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24.03.29
조회 수 15
추천 수 0
댓글 1








 

항공, 농업·축산, 미디어, 통신, 제약, 금융, 방위, 아마존(유통), 의료, 임대업 등의 분야를 두루 살폈다. 2020년 현재 미국은 6개 주요 은행이 자금 대부분을 통제하고, 4개 주요 이동통신사가 통신망을 독점하고, 병원 치료에 필요한 거의 모든 용품을 거대 의료업체 가운데 한 곳이 공급한다.

 

농업·축산업에서는 몇 개의 기업이 시장의 질서를 만든다. 오늘날 미국에서 4대 돼지 사육 기업이 전체 시장의 3분의 2를 장악하고 있다. 전 세계 종자 시장의 60% 이상은 4개의 다국적 기업이 지배한다. 지역의 중소 농가는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했다. 스미스필드와 같은 농산업체는 작은 가족농을 10~12년짜리 계약으로 묶어둔다. 저자는 “(스미스필드가 요구하는) 계약서는 헛간과 우리의 설계에서부터 사료 공급 장치와 환풍기의 종류, 지불 가격까지 일방적으로 정해져 있다”며 “가공업체는 서로 공장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농가로서는 어디에 고기를 팔지 선택권이 없다”고 말한다. 경제학의 수요와 공급 법칙은 독과점 시장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농업이 번성했던 아이오와주의 경우 중소농들이 사라지면서 지역경기도 침체됐다. 아이오와주 시골 농장 지역에서 태어나 자란 크리스 피터슨은 1960~1970년대에는 북적이던 중심가가 전부 사라졌다고 회상하며 “거대 농산업체는 이런 소읍은 거들떠도 안 봐요. 그런 게 필요가 없으니까”라고 말한다.

 

저자는 몇몇 대도시를 뺀 나머지 지역은 “다른 시대에 갇힌 채 근대의 행진을 감당하지 못하며, 심지어 목격하지도 못”하고 있는 ‘역동성의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한다.

 

독점의 폐해를 지적하고 알려 개선할 수 있는 미디어도 독점의 물결 속에서 허우적거린다. 저자는 “저널리즘의 소멸을 촉진한 진짜 요인은 구글과 페이스북의 부상”이라며 “두 기업이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 생태계는 너무 광대해서 조정하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페이스북과 구글은 절대적인 뉴스 유통 플랫폼으로, 전체 디지털 광고 수입 증가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나온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전역의 약 1300개 지역 언론이 완전히 사라졌고 2004년 이래 약 1800개 신문사가 문을 닫았다. 책에서는 페이스북이 동영상 정책을 바꾸자마자 순식간에 회사가 망하다시피 매각돼버린 온라인 기반 언론사 ‘마이크’의 사례를 소개한다.

 

아마존의 사례를 보면 한국의 플랫폼노동 시장이 떠오른다. 아마존은 ‘위험의 외주화’에 능하다. 저자는 “수천 명의 배송 기사들이 아마존 유니폼을 입고, 아마존 장비를 사용하고, 아마존 시설을 기반으로 일하고, 고용주들에 의해 ‘아마존닷컴의 얼굴’로 불리지만, 아마존 직원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아마존은 배송 기사를 직접 고용하지 않고, 배송 기사들을 위탁 고용하는 민간 운송업체들은 노동조합에 속하지 않은 저임금 노동력을 고용한다. 지난해 코로나19 집단감염부터 최근 이천시 덕평물류센터 화재에 이르기까지 열악한 고용조건과 노동환경을 지적받아온 쿠팡은 아마존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106251432001

 

 

 

경쟁과 자유시장에 관한 말만 무성할 뿐 미국 공공정책은 소수 기업으로 이뤄진 도당이 먹거리 체계의 모든 측면을 지배하도록 돕는데 맞춰져 있다. 현재 20개 식품 기업이 미국인이 먹는 식량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유기농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월마트를 비롯한 4개 대형 체인이 전체 식료품 매출의 절반 이상을 지배한다. 한 회사가 유기농 식품 산업을 지배하고 있으며, 한 유통 회사가 유기농 식품의 전국 배급을 장악하고 있다. 조금 지난 통계이지만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자. 10년이 지난 지금의 상황은 이보다 더 심화해 있지 않을까 싶다.

