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노인
24.03.29
조회 수 184
추천 수 0
댓글 1








 

항공, 농업·축산, 미디어, 통신, 제약, 금융, 방위, 아마존(유통), 의료, 임대업 등의 분야를 두루 살폈다. 2020년 현재 미국은 6개 주요 은행이 자금 대부분을 통제하고, 4개 주요 이동통신사가 통신망을 독점하고, 병원 치료에 필요한 거의 모든 용품을 거대 의료업체 가운데 한 곳이 공급한다.

 

농업·축산업에서는 몇 개의 기업이 시장의 질서를 만든다. 오늘날 미국에서 4대 돼지 사육 기업이 전체 시장의 3분의 2를 장악하고 있다. 전 세계 종자 시장의 60% 이상은 4개의 다국적 기업이 지배한다. 지역의 중소 농가는 대기업의 하청업체로 전락했다. 스미스필드와 같은 농산업체는 작은 가족농을 10~12년짜리 계약으로 묶어둔다. 저자는 “(스미스필드가 요구하는) 계약서는 헛간과 우리의 설계에서부터 사료 공급 장치와 환풍기의 종류, 지불 가격까지 일방적으로 정해져 있다”며 “가공업체는 서로 공장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농가로서는 어디에 고기를 팔지 선택권이 없다”고 말한다. 경제학의 수요와 공급 법칙은 독과점 시장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농업이 번성했던 아이오와주의 경우 중소농들이 사라지면서 지역경기도 침체됐다. 아이오와주 시골 농장 지역에서 태어나 자란 크리스 피터슨은 1960~1970년대에는 북적이던 중심가가 전부 사라졌다고 회상하며 “거대 농산업체는 이런 소읍은 거들떠도 안 봐요. 그런 게 필요가 없으니까”라고 말한다.

 

저자는 몇몇 대도시를 뺀 나머지 지역은 “다른 시대에 갇힌 채 근대의 행진을 감당하지 못하며, 심지어 목격하지도 못”하고 있는 ‘역동성의 감소’에 시달리고 있다고 말한다.

 

독점의 폐해를 지적하고 알려 개선할 수 있는 미디어도 독점의 물결 속에서 허우적거린다. 저자는 “저널리즘의 소멸을 촉진한 진짜 요인은 구글과 페이스북의 부상”이라며 “두 기업이 구축하고 있는 디지털 생태계는 너무 광대해서 조정하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페이스북과 구글은 절대적인 뉴스 유통 플랫폼으로, 전체 디지털 광고 수입 증가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에서 나온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전역의 약 1300개 지역 언론이 완전히 사라졌고 2004년 이래 약 1800개 신문사가 문을 닫았다. 책에서는 페이스북이 동영상 정책을 바꾸자마자 순식간에 회사가 망하다시피 매각돼버린 온라인 기반 언론사 ‘마이크’의 사례를 소개한다.

 

아마존의 사례를 보면 한국의 플랫폼노동 시장이 떠오른다. 아마존은 ‘위험의 외주화’에 능하다. 저자는 “수천 명의 배송 기사들이 아마존 유니폼을 입고, 아마존 장비를 사용하고, 아마존 시설을 기반으로 일하고, 고용주들에 의해 ‘아마존닷컴의 얼굴’로 불리지만, 아마존 직원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아마존은 배송 기사를 직접 고용하지 않고, 배송 기사들을 위탁 고용하는 민간 운송업체들은 노동조합에 속하지 않은 저임금 노동력을 고용한다. 지난해 코로나19 집단감염부터 최근 이천시 덕평물류센터 화재에 이르기까지 열악한 고용조건과 노동환경을 지적받아온 쿠팡은 아마존과 너무나도 닮아 있다.

 

https://www.khan.co.kr/article/202106251432001

 

 

 

경쟁과 자유시장에 관한 말만 무성할 뿐 미국 공공정책은 소수 기업으로 이뤄진 도당이 먹거리 체계의 모든 측면을 지배하도록 돕는데 맞춰져 있다. 현재 20개 식품 기업이 미국인이 먹는 식량의 대부분을 생산한다. 유기농 브랜드도 마찬가지다.

 

월마트를 비롯한 4개 대형 체인이 전체 식료품 매출의 절반 이상을 지배한다. 한 회사가 유기농 식품 산업을 지배하고 있으며, 한 유통 회사가 유기농 식품의 전국 배급을 장악하고 있다. 조금 지난 통계이지만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자. 10년이 지난 지금의 상황은 이보다 더 심화해 있지 않을까 싶다.

