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fck123
22.04.18
조회 수 37
추천 수 1
댓글 0








사피엔스라는 책의 Why Europe? 이라는 단락의 내용입니다.검수완박도 중요하고 취업이나 내 집 마련도 중요한 일이지만 가끔은 시야를 넓히는 일도 좋을 것 같아 마구잡이 번역글을 올립니다.오늘도 모두들 즐겁게 노오력들 하시기 바랍니다.고맙습니다.

 

------------------------------------------------------------------------------------------------------------------------------------------------------------------------------------------------------------------------------

[왜 유럽이었을까?]

 

북대서양의 큰 섬에 사는 사람들이 오스트레일리아의 남쪽에 있는 큰 섬(태즈매니아)을 점령했다는 사실은 역사의 기괴한 사건들 중 하나입니다.제임스 쿡의 탐험 얼마 전만해도 영국 제도와 서유럽은 지중해 세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시골 동네였습니다.그곳에서 중요한 일들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근대 이전 유일하게 중요한 유럽의 제국이었던 로마 제국조차 북아프리카,발칸 그리고 중동 지역에서 대부분의 부를 추출했습니다.로마의 서쪽 유럽 지방은 광물과 노예를 제외하고는 별 볼 일이 없었던 가난한 변경 지대였습니다.북유럽은 너무도 황량하고 야만적이어서 로마에게 정복할 가치조차 없었습니다.

 

15세기말에서야 유럽은 중요한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문화적 발전의 온실이 되었습니다.1500년과 1750년 사이에 서유럽은 탄력을 얻고 두 개의 아메리카 대륙과 대양을 의미하는 ‘외부 세계(Outer World)’의 지배자가 되었습니다.그러나 그 당시에도 유럽은 아시아의 거대 세력들에게 게임이 되지를 않았습니다.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정복하고 바다에서 패권을 획득한 주된 이유는 아시아 세력이 그것들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초기 근대 시대는 지중해에서는 오토만 제국이 페르시아 지역에서는 사파비드 제국이 인도에서는 무굴 제국이 그리고 중국에서는 명나라와 청나라 황실이 황금기를 구가하던 시대였습니다.그들은 엄청나게 영토를 확장했고 전례 없는 인구와 경제 성장을 누렸습니다.1775년에 아시아는 전세계 경제의 80%를 점유했습니다.인도와 중국의 경제만 합쳐도 전세계 생산량의 3분의2를 차지했습니다.상대적으로 유럽은 경제적 소인이었습니다.

 