 

2010년 현재 카길, 타이슨 푸드, JBS, 내셔널 비프는 미국 육우의 80%를 생산했다. 이들 업체를 비롯한 공장식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비율은 1992년 30%에서 2007년 65%로 대폭 늘어났다. 육계 산업도 상황은 비슷하다. 2010년 기준으로 지난 10년 동안 5대 가금류 생산업체였던 타이슨 푸드, JBS/필그림스 프라이드, 샌더슨 팜, 콕 푸즈가 미국에서 소비되는 육계의 70%를 차지했다.

 

이런 현상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저자는 '수직 통합화' 때문이라고 말한다. 전통적 개별화 방식과 달리 지금은 먹거리의 생산-가공-유통이 한 회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예컨대, 타이슨 푸드가 공장식 비육장에서 소를 기르고, 자체 도살장에서 도살·정육한 뒤 맥도날드에 공급하는 식이다. 이런 수직 통합화는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생산업체의 전략에 따른 것으로, 맥도날드 같은 패스트푸드 업체들의 요구가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이 농산업-금융자본-정치권력의 동맹이란다. 이들은 소농을 없애고 기업농 중심의 독점 체제로 농업을 바꾸기 위해 돈을 만들고 법을 바꿨다. 식량 독점체제라는 의미의 합성어 '푸도폴리'를 저자가 창안해낸 이유다.

 

그렇다면 유기농 식품 분야는 사정이 좀 다를까? 차가운 현실은 이쪽도 마찬가지다. 대기업이 통제하는 먹거리 체계의 대안으로 인기를 얻은 유기농 식품마저 이제는 초대형 식품 회사들의 통제를 받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20대 식품 가공업체 중 14개가 유기농 브랜드를 매입하거나 자체 유기농 브랜드를 출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2142700005

 

 

지금 당장 종자만 해도 다국적 기업의 독점이 심한것만 봐도 답 나온다






  • John
    24.03.29

    헛소리 쳐 하고 있네 미친 또라이 정신병자 저지능 새꺄. 저지능은 이래서 치료가 힘들다니까. 니 수준.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최신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222 0 2015.09.21
28224 헬쥬신 기성세대 지방꼰대새끼덜의 민도. new John 28 0 2024.05.06
28223 미제 유도무기, 러시아 전자전에 무력화! new John 24 0 2024.05.06
28222 미국 과두정 "최후의 1달러까지 찍어낸다." new John 24 0 2024.05.06
28221 중소기업 육성정책보다는 new 노인 18 0 2024.05.05
28220 일본에서는 듣보잡 도시인 고지시에도 게임회사 사무직 일자리가 있지만 1 new 노인 27 0 2024.05.05
28219 그리고 트럼프가 밑밥깔았잖음 new 킹석열 18 0 2024.05.05
28218 결국 최악의 시나리오는 new 킹석열 18 0 2024.05.05
28217 일본을 정복하면 오사카와 도쿄에 핵을 쳐 박아야 한다. new John 25 0 2024.05.05
28216 본좌는 일본이 한국을 노골적으로 노리고 있다고 경고해왔음. new John 33 0 2024.05.05
28215 고환율 정책이 죄다 친일파들의 정책이지. new John 34 0 2024.05.05
28214 윤석열 '탄핵하려면 해라' new 킹석열 20 0 2024.05.05
28213 라인문제도 줄리문제도 거기다 채권문제도 2 new 킹석열 26 0 2024.05.05
28212 줄리문제는 3 new 킹석열 21 0 2024.05.05
28211 헬조선은 역사상 징병제가 아니었던적이 없어서 new 킹석열 11 0 2024.05.05
28210 요즘 한국 군대. newfile John 39 0 2024.05.04
28209 김건희는 줄리는 아님. 1 newfile John 40 0 2024.05.04
28208 오늘도 멸망국가 일본의 씹보지년들. newfile John 35 0 2024.05.04
28207 상용차 수입시장도 이제 중국트럭이 차지 중. 현기차 버러지는 중공에 매각해야 됨. 1 newfile John 25 0 2024.05.04
28206 이번 연금개혁안보면 그냥 애낳지 말라는거임 ㅋㅋ new 킹석열 18 0 2024.05.04
28205 국민연금이라는 씹버러지는 초부자 개새끼덜의 판인 주식시장에 원기옥을 몰아주려는 개수작일 뿐이다. new John 26 1 2024.05.04
1 - 8 - 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