 

2010년 현재 카길, 타이슨 푸드, JBS, 내셔널 비프는 미국 육우의 80%를 생산했다. 이들 업체를 비롯한 공장식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의 비율은 1992년 30%에서 2007년 65%로 대폭 늘어났다. 육계 산업도 상황은 비슷하다. 2010년 기준으로 지난 10년 동안 5대 가금류 생산업체였던 타이슨 푸드, JBS/필그림스 프라이드, 샌더슨 팜, 콕 푸즈가 미국에서 소비되는 육계의 70%를 차지했다.

 

이런 현상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저자는 '수직 통합화' 때문이라고 말한다. 전통적 개별화 방식과 달리 지금은 먹거리의 생산-가공-유통이 한 회사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 예컨대, 타이슨 푸드가 공장식 비육장에서 소를 기르고, 자체 도살장에서 도살·정육한 뒤 맥도날드에 공급하는 식이다. 이런 수직 통합화는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생산업체의 전략에 따른 것으로, 맥도날드 같은 패스트푸드 업체들의 요구가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것이 농산업-금융자본-정치권력의 동맹이란다. 이들은 소농을 없애고 기업농 중심의 독점 체제로 농업을 바꾸기 위해 돈을 만들고 법을 바꿨다. 식량 독점체제라는 의미의 합성어 '푸도폴리'를 저자가 창안해낸 이유다.

 

그렇다면 유기농 식품 분야는 사정이 좀 다를까? 차가운 현실은 이쪽도 마찬가지다. 대기업이 통제하는 먹거리 체계의 대안으로 인기를 얻은 유기농 식품마저 이제는 초대형 식품 회사들의 통제를 받기에 이르렀다. 오늘날 20대 식품 가공업체 중 14개가 유기농 브랜드를 매입하거나 자체 유기농 브랜드를 출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02142700005

 

 

지금 당장 종자만 해도 다국적 기업의 독점이 심한것만 봐도 답 나온다






  • John
    24.03.29

    헛소리 쳐 하고 있네 미친 또라이 정신병자 저지능 새꺄. 저지능은 이래서 치료가 힘들다니까. 니 수준.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74720 0 2015.09.21
28009 헬센징들이 불행한 이유 3 new 악령 507 1 2015.08.17
28008 헬조선에게 가장 어울리는 속담 1 new 악령 484 2 2015.08.17
28007 여기서 뭐가 낮아지면 가장 좋겠는가.. 8 new 도시락 504 2 2015.08.17
28006 헬조선의 군대와 갓스라엘 군대의 결정적 차이 1 new 므키타리안 558 3 2015.08.17
28005 시장 자본주의는 곧 망한다. 1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479 2 2015.08.17
28004 헬조선 게시판에 '잭잭'님의 글을 읽고... 2 new 왓더뻑킹헬조선 592 4 2015.08.17
28003 군 복무중에 올렸던 민원 전문. 7 new blazing 787 2 2015.08.18
28002 헬남조선의 통일에 대한 생각 9 new 도시락 580 1 2015.08.18
28001 헬조선 척추전문 병원의 실체 1 new 헬조선탈조선 488 3 2015.08.18
28000 '용감한 아빠' 늘었다..남성 육아휴직자 비율 5% 돌파 4 new 지옥의불반도헬조센 420 0 2015.08.18
27999 결혼 예정인 여친과 헤어지려고 합니다. 19 new 히로토 2496 4 2015.08.18
27998 통일? 서민들 입장에서는 전혀 득될게없다 오히려 손해가 더 클것 5 new 갈로우 531 2 2015.08.18
27997 파괴왕 박원순 ㅋㅋ new 허경영 609 1 2015.08.18
27996 헬조선의 바뀐통일관.. 3 new 도시락 617 1 2015.08.18
27995 MS '에지'.. 공짜로 줘도 못 쓰는 헬조선 8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684 3 2015.08.18
27994 신노예정책이 발표되었다 7 new 애국가5절 805 3 2015.08.18
27993 헬조선은 1997년으로 다시 돌아갔다 5 new 죽창한방 622 5 2015.08.18
27992 진짜 내가 요새 주식을 열심히 공부해서 수익좀 올렸는데. 5 new 김청용 551 3 2015.08.18
27991 헬조센 기업들이 노답인 이유 3 new 대한망국조센 547 2 2015.08.19
27990 헬조선 회사에서 사람이 다쳤을때 4 new 허경영 577 0 2015.08.19
1 - 51 -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