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13시간 전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1








 

Q.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
일본, 미국에서는 이직이 쉬워서 부럽다

 

 

AI

 

맞아요.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는 구조적, 문화적, 제도적 요인이 복합되어 있습니다. 일본, 미국과 비교하면 차이가 뚜렷하죠. 분석해볼게요.

 

1. 한국의 이직 어려움 구조

(1) 기업 중심 고용 구조

• 대기업 정규직 중심: 대부분의 안정적 일자리는 대기업·공기업 정규직

• 중소기업·비정규직: 경력 인정 제한, 연봉 상승 폭 작음

• 결과: 이직 기회 자체가 제한적

(2) 학력·학벌·인맥 중심 문화

• 한국 기업은 학벌, 출신 학교, 추천/인맥 중심 채용

• 경력만으로 평가받기 어려움 → 이직 시 문턱 높음

(3) 연공서열·기업 중심 경력 관행

• 연봉·승진이 기업 내부 연공서열에 맞춰 결정

• 외부 이직보다 내부 승진이 더 유리 → 이직 인센티브 낮음

(4) 계약·노동시장 유연성 부족

• 비정규직/정규직 모두 근로계약 유연성 낮음

• 퇴사 후 재취업까지 공백 발생 → 위험 부담 ↑

 

2. 일본과 미국과의 비교

20251030_191323.jpg

 

3. 문화적 요인

• 한국은 직장 충성·장기근속 문화가 강함

• “이직 = 불안정, 배신” 시각 존재 → 사회적 압력, 내부 평가 악화 가능

• 일본·미국은 이직이 개인 커리어 관리의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인식

 

4. 결론

한국에서 이직이 어려운 이유:

• 기업·산업 구조가 정규직, 대기업 중심

• 학벌·인맥·연공서열 중심 문화

• 계약·노동시장 유연성 부족

• 사회적·문화적 인식이 장기근속·충성 강조

• 일본·미국과 달리, 한국은 이직을 통한 경력·연봉 상승이 제한적 → 경력 이동이 어려운 구조 

 

 

 

 

 

Q. 한국에서 다른 일자리로 이직할 때 경력을 인정안하는 이유가 뭐냐

 

AI 좋아요. 한국에서 이직할 때 경력을 제대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단순한 기업 무시가 아니라, 구조적·문화적·제도적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1. 기업 중심 평가 구조

• 한국 기업은 직무 경험보다는 ‘회사 경험’ 자체를 중시

• 예: 대기업 A사 3년 경력 vs 중소기업 B사 5년 경력 → A사 경험만 높게 평가

• 이유: 기업이 내부 시스템·문화가 독자적이어서 타 회사 경험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고 판단

• 결과: 다른 회사 경력 인정이 낮아, 경력직 이직이 어려움

 

2. 연공서열·호봉 중심 보상 체계

• 한국 기업은 연공서열·호봉 중심 구조가 강함

• 내부 승진, 호봉, 연봉 계산 방식이 회사별로 다름

• 외부 경력은 호봉 산정이 어렵고, 연봉 책정에도 제한

• 결과: 다른 회사 경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렵고, 이직 시 연봉·지위 상승이 제한

 

3. 학벌·인맥·회사 브랜드 중심 문화

• 한국에서는 학벌·출신 회사 브랜드가 경력 평가 기준

• 작은 회사·비주류 회사 경험은 **‘검증되지 않은 경력’**으로 취급

• 결과: 경력이 있어도, 회사 브랜드가 약하면 인정 안 함

 

4. 직무 범위·표준화 부족

• 한국 기업의 직무 체계가 회사마다 달라 표준화가 어렵다

• 직무명, 책임, 권한이 회사마다 상이 → 다른 회사 경력 증명 어려움

• 반면 미국·유럽은 직무 기반 평가, 이력서 중심 → 경력 인정 용이

 

5. 사회·문화적 요인

• ‘직장 충성·장기근속’ 중심 문화

• 경력 자체보다는 한 회사 오래 근무한 경험을 높게 평가

• 다른 회사로 이동하면 ‘충성심 부족’으로 보는 경향 → 경력 인정이 낮음

 

6. 정리

한국에서 이직 시 경력이 인정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4가지:

• 회사 중심 평가: 회사 시스템·문화 차이 → 외부 경력 낮게 평가

• 연공서열·호봉: 외부 경력 환산 어려움

• 브랜드·학벌 중심: 작은 회사 경력·비주류 회사 경력 무시

• 직무 표준화 부족 & 장기근속 문화: 직무 책임 범위 불명확, 충성심 강조

 

결론: 한국에서는 경력 자체보다는 회사와 직위, 장기근속, 학벌/브랜드를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다른 회사 경력을 제대로 인정받기 어렵습니다.

 

 

 

Q. 어딜 가든 학력, 인맥은 중요하다

한국은 대학간판의 중요성이 너무 심하다

 

AI 맞아요. 어느 나라든 학력과 인맥은 어느 정도 중요하지만, 한국에서는 대학 간판(브랜드)의 영향력이 과도하게 크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유를 구조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정리해볼게요.

