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조선


지고쿠데스
18.04.15
조회 수 460
추천 수 0
댓글 2








한국 GDP 대비 가계·기업부채 비율, 임계치 넘어섰다

WEF 기준 임계치보다 각각 19.4%P 높아
현대경제硏 보고서…"미 금리 인상 등으로 신흥국 리스크 커질 수도"

 

가계부채 고위험가구 급증 (PG)
가계부채 고위험가구 급증 (PG)[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기업부채가 임계치를 훌쩍 뛰어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정책 금리 인상 등 글로벌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금이 많이 풀린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발표한 '신흥국발(發) 부채 위기 오나?'라는 보고서에서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99.4%라고 밝혔다.

세계경제포럼(WEF)에선 GDP 대비 기업부채의 임계치를 80%로 보고 있는데 한국은 이보다 19.4%포인트나 높은 수준이다.

선진국과 신흥국을 비교하면 GDP 대비 기업부채는 신흥국에서 더 큰 폭으로 늘었다.

신흥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08년 56.2%에서 지난해 104.3%로 48.1%포인트 확대됐다. 선진국은 같은 기간 86.8%에서 91.7%로 상승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도 한국이 작년 3분기 94.4%로 역시 임계치(75%)를 19.4%포인트 넘어섰다.

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속도는 빠른 편이었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2008년 3분기 73.9%에서 지난해 3분기까지 20.5%포인트 확대됐다.

증가 폭은 주요 43개국 가운데 노르웨이(30.8%포인트), 중국(29.6%포인트), 태국(23.8%포인트), 스위스(22.9%포인트) 다음으로 높았다.

선진국, 신흥국으로 보면 신흥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는 지난해 38.9%에 그쳤지만 2008년과 견줘 19.3%포인트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선진국(75.7%→76.2%)보다 증가속도가 빨랐다.

 

 

보고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이 마이너스 금리, 양적 완화 정책을 펼치며 신흥국 위주로 글로벌 유동성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 22개국과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21개국 등 총 43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흥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은 2009년 99.1%에서 2017년 143.2%로 44.1%포인트나 확대됐다.

같은 기간 선진국이 8.4%포인트 감소한 것과 대조를 이뤘다.

민간신용 확대에 따른 위기 위험 국가 16개국 중 12개국이 중국,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이기도 했다.

자산시장 상황을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채권자금이 신흥국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 국채금리와 미국 장기 국채금리 격차를 의미하는 EMBI(Emerging Market Bond Index) 스프레드는 2016년 이후 내림세를 지속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완화하며 신흥국 채권 투자가 확대돼 신흥국 국채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미국의 정책 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유동성 축소가 시작됨에 따라 신흥국이 취약 고리가 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용정 선임연구원은 "미국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 및 신흥국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크다"며 사전 대응 노력을 강조했다.

이어 "한국 경제는 단기외채, 보유외환, 국가신용등급 등 대외부문뿐 아니라 재정수지, 정부부채 등 대내 부문 건전성 지표를 양호하게 관리해 외부 충격에 강한 펀더멘털을 유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email protected]






  • 응 저거보다 더심각해
  • DireK
    18.04.15
    좃소기업은 돈도 못 빌리는데, 부채는 누가 다 지는겨?

    삼성개새끼덜이 반도체 기기 한대가 1500억 그래서 공정에 10개깔면 1조5천억짜리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kdskrnl07&logNo=221192305355

    그런데, EUV한대로 하루에 겨우 웨이퍼 2800개 깎는다. 이건 생산성이 똥망이라서 삼성반도체 한동에만 천대넣으면 150조다. 이걸 10동 지으면 1500조. ㅋㅋㅋㅋㅋ 한국부채가 왜 느는지 이해가 되냐?


    그 외에는 소소하게 재벌3세 새끼덜 뭐 사업 좀 소소하게 한다고 사금고마냥 대출해가는 돈 있고 그런 거다. 그 지랄하다가 나중에 안 되면 배째라고 제2의 imf일으켜서는 먹튀하면 된다는게 삼성마인드다.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정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헬조선 관련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73 new 헬조선 87585 0 2015.09.21
16385 개천에서 용이 안나오는 이유 8 new 굴라크는모든것을해결한다 327 1 2017.06.27
16384 여기 애들이 내 역사관을 싫어하는 것을 보면 15 new Uriginal 297 2 2017.06.27
16383 김치 싫다고 글 올리자마자 댓글 2 newfile 노인 301 2 2017.06.27
16382 헬조센에서 정치인이라는 신분의 딜레마 3 new 전봇대 200 1 2017.06.27
16381 한국사람들의 창업패턴 18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353 2 2017.06.27
16380 여기에도 무슨 유럽을 보고 이상적인 곳이라고 생각하는 애들이 있네 29 new Delingsvald 416 1 2017.06.27
16379 삶은 무엇인가? 7 new 서호 298 2 2017.06.27
16378 아나 시발리우스 헬조선 13 new 헬조선붕괴협회 324 5 2017.06.27
16377 애송이 미꾸라지 8 new 서호 308 2 2017.06.28
16376 역시 아무래도 한국은 권위주의가 제격이다. 7 new 교착상태 359 7 2017.06.28
16375 전쟁나면 지는거 당연한거 아니냐 new 생각하고살자 215 1 2017.06.28
16374 학교다니는거 생각해보면 진짜 인생낭비 하는짓 6 new 생각하고살자 462 8 2017.06.28
16373 헬센징들 진짜 영화로 역사왜곡하면서 보조배우에게 갑질까지 하네 5 new John_F_Kennedy 294 3 2017.06.28
16372 [단독]'노역'의 쿠팡 물류센터 "밤샘 근무 중 휴식은 0분" 14 new 프리글루텐 457 4 2017.06.28
16371 헬조선 군대를 빠져야 탈조선이 효과적 2 new oldanda 569 0 2017.06.28
16370 이걸 기념우표까지 만드네 wwwwwwww 3 newfile 혐한 439 4 2017.06.28
16369 앞으로의 경제전망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246 0 2017.06.28
16368 긴급속보 신뢰도 ㅎㅎㅎ new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187 0 2017.06.28
16367 인구가 5200만명이지만  실제인구는 400만명 정도 밖에 안된다 6 new oldanda 322 1 2017.06.28
16366 임금 올려주기 싫다는 사업주 newfile 강하게공격하고탈조선하자 312 1 2017.06.28