1750년과 1850년 사이에 힘의 세계적 중심이 유럽으로 이동했으며 이 때부터 유럽인들은 일련의 전쟁에서 아시아 세력에게 굴욕감을 선사하고 아시아의 큰 지역들을 정복했습니다.1900년에는 유럽인이 세계 경제와 영토의 대부분을 확고하게 통제했습니다.1950년에는 서유럽과 미국이 합쳐서 전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점유했고 이와 대조적으로 중국의 비중은 5%로 축소되었습니다.유럽이라는 방패 아래서 새로운 세계 질서와 문화가 출현했습니다.오늘날 모든 인간은 그들이 인정하고 싶은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정도로 복식 생각 그리고 취향에 있어서 유럽인들입니다.수사학적으로는 맹렬하게 반유럽적인 사람도 있을 수 있지만 이 행성의 거의 모든 사람은 정치 의학 전쟁 경제를 유럽인의 눈으로 보고 유럽 언어로 된 가사가 있는 유럽 음계로 쓰여진 음악을 듣습니다.조만간 세계적 주도권을 다시 얻을 지도 모르며 오늘날 급성장하는 중국 경제조차 생산과 재정에 있어서 유럽 모델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유라시아 대륙의 차가운 끄트머리에 있었던 사람들이 도대체 어떻게 외진 구석을 깨고 나와 전세계를 정복할 수 있었을까요? 종종 유럽의 과학자들에게 그 공적이 돌아가기도 합니다.1850년 이후 유럽의 지배가 상당 부분 군사적-산업적-과학적 복합체와 기술적 마법에 의지했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성공한 모든 후기 근대 제국은 기술적 혁신을 획득하겠다는 희망으로 과학 연구를 장려했고 많은 과학자가 제국의 주인을 위한 무기 약품 그리고 기계를 만드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했습니다.아프리카 적에 맞서는 유럽 군인이 흔히 했던 말이 ‘올 테면 오라.우리는 기관총이 있고 그들은 없다.’였습니다.민간 기술도 마찬가지로 중요했습니다.통조림 음식이 군인을 먹여 살렸으며 철도와 증기선이 군인과 보급품을 수송했습니다.한편 새로운 의약품들은 군인과 선원 그리고 기관사들을 치료했습니다.이러한 병참적 발전이 유럽의 아프리카 정복에 있어 기관총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1850년 이전에는 사정이 그렇지 않았습니다.군사적-산업적-과학적 복합체는 아직 유아 단계에 머물러 있었습니다.과학 혁명의 기술적 성과는 아직 미성숙했고 유럽과 아시아 그리고 아프리카 세력 사이의 기술적 격차는 작았습니다.1770년에 제임스 쿡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보다 확실히 더 발전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중국인과 오토만 제국 사람도 마찬가지였습니다.그렇다면 오스트레일리아는 왜 왕롱안 선장이나 후세인 파샤 선장이 아니라 제임스 쿡 선장에 의해 탐험되고 정복되었을까요? 더 중요한 것은 1770년에 유럽인이 무슬림 인도인 그리고 중국인에 대한 압도적인 기술적 잇점이 없었는데도 어떻게 그들은 다음 세기에 그들과 나머지 세계 사이의 엄청난 격차를 벌릴 수 있었을까요?

 

왜 군사적-산업적-과학적 복합체는 인도가 아니라 유럽에서 꽃을 피웠을까요? 영국이 한 발짝 앞으로 도약했을 때 왜 프랑스 독일 그리고 미국은 재빨리 따라갔지만 중국은 뒤쳐졌을까요? 산업국가와 비산업국가 사이의 격차가 분명한 경제적 정치적 요인이 되었을 때 왜 러시아 이탈리아 그리고 오스트리아는 그 격차를 메우는데 성공했지만 페르시아 이집트 그리고 오토만 제국은 실패했을까요? 결국 첫번째 산업적 물결의 기술은 상대적으로 단순했습니다.중국인이나 오토만 제국 사람에게 증기기관을 조작하고 기관총을 만들며 철도를 개설하는 일이 과연 그토록 어려운 일이었을까요?

 

