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미세먼지를 매일 체크하면서 사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이런 모습에 예전이 살기 좋았다 아니 숨 쉬고 살기 좋았다라는 말을 하는 분을 봤습니다. 그 말에 바로 내가 기억하기로는 80년대가 더 공기가 안 좋았던 것으로 기억되는데라고 대꾸를 했죠. 

 

80년대는 공기가 더 안 좋았습니다. 아직도 기억나네요. 기술 선생님이 어제 광화문에 나갔다 왔는데 코를 푸니까 시커먼 코가 나왔다면서 공기가 너무 안 좋다고 말했습니다. 선생님 말이 거짓말이 아닙니다. 80년대 당시는 많은 버스들이 시커먼 매연을 내뿜고 서울 곳곳에 있는 공장들은 공해물질 저감하는 장치도 없이 공장을 돌렸습니다. 지금은 말끔해진 도림천은 똥내가 진동을 했습니다. 안양천도 마찬가지입니다. 90년대 중 후반까지만 해도 안양천은 똥내가 진동을 했습니다. 지금은 안양시가 하수처리장을 만들면서 맑은 물이 흐르지만 예전엔 안양천은 죽음의 하천이었습니다. 

제말을 믿지 않기에 그 자리에서 검색을 해서 관련 기사를 보여줬습니다.

 

[취재파일] 예전에는 미세먼지 없었다?..80~90년대는 더 심했다

http://v.media.daum.net/v/20180409150302973

B53A84CE-65BE-436E-893E-93791941C608.jpeg

SBS 뉴스를 보면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이하인 미세먼지와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인 초미세먼지 수치를 보면 90년대이후 꾸준하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왜 과거보다 더 공기오염이 심해졌다고 느낄까요? 이는 언어의 문제이자 언론 보두 빈도수와 기상예보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먼저 언어의 문제입니다. 

71CE853C-6249-4E3E-AAF8-0A69350A2710.png

80년대는 미세먼지라는 단어보다는 황사라는 단어가 익숙했습니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다릅니다. 황사는 중국 고비 사막에서 불어오는 모래지만 미세먼지는 공장과 자동차 매연이 주 원인입니다.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에서 미세먼지로 검색을 해보면 90년대 초에 조금씩 등장합니다. 

 

CDA46750-B257-40B1-BDF1-9ED85F0B9495.png

미세먼지가 정립된 것은 1992년 환경처가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먼지를 미세먼지라는 정의를 내립니다. 

 

BD4A1C0F-34E5-44B5-9C4E-CA8BD9D3969C.png

1992년에 정의된 미세먼지를 보도하는 기사를 보면 1996년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럼에도 기사량은 많지 않았습니다.  당시만해도 미세먼지 피해 심각하다는 내용이 많네요. 당시는 미세먼지를 국내 문제로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중국발 미세먼지가 큰 원인 중 하나이지만 당시 중국은 이제 막 경제 발전의 가속도를 올리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매일 같이 미세먼지에 대한 문제를 두고 국내탓이다 중국탓이다 논란이 일어나고 있고 하루에서 많은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접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에 대한 보도에 자주 노출되다 보니 역대급 미세먼지 속에서 살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게 됩니다.

 

664729A5-9850-4418-87AF-7E689622D59C.png

미세먼지 예보도 대기오염의 심각함이 현재가 최고인 줄 알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기상청은 매일 같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보도를 하고 있고 방송국도 미세먼지에 대한 예보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매일 같이 미세먼지 예보를 접하면서 마스크를 써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을 하는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 말이 있죠. 문제를 문제라고 인식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고요. 80년대는 공해 문제가 더 심각했고 한강 지류 하천은 똥내가 진동을 했고 하늘엔 스모그가 가득했습니다. 91년 친구와 함께 관악산 정상을 올라서 강남과 여의도와 한강을 바라봤습니다. 그때 친구와 나눈 대화가 아직도 기억나네요

 

"저 스모그 봐라"

 

당시는 더 심했습니다. 트럭과 버스는 공해 저감 장치 없이 달렸고 바로 앞에 있던 버스에서 시껌댕이 매연이 나오는 것을 자주 봤습니다. 그러나 당시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낮았습니다

 

0B7AAD0D-E8C7-4192-9C38-F29CF79E6CB5.jpeg

이런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자 1992년, 1993년 당시 인기 가수들이 모여서 <내일은 늦으리>환경보전슈퍼콘서트도 열었습니다. 이후 한국은 경제발전과 함께 환경에 대한 인식과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하천의 똥내는 사라지고 공기 오염도 서서히 줄어듭니다. 