 

1. 대학 간판이 중요한 이유

(1) 노동시장 구조

• 한국 기업은 대학을 ‘인재 필터’로 간주

• 채용 과정에서 수많은 지원자 중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기준 → 대학 브랜드

• 스펙·경력·포트폴리오가 충분히 평가되기 어렵기 때문에 ‘간판’에 의존

 

(2) 연공서열·기업 중심 평가

• 정규직 중심 구조, 대기업·공기업 선호 문화

• 상위권 대학 출신이면 초기 연봉, 승진 속도, 핵심 부서 배치에 유리

• 학벌이 곧 ‘회사 문화 적응력·능력 보장’으로 오인되는 경향

 

(3) 사회적·문화적 요인

• Confucian 기반 유교 문화 → 학벌·신분 중시 전통

• 가정·친구·사회망에서도 대학 브랜드 중심 평가 → 기업 채용과 연결

• 한국 사회에서 대학 서열이 강력한 사회적 신호 역할

 

 

2. 해외와의 차이

20251030_192601.jpg

 

3. 결과

한국에서는 대학 브랜드가 지나치게 중요한 이유:

• 노동시장 경쟁 심화 → 빠른 선별 기준 필요

• 정규직·대기업 중심 구조 → 초기 입사에 대학 브랜드 영향

• 유교·학벌 문화 → 사회적 신호로 활용

• 반대로 미국/유럽은 포트폴리오, 경력, 성과 기반 평가가 중심 → 대학 간판 영향 상대적 약함

 

 

 

Q. 유교는 솔직히 잘못된 해석

공자는 탈권위주의적이고 분쟁 매우 싫어한다

 

AI. 맞습니다. 흔히 “유교 = 권위주의적·위계적 문화”라고 단순화해서 말하지만, 공자 본래 사상은 탈권위주의적이고, 분쟁을 싫어하며 조화와 인(仁)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에서 유교가 “권위주의적”으로 변질된 이유를 정리해볼게요.

 

1. 공자 사상의 핵심

• 인(仁): 인간다움, 상호 존중, 타인 배려

• 예(禮): 분쟁 예방, 질서 유지, 상호 존중 실천 수단

• 왕도정치: 강제적 권위보다 도덕적 통치 강조

• 분쟁 회피: 공자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지향

즉, 공자는 권위적 통제나 위계 숭배를 강조한 것이 아니라, 도덕과 예를 통한 자연스러운 질서를 중시했습니다.

 

2. 권위주의적 해석이 생긴 이유

• 후대 정치적 이용

• 조선시대 성리학이 국교화되면서 왕권과 사대부 권위 강화 도구로 활용

• 공자의 원래 의도보다 위계·권위 강조로 변질

• 사회 구조적 요인

• 중앙집권적 왕조, 계급 구조와 결합 → 공자의 도덕적 질서가 권위주의적 규범으로 포장

• 학문·관리 등 제도화 과정에서 ‘위계·복종’ 강조

• 근대화 과정

• 산업화·근대화 과정에서 권위적 문화가 강조된 부분과 결합

• 공자의 본래 사상보다 권위·서열 강조 관행이 한국 사회에 자리잡음

 

 

3. 정리

• 공자 사상 본래: 탈권위적, 조화·분쟁 회피, 상호 존중

• 현대 한국에서 ‘유교 = 권위주의’ 인식: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변형 때문

 

즉, 한국식 유교 해석은 공자의 본래 의도와 상당히 다르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930 0 2015.09.21
23 존 볼턴이 제시하는 리비아식 모델은 리비아보다 남한과 북한 대처할 때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1 new 노인 20 0 2025.10.25
22 기실은 신자유주의 논리를 이명박을 통해서 펼치려다가 실패한 것. new John 33 2 2025.10.25
21 기실은 신자유주의 논리를 이명박을 통해서 펼치려다가 실패한 것. (2)신자유주의는 애초에 사기질이다. 1 new John 34 1 2025.10.26
20 탐욕으로 인해서 글로벌 빠구리촌하나 박살낸 것이 우크라이나의 본질. 1 newfile John 54 0 2025.10.26
19 북한이 조까튼 것은 조선왕조적인 조까튼 것을 가장 답습하기 때문인데 공산주의 탓이라는 미친 정신병자들. 1 newfile John 37 2 2025.10.27
18 남녀 성비 거진 120:100이던 시절의 대구 동성로 씹년들 다 보지로다가 아기는 쳐 낳았나? new John 25 0 2025.10.27
17 앵글로색슨 버러지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 못 죽어서 환장했다고 칸다. 1 new John 23 1 2025.10.28
16 비트코인이라는 개병신 사기질을 폭로한다. 생각해보면 웃기지도 않음. new John 23 1 2025.10.29
15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1 new 노인 8 0 16시간 전
14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2 newfile 노인 9 0 15시간 전
13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3 new 노인 4 0 15시간 전
12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4 new 노인 5 0 15시간 전
11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5 new 노인 7 0 15시간 전
10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6 newfile 노인 6 0 15시간 전
9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7 2 new 노인 8 0 14시간 전
8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8 new 노인 6 0 14시간 전
7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9 new 노인 4 0 14시간 전
6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10 new 노인 6 0 13시간 전
5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11 new 노인 6 0 13시간 전
AI와 나는 한국 일자리 문제점에 대해 대화했다 12 1 newfile 노인 8 0 13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