세계 최초의 상업용 철도는 1830년 영국에서 개통되었습니다.1850년에 거의 40,000킬로미터의 철도가 서구 국가들을 종횡무진으로 수놓았습니다.그러나 아시아 전체와 아프리카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는 단지 4,000킬로미터의 철도가 있었을 뿐입니다.1880년에 서구는 350,000킬로미터의 철도를 자랑한 반면에 전세계 나머지 지역에는 35,000킬로미터의 철도만이 있었습니다.(그리고 이 철도의 대부분도 영국인들이 인도에서 개설한 철도였습니다.) 중국 최초 철도는 1876년에서야 개통되었습니다.25킬로미터짜리 철도였으며 유럽인이 개설했습니다.중국 정부는 다음 해에 이 철도를 파괴했습니다.페르시아 최초 철도는 1888년에 개설되었으며 테헤란과 테헤란에서 약 10킬로미터 남쪽에 있는 무슬림 성지를 연결하는 철도였습니다.이 철도는 벨기에 회사가 건설하고 운영했습니다.1950년 페르시아 전체 철도는 영국의 일곱 배가 되는 나라에서 여전히 2,500킬로미터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중국인과 페르시아인은 (자유롭게 복사되거나 구입할 수 있는) 증기기관 같은 기술적 발명품이 부족한 게 아니었습니다.그들은 서구에서 형성되고 성숙되는데 수 세기가 걸린 가치 신화 사법적 기구 그리고 사회정치적 구조가 부족했던 것입니다.그리고 이것들은 빨리 복사되거나 내면화될 수가 없는 것들입니다.프랑스와 미국이 재빠르게 영국의 발자국을 쫓아갈 수 있었던 이유는 프랑스인과 미국인이 가장 중요한 영국적 신화와 사회적 구조를 이미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중국인과 페르시아인이 재빨리 따라잡을 수 없었던 이유는 그들이 다른 방식으로 그들의 사회를 생각하고 조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설명은 1500년부터 1850년 사이의 기간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던져 줍니다.이 시기 동안 유럽은 아시아 세력에 비해 아주 분명한 기술적 정치적 군사적 또는 경제적 잇점을 누리지 못했습니다.그러나 유럽 대륙은 이 기간 동안 1850년쯤에야 그 중요성이 갑자기 분명해지는 독특한 잠재성을 축적했습니다.1750년 유럽과 중국 그리고 무슬림 세계 사이의 외관상 평등은 신기루였습니다.각자가 매우 높은 탑을 건축하느라 바쁜 두 명의 건축업자를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한 명은 나무와 진흙 벽돌을 사용하고 다른 한 명은 철과 콘크리트를 사용합니다.두 개의 탑이 비슷한 속도로 커지고 비슷한 높이에 도달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두 방식 사이의 차이점이 크게 보이지 않습니다.그러나 임계점을 지나고 나면 나무와 진흙으로 만들어진 탑은 변형과 붕괴를 견딜 수 없고 철과 콘크리트로 만든 탑은 눈이 미칠 수 있는 한 층층이 높아집니다.

 

유럽은 초기 근대 시기 동안 후기 근대 지배를 가능하게 만든 어떤 잠재력을 개발시켰던 것일까요? 이 질문에는 두 개의 보완적 답이 존재합니다.바로 근대 과학과 자본주의입니다.유럽인들은 그들이 엄청난 기술적 잇점을 누리기 훨씬 전부터 과학적이고 자본주의적인 방식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데 익숙했습니다.기술적 광맥이 터지자 유럽인들은 그 누구보다도 그것을 더 잘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따라서 유럽 제국주의가 21세기 포스트유럽에 전수한 가장 중요한 유산이 과학과 자본주의라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유럽과 유럽인은 이제 세계를 지배하지 않습니다.그러나 과학과 자본은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습니다.자본주의의 승리는 다음 챕터에서 다루어질 것입니다.이번 챕터는 유럽 제국주의와 현대 과학 사이의 러브 스토리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Why Europe?]

 

 

The fact that people from a large island in the northern Atlantic conquered a large island south of Australia is one of history’s more bizarre occurrences. Not long before Cook’s expedition, the British Isles and western Europe in general were but distant backwaters of the Mediterranean world. Little of importance ever happened there. Even the Roman Empire – the only important premodern European empire –derived most of its wealth from its North African, Balkan and Middle Eastern provinces. Rome’s western European provinces were a poor Wild West, which contributed little aside from minerals and slaves. Northern Europe was so desolate and barbarous that it wasn’t even worth conquering.

 

Only at the end of the fifteenth century did Europe become a hothouse of important military,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s. Between 1500 and 1750, western Europe gained momentum and became master of the ‘Outer World’, meaning the two American continents and the oceans. Yet even then Europe was no match for the great powers of Asia. Europeans managed to conquer America and gain supremacy at sea mainly because the Asiatic powers showed little interest in them. The early modern era was a golden age for the Ottoman Empire in the Mediterranean, the Safavid Empire in Persia, the Mughal Empire in India, and the Chinese Ming and Qing dynasties. They expanded their territories significantly and enjoyed unprecedented demographic and economic growth. In 1775 Asia accounted for 80 per cent of the world economy. The combined economies of India and China alone represented two-thirds of global production. In comparison, Europe was an economic dwarf.