특히 서울시는 오세훈 전 시장이 있을 당시 미세먼지 줄이기 위해서 참 부던히 노력을 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서울시가 노력을 해도 편서풍 지역이라서 서울보다 서쪽에 있는 중국과 인천공업지역의 공해를 막지 못하면 큰 효과가 없다는 것도 알게 되죠. 

문제가 있었지만 그게 문제 인지 몰랐고 크게 민감하지 못했던 80년대를 지나서 지금은 미세먼지 특히 초미세먼지로 많은 사람들이 죽어간다는 연구가 있자 각국 정부들은 미세먼지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노력하고 예보를 통해서 경각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글은 80년대는 더 심각했을 때도 잘 살았는데 80년대 보다 좋아진 하늘 아래 살면서 불만을 갖지 말자는 소리는 아닙니다. 다만 정부나 지자체들이 꾸준히 노력을 하고 있고 그 효과가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을 담은 글입니다. 또한 중국발 미세먼지를 눈감아주자는 소리도 아닙니다. 중국에서 불어오는 미세먼지는 한국 정부가 좀 더 강력하게 공해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죠. 물론 쉽지는 않을 겁니다. 그럼에도 지금보다 깨끗한 나라로 만들려면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출처

http://photohistory.tistory.com/m/17877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조회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9653 0 2015.09.21
17595 내가 원하는 헬조선국뽕 2 new 또옹옹송 186 3 2016.02.06
17594 공분 없는 소비자들 (2.3일자 조선일보) 6 newfile 열심히발버둥 186 4 2016.02.03
17593 너무 많은거 같아요.. 1 newfile 남궁덕배 186 2 2015.12.29
17592 “北 도발 잊지 말자”…‘평화의 발’ 제막식<-굳이 조형물을 세워야 하는 것입니까? 5 new 에리카짱 186 6 2015.12.24
17591 세상에 이렇게 문화적 컨텐츠가 없는 나라가 없슴 new sddsadsa 186 4 2016.01.17
17590 오래된 생각. 1 new 전생에지은죄 186 7 2015.11.26
17589 니미 킹찍탈은 뺑소니같은거다 2 new 헬리헬성 186 2 2015.11.24
17588 이번 야구 이기면 또 국뽕 개지랄들 하겠네 3 new alexis 186 3 2015.11.21
17587 “수도권 화이트칼라 朴대통령 부정평가 확산“ 서울 37% 대 50% 3 new 민족주의진짜싫다 186 4 2015.10.25
17586 장애인 주차구역에 주차하지 마세요 6 new 괴괴나사 186 2 2015.10.11
17585 국정교과서는 핑게고.. 이슈가 필요한것같다.. 2 new 도시락 186 4 2015.10.27
17584 역사의 국정교과서화는 파시스트를양산한다 2 new 죽창을베개삼아 186 2 2015.10.10
17583 각자도생하라고 할 거면 왜 국가가 필요한가? 1 new 염락제 186 4 2015.09.17
17582 킹무성 = 꼰대몽구 1 new 꼰대차그룹 186 2 2015.09.10
17581 전쟁같은 소리하네.... 1 new InfernoJosun 186 0 2015.08.21
17580 터키 멍청이들 드디어 자폭하는구나. 2 newfile Direk 185 1 2019.01.01
17579 여자들이 클리 자르는게 귀두, 페니스 자르는것과 같다고 믿는이유. 23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85 0 2018.11.21
17578 호주국자 근황 1 newfile 노인 185 0 2018.10.10
17577 남한 전국 학교, 운동부, 군대, 가정에서 일어나온 범죄들..txt 2 newfile 초고등영혼대천재쇼군 185 0 2017.12.12
17576 지하철에 나이처먹은 계집년들 개진상부린다 1 new 생각하고살자 185 2 2017.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