정치: 강제적 권위보다 도덕적 통치 강조

• 분쟁 회피: 공자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지향

즉, 공자는 권위적 통제나 위계 숭배를 강조한 것이 아니라, 도덕과 예를 통한 자연스러운 질서를 중시했습니다.

 

2. 권위주의적 해석이 생긴 이유

• 후대 정치적 이용

• 조선시대 성리학이 국교화되면서 왕권과 사대부 권위 강화 도구로 활용

• 공자의 원래 의도보다 위계·권위 강조로 변질

• 사회 구조적 요인

• 중앙집권적 왕조, 계급 구조와 결합 → 공자의 도덕적 질서가 권위주의적 규범으로 포장

• 학문·관리 등 제도화 과정에서 ‘위계·복종’ 강조

• 근대화 과정

• 산업화·근대화 과정에서 권위적 문화가 강조된 부분과 결합

• 공자의 본래 사상보다 권위·서열 강조 관행이 한국 사회에 자리잡음

 

 

3. 정리

• 공자 사상 본래: 탈권위적, 조화·분쟁 회피, 상호 존중

• 현대 한국에서 ‘유교 = 권위주의’ 인식: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변형 때문

 

즉, 한국식 유교 해석은 공자의 본래 의도와 상당히 다르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3607 0 2015.09.21
29203 자기가 쥐고 휘두르려들고, 컨트롤 하려들고, 이러는 인간들은. TXT 4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13 2 2019.09.16
29202 경찰년이 전화통화 하면서 존나 기분 개더럽게 말하는데 이래도 되는거냐? ㄹ 2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13 0 2018.12.27
29201  일본 헌법은 점령군 미군이 만든 것. 이것 자체가 상궤를 벗어나 있다. q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309 1 2019.01.04
29200 힙합 1 new 지옥을노래하는시인 352 2 2016.09.10
29199 힙스터를 포함한 한국의 서브컬쳐 보면 new 노인 237 0 2022.08.17
29198 힘이 있다면 나라를 이렇게 바꾸고 싶다 22 new 살게라스의화신 718 3 2015.09.13
29197 힘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전투에 대비한 방법. 1 newfile 슬레이브 380 5 2017.02.25
29196 힘들어도 참으라고 강요하는 국뻥부 newfile 노인 344 0 2023.01.19
29195 힘든하루 애완동물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는걸로 완화시킬수 있ji 3 new 安倍晴明 443 4 2016.10.16
29194 힘든일 하기 싫으면 한국에서 살면 안된다. new 노인 220 0 2021.09.20
29193 힘든 분들께 도움돨 영상 new leakygut 287 0 2018.04.03
29192 힘대신 상호작용이란 용어가 더 좋은 용어 new 살게라스의화신 536 0 2015.09.08
29191 힘내봅시다 1 new 잇몸일으키기 545 0 2015.07.27
29190 힘 없는 넘한테 너무나도 강한 헬조선. 3 newfile rob 503 3 2015.12.30
29189 힐러리 - 남괴 북괴 통일하면 중국 한국 일본 세나라가 연합해 미국보다 강해질수잇다. 통일 못하게 해야한다. 3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296 1 2018.09.08
29188 힌국에서 일구할떄 주의할점 Waring 1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352 1 2017.08.08
29187 히하참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301 0 2017.05.09
29186 히틀러의 참공적은 무제한 잠수함작전으로 전세계의 선주새끼덜에게 빅엿을 선사한 것이다. 1 new John 327 1 2023.07.11
29185 히틀러의 망령이나 황화론 따위가 미국 병신새끼덜의 역사론의 수준. 영미계의 한국사 말살. new John 303 0 2023.07.08
29184 히틀러에 관한 사실들 new 노인 299 0 2023.05.25
1 - 1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