 

The global centre of power shifted to Europe only between 1750 and 1850, when Europeans humiliated the Asian powers in a series of wars and conquered large parts of Asia. By 1900 Europeans firmly controlled the worlds economy and most of its territory. In 1950 wester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ogether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global production, whereas Chinas portion had been reduced to 5 per cent. Under the European aegis a new global order and global culture emerged. Today all humans are, to a much greater extent than they usually want to admit, European in dress, thought and taste. They may be fiercely anti-European in their rhetoric, but almost everyone on the planet views politics, medicine, war and economics through European eyes, and listens to music written in European modes with words in European languages. Even today’s burgeoning Chinese economy, which may soon regain its global primacy, is built on a European model of production and finance.

 

How did the people of this frigid finger of Eurasia manage to break out of their remote corner of the globe and conquer the entire world? Europe’s scientists are often given much of the credit. It’s unquestionable that from 1850 onward European domination rested to a large extent on the military–industrial–scientific complex and technological wizardry. All successful late modern empires cultivated scientific research in the hope of harvest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many scientists spent most of their time working on arms, medicines and machines for their imperial masters. A common saying among European soldiers facing African enemies was, ‘Come what may, we have machine guns, and they don’t.’ Civilian technologies were no less important. Canned food fed soldiers, railroads and steamships transported soldiers and their provisions, while a new arsenal of medicines cured soldiers, sailors and locomotive engineers. These logistical advances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in the European conquest of Africa than did the machine gun.

 

But that wasn’t the case before 1850. The military-industrial-scientific complex was still in its infancy; the technological fruit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were unripe; and the technological gap between European, Asiatic and African powers was small. In 1770, James Cook certainly had far better technology than the Australian Aborigines, but so did the Chinese and the Ottomans. Why then was Australia explored and colonised by Captain James Cook and not by Captain Wan Zhengse or Captain Hussein Pasha? More importantly, if in 1770 Europeans had no significant technological advantage over Muslims, Indians and Chinese, how did they manage in the following century to open such a gap between themselves and the rest of the world?

 

Why did the military-industrial-scientific complex blossom in Europe rather than India? When Britain leaped forward, why were France,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quick to follow, whereas China lagged behind? When the gap between industrial and non-industrial nations became an obvious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 why did Russia, Italy and Austria succeed in closing it, whereas Persia, Egypt and the Ottoman Empire failed? After all, the technology of the first industrial wave was relatively simple. Was it so hard for Chinese or Ottomans to engineer steam engines, manufacture machine guns and lay down railroads?

 

The world’s first commercial railroad opened for business in 1830, in Britain. By 1850, Western nations were criss-crossed by almost 40,000 kilometres of railroads – but in the whole of Asia, Africa and Latin America there were only 4,000 kilometres of tracks. In 1880, the West boasted more than 350,000 kilometres of railroads, whereas in the rest of the world there were but 35,000 kilometres of train lines (and most of these were laid by the British in India). The first railroad in China opened only in 1876. It was twenty-five kilometres long and built by Europeans – the Chinese government destroyed it the following year. In 1880 the Chinese Empire did not operate a single railroad. The first railroad in Persia was built only in 1888, and it connected Tehran with a Muslim holy site about ten kilometres south of the capital. It was constructed and operated by a Belgian company. In 1950, the total railway network of Persia still amounted to a meagre 2,500 kilometres, in a country seven times the size of Britain.

 

The Chinese and Persians did not lack technological inventions such as steam engines (which could be freely copied or bought). They lacked the values, myths, judicial apparatus and sociopolitical structures that took centuries to form and mature in the West and which could not be copied and internalised rapidl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quickly followed in Britain’s footsteps because the French and Americans already shared the most important British myths and social structures. The Chinese and Persians could not catch up as quickly because they thought and organised their societies differently.

 

This explanation sheds new light on the period from 1500 to 1850. During this era Europe did not enjoy any obvious technological, political, military or economic advantage over the Asian powers, yet the continent built up a unique potential, whose importance suddenly became obvious around 1850. The apparent equality between Europe, China and the Muslim world in 1750 was a mirage. Imagine two builders, each busy constructing very tall towers. One builder uses wood and mud bricks, whereas the other uses steel and concrete. At first it seems that there is not much of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since both towers grow at a similar pace and reach a similar height. However, once a critical threshold is crossed, the wood and mud tower cannot stand the strain and collapses, whereas the steel and concrete tower grows storey by storey, as far as the eye can see.

 

What potential did Europe develop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at enabled it to dominate the late modern world? There are two complementary answers to this question: modern science and capitalism. Europeans were used to thinking and behaving in a scientific and capitalist way even before they enjoyed any significant technological advantages. When the technological bonanza began, Europeans could harness it far better than anybody else. So it is hardly coincidental that science and capitalism form the most important legacy that European imperialism has bequeathed the post-European world of the twenty-first century. Europe and Europeans no longer rule the world, but science and capital are growing ever stronger. The victories of capitalism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chapter is dedicated to the love story between European imperialism and modern science.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197 0 2015.09.21
14497 외국의 좋은 문화도 한국에만 들어오면 헬조선화 17 new oldberry1800 320 0 2017.03.03
14496 외국의 자기계발서 new 에코 320 1 2015.09.10
14495 외국의 어떤 금수저가 한국을 무척 사랑한데.... 1 new 나도한마디(비서실장) 232 0 2017.02.23
14494 외국은 대부분 스레드형? 왜 유독 한국이 게시판? 한국같은나라 또머머잇음?ㄹ new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45 1 2019.01.05
14493 외국여자들도 인정한 이사이트유저들 외모랑 정반대인 꽃미남2 2 newfile 티티카링 344 0 2016.12.08
14492 외국여자 데려오면 된다. 한국여자만 여자 아니다. 9 new 오딘 546 2 2015.08.22
14491 외국에선 환영받고 자국에선 욕만먹는게 윤석열 고르바초프가 같은거지 new 킹석열 5 0 2023.09.08
14490 외국에서 헬조선 만나면 외국인들에게 사정을 설명해야한다 new oldanda 83 0 2017.08.28
14489 외국에서 헬조선 군대갔다온 똥싼징들 보면 1 new oldanda 65 1 2017.06.24
14488 외국에서 헬센징 쓰레기 구분하는 확실한 방법 new oldanda 74 0 2017.08.26
14487 외국에서 성공하면 뒤도안보고 헬조선은 끊어야한다 new oldanda 83 0 2017.08.30
14486 외국에서 "헬조선 군대 갔다 왔다 " 이러면 진짜 인간 쓰레기 인증하는거다 new oldanda 68 0 2017.09.03
14485 외국에도 이런 사람 많아요?? 2 new 짱시룸 190 4 2015.12.18
14484 외국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 2 new 므키타리안 392 3 2015.08.29
14483 외국애들 많이 끌어들이겠지 new 킹석열 22 0 2022.09.01
14482 외국새끼 회사인 현대건설, 롯데건설 따위나 살려주겠다는 매국노 윤석열. newfile John 18 1 2023.09.30
14481 외국살인자나 사기꾼이 헬(죽음)센징보다 더낫다 1 new oldanda 129 0 2017.11.11
14480 외국도 살기힘든거 똑같다고 할대 대처법 5 new 플라즈마스타 571 9 2015.11.24
14479 외국나가서 헬조선식으로 사는사람은 못봤다 1 new 고재춘 389 5 2015.09.10
14478 외국나가면 헬센징모른척해야됨 . 4 new 헬조선은언제나아질까? 134 3 2017.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